$\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공동체의식에 관한 종단적 융합연구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를 중심으로-
A Converged Study on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Community Spirit in Adolescents: Focusing on the Data of KCYPS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9 no.12, 2019년, pp.62 - 70  

최정현 (남서울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과 공동체의식간의 인과적 관계를 검증하는데 있다. 초등학생이 성장함에 따라 자아존중감과 공동체의식과의 변화정도와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해 종단적인 자료를 이용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KCYPS)의 초1 패널 자료 중 5차, 6차 7차년도의 종단 자료를 활용하여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공동체의식 사이의 종단적 상호관계를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을 통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자료는 PSAW 18.0와 AMOS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총 1750명으로 남자가 903명(51.6%), 여자는 847명(48.4%)이다. 초등학교 5학년, 초등학교 6학년, 중학교 1학년의 자아존중감의 평균은 3.29±.51, 3.19±.55, 그리고 3.15±.57이었다. 공동체의식의 평균은 3.12±.52, 3.09±.59, 그리고 3.15±.55이었다.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을 통한 분석결과 초등학교 5학년부터 중학교 1학년까지 자아존중감과 공동체의식은 안정적으로 지속되었다. 또한 이전 시점의 자아존중감은 이후 시점의 공동체의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찬가지로 이전시점의 공동체의식은 이후 시점의 자아존중감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tudy used cross-lagged path modeling to examine the longitudinal associations between self-esteem and community spirit among adolescents. This is a longitudinal study designed to examine the developmental changes of adolescents' self-esteem and community spirit in Korea. This study used the dat...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성인과 달리 청소년들은 성장 발달 단계에 있으므로 자아존중감과 공동체의식의 관계를 파악하여 사회 발전에 기여하는 민주시민과 세계시민으로 키우는데 활용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아존중감과 공동체 의식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자기회귀교차지연의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인과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 종단연구의 경우 잠재변수를 반복적으로 측정하므로 시간이 경과하여도 해당 변인의 개념이 변하지 않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측정동일성 여부를 확인하는데, 측정변인의 계수에 시간에 따라 동일하게 제약을 가한 모형을 검증하여 확인하였다. 또, 한 시점의 잠재변인이 다음시점의 잠재변인에 미치는 영향이 시간의 경과에 따라 동일한지 확인하기 위하여 경로동일성을 확인하는데, 본 연구에서는 자아존중감과 공동체의식 각각에 대하여 가지는 자기 회귀계수가 시점에 관계없이 동일한지를 검증한 뒤 교차회귀계수가 시간의 경과에 따라 동일한지를 검증하였다. 오차공분산동일성은 동일 시점에서 측정한 잠재변인의 오차항 사이 공변량이 시간경과에 따라 동일한지를 확인하는 것으로, 자아존중감과 공동체의식 각각의 오차항간의 공변량이 다음 시점과 동일한지로 검정하였다.
  • 본 연구는 자아존중감과 공동체의식의 종단적 인과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기존의 연구들이 시점에 따른 인과관계를 파악할 때 시점 별 조사 집단이 상이하여 연구의 한계가 있었다.
  • 기존의 연구들이 시점에 따른 인과관계를 파악할 때 시점 별 조사 집단이 상이하여 연구의 한계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자기회귀교차 지연 모형을 적용한 종단자료를 활용하여 기존 연구들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노력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자아존중감과 공동체의식 사이의 인과관계 및 방향성을 종단적으로 살펴보는 것이며,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아래와 같다.

가설 설정

  • 둘째, 공동체의식은 시간의 경과에 따라 향후 공동체의식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사회적인 부조화의 원인은 무엇인가? 현대 사회의 지식과 기술 발전은 그 어느 때 보다 가속화 되고 있어, 뒤처지지 않고 승자가 되려고 하는 개인의 경쟁도 매우 치열하다. 이렇게 치열한 경쟁은 더욱 진보된 지식과 기술발전의 밑거름으로 작용하기도 하지만, 개인주의를 심화시키고 사회적인 부조화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러한 개인주의 및 사회적인 부조화를 완화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공동체의식이 거론되고 있으며 특히 사회적 정체성이 확립되는 청소년 시기에 필요한 것으로 지목되고 있다.
공동체의식의 정의는 무엇인가? 공동체의식에는 네 가지 요소가 있는데 집단 구성원들이 느끼는 소속감, 집단과 개인 사이의 상호 관여성, 집단 내에 있는 자원으로 자신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을 것이라는 감정, 그리고 공통의 경험을 가지고 있다는 생각이다[3]. 즉, 공동체의식은 “집단에 대한 소속감, 상호 유대감, 공유된 믿음”으로 정의되며 이는 인간관계의 상호작용을 통해 생성되고 강화된다[3,4]. 공동체의식은 참여의식과 타인배려로 구분되는데[5], 이는 민주시민사회의 중요한 자질이기도 하다[6].
선행 연구에서 청소년들의 자아존중감이 높아진다면 어떠한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고 하였는가? 이러한 연구 결과에 따라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을 높이면 그들이 속한 지역사회의 공동체의식 역시 높이는 방향으로 나아갈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결국 청소년들이 자기 자신을 가치 있게 바라보고 스스로를 신뢰할수록, 주변에 대한 수용과 배려가 높아지고, 점차 한 사회의 구성원으로 정체성을 가지고 긍정적 역량을 발휘할 때 공동체 의식도 향상된다는 선행 연구[23]를 지지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B. E. Moley, M. McFarland, D. Miron, S. Mercer & V. Ilustre. (2002). Changes in college students' attitudes and intentions for civic involvement as a function of service-learning experiences. Michigan Journal of Community Service Learning, 9, 18-26. http://hdl.handle.net/2027/spo.3239521.0009.102 

