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노인요양시설 간호제공자의 골다공증 관련 지식과 골다공증 예방활동
Knowledge and Prevention Activity of Osteoporosis among Care Providers in Nursing Home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9 no.12, 2019년, pp.71 - 80  

심하은 (백석대학교 간호학과) ,  박미화 (혜전대학교 간호학과) ,  박명숙 (건국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노인요양시설 간호제공자의 골다공증 관련 지식과 골다공증 예방활동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S시와 Y시의 노인요양시설 4곳에서 근무 중인 간호제공자 142명이며 자료 수집기간은 2019년 7월 1일부터 7월 20일까지이다. 연구 자료는 SPSS 24.0 Version을 이용하였으며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간호제공자의 골다공증 관련 지식은 중간수준으로 간호제공자의 학력, 골다공증 관리 교육 경험, 입소자 수, 노인 뼈 건강 중요도 인식에 따라 차이를 보였으며, 골다공증의 예방활동은 골다공증 관리 교육 경험, 노인 뼈 건강 중요도 인식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연구대상자의 골다공증 관련 지식과 골다공증 예방활동은 정적 상관이 있었다. 따라서 노인 요양시설 간호제공자의 노인 골다공증 관리와 노인 뼈 건강 중요도 인식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그에 따른 교육이 필요하며, 향후 교육의 효과를 확인하는 추가연구가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to identify osteoporosis knowledge and osteoporosis prevention activities among care providers in nursing home. The subjects were 142 care providers in S and Y city.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July 1 to July 20, 2019, and analyzed SPSS 24.0 Version. The r...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노인요양시설 간호제공자의 골다공증 관련 지식과 골다공증 예방활동의 정도를 알고 차이와 그 상관성을 조사하고자 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노인요양시설에 근무하는 간호제공자를 대상으로 입소자의 골다공증 관련 지식 및 예방활동의 정도와 관계를 파악하여 노인요양시설에 입소한 노인들의 골다공증 관리를 위한 간호제공자 교육체계를 구축해 나가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노인요양시설 간호제공자의 골다공증 관련 지식과 골다공증 예방활동 수행 정도를 파악하고 골다공증 관련 지식과 골다공증 예방활동의 관계를 파악하여 노인요양시설에 입소한 노인들의 골다공증 관리를 위한 간호제공자 교육체계를 구축해 나가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노인요양시설 간호제공자의 골다공증 관련 지식과 골다공증 예방활동의 정도를 조사하여 노인요양시설 입소 노인들의 골다공증 악화와 골다공증 성 골절을 예방하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만드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노인요양시설에 근무하는 간호제공자의 골다공증 관련 지식과 골다공증 예방활동의 정도 및 관계를 조사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설문지 작성 전 대상자에게 연구목적, 연구내용과 방법, 연구 참여 자발성, 철회 가능성, 자료 익명성 그리고 비밀보장 내용을 설명하였다. 더불어 수집된 자료는 연구외의 다른 목적으로 사용하지 않음에 대한 내용의 연구 참여 동의서를 직접 설명한 후 서명을 받았고, 동의서와는 별도로 연구 설문지를 배포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17년 65세 이상의 노인인구는 전체인구의 몇 %인가? 우리나라 노인 인구의 증가는 빠른 속도로 진행되어 이미 고령사회에 진입하였으며, 2017년 65세 이상의 노인인구는 전체인구의 14.3%를 차지하였고 2065년에는 42.5%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1].
2065년 우리나라 노인 인구 예상 비율은? 우리나라 노인 인구의 증가는 빠른 속도로 진행되어 이미 고령사회에 진입하였으며, 2017년 65세 이상의 노인인구는 전체인구의 14.3%를 차지하였고 2065년에는 42.5%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1]. 이에 따라 골다공증과 같은 만성질환 대상자의 유병율도 증가하고 있다.
골다공증 관련 지식 문항의 분석 결과 정답률이 가장 높은 것은 무엇인가? 0% 이었다. 골다공증 지식 문항의 분석결과, ‘우유 및 유제품을 먹는 것이 좋다’ 대한 정답률이 95.8%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뼈가 소실되는 속도는 폐경기 이후 빨라진다’가 9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Statistics, Korea. (2017). Population projections for korea(gender ratio, population growth rate, population structure, cost for elderly, etc.).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_1BPA002&vw_cd&list_id&scrId&seqNo&lang_modeko&obj_var_id&itm_id&conn_pathK1. 