  2. Ministry of Education. (2018). Changing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 2015 revised curriculum, Ministry of Education Official Blog. https://if-blog.tistory.com/7855 

  3. D. W. McMillan & D. M. Chavis.(1986). Sense of community: a definition and theory.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14(1), 6-23. DOI : 10.1002/1520-6629(198601)14:1 3.0.CO;2-I 

  4. E. B. Stevens, L. A. Jason, J. R. Ferrari, B. Olson & R. Legler. (2012). Sense of community among individuals in substance abuse recovery. Journal of Groups in Addiction & Recovery, 7(1), 15-28. DOI : 10.1080/1556035X.2012.632319 

  5. J. E. Jung, K. S. Kim & H. Kwak. (2018).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among relationship formation, career maturity, sense of community of early adolescents. The Journal of Korea Elementary Education, 29(1), 35-58. DOI : 10.20972/kjee.29.1.201803.35 

  6. T. Kim. (2017). Effects of social relationships at school and in the local community on adolescents' altruistic life goal for the enlarged community. The Korean Society for Sociology of Education, 27(1), 31-53. DOI : 10.32465/ksocio.2017.27.1.002 

  7. H. W. Marsh & R. G. Craven. (2006). Reciprocal effects of self-concept and performance from a multidimensional perspective: beyond seductive pleasure and unidimensional perspectives. Perspectives on Psychological Science, 1, 133-163. DOI : 10.1111/j.1745-6916.2006.00010.x 

  8. J. H. Kim, H. J. Kim, E. K. Son, Y. S. Song & I. S. Jung. (2004). Child developmental psychology. Seoul : Dongmoon Publishing Co. 

  9. S. C. Han, A. M. Choi & S. H. Park. (2004). Adolescent psychology. Seoul : Yangsuewon Publishing Co. 

  10. M. E. McCarthy, G. M. H. Pretty & V. Catano. (1990). Psychological sense of community and student burnout. Journal of College Student Development, 31, 211-216. https://psycnet.apa.org/record/1990-26907-001 

  11. C. K. Morgan & M. Tam. (1999). Unraveling the complexities of distance education student attrition. Distance Education, 20(1), 96-108. DOI : 10.1080/0158791990200108 

  12. C. Haythornthwaite, M, Kazmer, J. Robins & S. Shoemaker. (2000). Making connections: community among computer-supported distance learners. Paper presented at the Association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Education 2000 Conference. San Antonio, Texas. 

  13. M. Rosenberg. (1965). Society and adolescent self image. New york : Princeton University Press. 

  14. H. C. Choi & B. S. Kim. (2009). A causal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academic achievement using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ing. Studies on Korean Youth, 20(2), 327-356. 

  15. S. W. Park & S. Kim. (2016). Reciprocal effects of social relationships and sense of community in adolescents. Studies on Korean Youth, 27(2), 5-32. 

  16. S. H. Hong & S. K. You. (2004). A causal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control and academic achievement using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ing and multigroup analysis.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18(1), 381-392. 

  17. G. W. Cheung & R. B. Rensvold. (2002). Evaluating goodness-of-fit indexes for testing measurement invarianc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 Multidisciplinary Journal, 9(2), 233-255. DOI : 10.1207/S15328007SEM0902_5 

  18. R. B. Kline. (2011).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3rd ed, New York : Guilford Press. 

  19. G. Heo. (2012).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career barrier in adolescents using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ing. The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Research, 31(1), 119-134. 

  20. I. H. Jo & H. J. Shin. (2019). The reciprocal relationship between peer attachment and sense of community in adolescents: through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ing. The Korea Educational Review, 25(1), 103-125. 

  21. K. A. Bollen & J. S. Long. (1993). Tes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Sage Focus Edition, London : SAGE Publications. 

  22. D. A. Cole et al. (2001). The development of multiple domains of child and adolescent self-concept: a cohort sequential longitudinal design. Child Development, 72(6), 1723-1746. 

  23. H. S. Park. (2019). A five-year longitudinal study of the effect of individual family, and school characteristics on the development of a sense of community among Korean children. Journal of Education & Culture, 25(1), 555-576. 

  24. S. B. Jung, J. t. Kim & E. S. Kim. (2016). Structural relationship model among physical competence, self-esteem, sense of community and school adjustment of adolescent. Korea Society for Wellness, 11(3), 327-343. 

  25. Y. A. Ah & S. S. Park. (2017). A study on the effests of community spirit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of adolescents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Journal of School Social work, 39, 95-117. 

  26. W. A. Galston. (2001). Political knowledge, political engagement, and civic education. Annual Review of Political Science, 4(1), 217-234. DOI : 10.1146/annurev.polisci.4.1.21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