  2. T. Y. Yu, H. Cho, T. Y. Kim, Y. C. Ha, S. Jang & H. Y. Kim. (2018). Utilization of osteoporosis-related health services: Use of Data from the Korean National Health Insurance Database 2008-2012.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s, 33(3). DOI : 10.3346/jkms.2018.33.e20. 

  3. Kang et al. (2015). Physician's guide for Diagnosis and Treatment of Osteoporosis. Seoul : Korean Society for bone and mineral research. 

  4. F. Borgstrom, P. Sobocki, O. Strom & B. Jonsson. (2007). The societal burden of osteoporosis in Sweden. Bone, 40(6), 1602-1609. DOI : 10.1016/j.bone.2007.02.027. 

  5. Korean Society for bone and mineral research, FLS research committee. (2019). Fracture Liaison Services Guidebook. Seoul : Publishing. IB planning. 

  6. J. Anderson-Wurf, C. Harding & A. Seal. (2018). Increasing the knowledge, identification and treatment of osteoporosis through education and shared decision-making with residents living in a retirement village community. Australasian Journal on Ageing, 37(1), E17-E22. DOI : 10.1111/ajag.12494. 

  7. H. J. Lee & J. O. Roh (2018). Study on the osteoporosis knowledge, concern about osteoporosis factors, and health behavior to prevent osteoporosis of women in Jeonbuk area.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51(6), 526-537. DOI : 10.4163/jnh.2018.51.6.526. 

  8. H. Y. So & H. R. Song. (2007). Effects of the Knowledge, Health Belief, and Self-Efficacy about Osteoporosis on Calcium Intake Behavior for Postmenopausal Osteoporosis Patient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19(5), 763-774. http://www.ana.or.kr/class/doc.php?year2007&month12&volumn19&issue5&spage763 

  9. H. J. Min & H. Y. Oh. (2011). A study on Osteoporosis knowledge, Health Beliefs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s among female college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2(2), 111-120. DOI : 10.12799/jkachn.2011.22.2.111. 

  10. J. Y. Lee, H. J. Park & S. H. Hwang. (2006). A Prediction Model for Preventive Behavior of Osteoporosis in Middle Women. statistical consultation, 19(1), 1-16. 

  11. E. J. Yoon. (1998). A Study on Knowledge and Practices about Osteoporosis in Adult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Rehabilitation Nursing, 1(1), 27-42. 

  1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9). Facility status of senior citizens's welfare. http://www.mohw.go.kr/react/jb/sjb030301vw.jsp 

  13. I. S. Won. (2009). A study on osteoporosis knowledge, self-Efficacy, health promoting behaviors and BMD among adult wom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Elji University, Daejeon. 

  14. E. B. Jo. (2017). Osteoporosis-related knowledge, health belief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working women in their early adulthood. Unpublished master's thesis, Ajou University, Suwon. 

  15. S. A. Hwang. (2017). Osteoporosis Knowledge, Self-Efficacy, Health Belief and Perceived Health Status. Women's health, 18(1), 1-17. 

  16. S. H. Jeong. (2014). The effect of the knowledge, health beliefs and self efficacy on osteoporosis preventive health behaviors among old-aged wom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Seoul. 

  17. E. H. Kong. (2012).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Web-based Education Program to Reduce Restraint Use for Nursing Home Caregivers.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Society, 14(3), 209-219. 

  18. S. M. Choi & M. S. Park. (2011). The Effects of Oral Care Education on Caregivers' Knowledge, Attitude, & Behavior toward Oral Hygiene for Elderly Residents in a Nursing Hom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1(5), 684-693. DOI : 10.4040/jkan.2011.41.5.684 

  19. R. Ailinger, H. Lasus & M. Ann Braun. (2003). Revision of the Facts on Osteoporosis Quiz. Nursing research, 52, 198-201. DOI : 10.1097/00006199-200305000-00010. 

  20. J. H. Jang. (2013). Evidence-based daily interventions for prevention and control of osteoporosis. http://www.cdc.go.kr/board.es?mida20602010000&bid0034&actview&list_no20996. 

  21. K. R. Ko. (2013). A Study of influencing factors for revitalizing nurses' role performance in the special care facility for the elderly.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22. S. K. Shim. (2015). A Study on the Influens of Care Worker's Perception of Publicness on Service Quality in Nursing Facility for the Elderly.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5(4), 220-233. DOI : 10.5392/JKCA.2015.15.04.220. 

  23. Y. J. Lee & J. S. Park. (2015). Relationship between Perception for Successful Aging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Late Middle Aged Women.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7(2), 1073-108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