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북지역 성인여성의 골다공증 지식, 골다공증관련 요인에 대한 관심 및 예방적 건강행동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osteoporosis knowledge, concern about osteoporosis factors, and health behavior to prevent osteoporosis of women in Jeonbuk area 원문보기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51 no.6, 2018년, pp.526 - 537  

이현주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영양교육전공) ,  노정옥 (전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전북지역 394명의 성인여성을 대상으로 골다공증 지식, 관련요인에 대한 관심 및 예방적 건강행동의 수준을 조사 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골다공증 지식의 총점은 12점 중 6.21점으로 '보통' 수준이며 전체 평균값은 0.59점, 평균정답률은 60.9%이었다. 골다공증관련 요인에 대한 관심의 총점은 40점 만점 기준 26.50점으로 '보통' 수준이었으며 전체 평균값은 3.31점이었다. 골다공증 예방을 위한 식습관은 31.92점, 운동습관 9.77점, 기호식품 제한은 15.57점이었으며 총점은 85점 기준 57.26점으로 '보통' 수준이었다. 조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골다공증관련 지식은 '연령', '월수입', '교육수준', '어릴 때 우유섭취', '건강관심도', '골다공증 정보'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골다공증관련 요인에 대한 관심은 '연령', '월수입', '건강관심도', '골다공증 정보', '골다공증 가족력', '칼슘제 복용'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골다공증 예방을 위한 건강행동은 '연령', '월수입', '어릴 때 우유섭취', '건강관심도', '골다공증 정보', '칼슘제 복용'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골다공증 예방을 위한 건강행동 실천에 미치는 관련변수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본 결과, 골다공증 예방적 건강행동 전체 1단계에서 설명해주는 변인은 '건강관심도'가 '많음', '연령', '건강관심도'가 '보통'의 순이며, 설명력은 28.5%이었다. 2단계에서는 골다공증관련 지식 투입에 따른 총 설명력은 30.1%이며 '건강관심도'가 '많음'의 영향력이 가장 크며, 그 다음이 '연령', '건강관심도'가 '보통', '골다공증 지식'의 순이었다. 3단계 골다공증요인 관심 투입에 따른 총 설명력은 41.1%이었다. 골다공증 예방 건강 행동에 대한 예측변인의 영향력은 '골다공증 요인 관심', '건강관심도'가 '많음', '연령', '건강관심도'가 '보통', '골다공증 지식'의 순이었다. 이상의 결과, 전북지역 성인여성의 골다공증에 대한 관심수준과 예방적 건강행동의 실천은 보통수준이었다. 그러나 골다공증관련 지식수준은 높은 수준은 아니었으나 골다공증예방을 위한 건강행동을 실천하는데 어느 정도의 영향력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골다공증관련 교육은 이를 실생활에 적용하기 위하여 골다공증 교육내용 및 교육 매체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하겠다. 골다공증은 더 이상 중년이후에 관심을 가져야하는 질병이 아닌 성장기부터 예방관리가 필요하므로 학교의 영양교육과정에 포함하여 청소년기부터 올바른 식습관 및 운동습관 등을 포괄적으로 지도할 수 있도록 학교, 보건소 및 교육청 등의 관련기관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겠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dentify women's osteoporosis knowledge, concerns about osteoporosis factors, and health behavior as well 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variables.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394 women in the Jeonbuk area.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a t-t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특히, 전북지역 여성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북지역의 성인여성을 대상으로 골다공증관련 지식과 관련요인에 대한 관심 및 예방적 건강행동간의 관계와 변인들 간의 상대적 영향력을 파악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하여 성인여성의 골다공증 예방 전략과 영양교육 자료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전북지역 394명의 성인여성을 대상으로 골다공증 지식, 관련요인에 대한 관심 및 예방적 건강행동의 수준을 조사 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골다공증 지식의 총점은 12점 중 6.
  • 본 연구는 전북지역 성인여성을 대상으로 골다공증 지식, 관련요인에 대한 관심 및 예방적 건강행동의 수준을 파악하고,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골다공증관련 지식, 골다공증 요인에 대한 관심이 골다공증 예방적 건강행동 실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조사하여 향후 효율적인 골다공증관련 영양교육을 지원하고자 시도된 연구 이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북지역의 성인여성을 대상으로 골다공증관련 지식과 관련요인에 대한 관심 및 예방적 건강행동간의 관계와 변인들 간의 상대적 영향력을 파악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하여 성인여성의 골다공증 예방 전략과 영양교육 자료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골다공증의 정의는? 골다공증은 낮은 골량과 골조직의 구조적 노화로 쉽게 골절로 이어질 수 있는 질환이다.1 골다공증은 중년여성의 주된 건강문제로 노령인구의 증가와 함께 환자 수는 증가 되는 추세이다.
골다공증은 주로 어떻게 진단받는 경우가 많은가? 1 골다공증은 중년여성의 주된 건강문제로 노령인구의 증가와 함께 환자 수는 증가 되는 추세이다.2-3 골다공증은 수년간 자각 증상 없이 점진적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건강검진 중에 발견되거나 골절로 인한 검사를 진행하다가 진단을 받게 되는 경우가 많다.4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5는 2012년 30세 이상 여성 골다공증 진단 환자 수는 약 194만 명이며, 50세이상의 골다공증성 골절 환자는 약 17만 명 이상으로 추정하였다.
선행연구에 따르면 골다공증의 주 원인인 골밀도 약화는 어떤 영향에 따라 좌우되는가? 선행연구3,6,7에 따르면 골밀도는 연령, 성별, 가족력 등의 유전적인 요인과 음주, 흡연, 식습관, 운동 등의 생활습관 요인 및 사회경제적 수준의 영향을 받는다. 우리나라의 20 ~ 30대의 여성은 연령이 증가할수록 골밀도가 증가하여 약 35세경 최대 골량에 도달하며 50세까지 완만한 감소를 보인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Ernahr Umsch Scholz-Ahrens 51 1 22 2004 

  2. Ernahr Umsch Strube 53 11 448 2006 

  3. Exerc Sci Kim 27 2 134 2018 10.15857/ksep.2018.27.2.134 

  4. Korean J Womens Health Whang 18 1 1 2017 

  5.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KR). Health insurance big data analysis, patients with osteoporosis fracture increased by 10.2% per year. Press Releases [Internet]. Wonju.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2017. cited 2017 May 10. Available from: http://www.nhis.or.kr 

  6. Ernahr Umsch Mertel 54 12 727 2007 

  7. Korean J Rehabil Nurs Jeon 19 2 148 2016 10.7587/kjrehn.2016.148 

  8. J Korean Med Assoc Yong 31 12 1350 1988 

  9. Ernahr Umsch Mann 53 11 447 2006 

  10. J Korean Acad Community Health Nurs Min 22 2 111 2011 10.12799/jkachn.2011.22.2.111 

  11. J Korean Acad Nurs Shin 35 5 850 2005 10.4040/jkan.2005.35.5.850 

  12. J Korean Acad Nurs Park 44 5 504 2014 10.4040/jkan.2014.44.5.504 

  13. J Radiol Sci Technol Lee 40 4 581 2017 10.17946/JRST.2017.40.4.07 

  14. Culin Sci Hosp Res Rha 21 4 284 2015 10.20878/cshr.2015.21.4.020020020 

  15. Korean J Food Nutr Lee 23 4 570 2010 10.4163/kjn.2010.43.6.570 

  16. J Korean Biol Nurs Sci Hyun 15 4 202 2013 10.7586/jkbns.2013.15.4.202 

  17. J Korean Diet Assoc Jho 20 2 110 2014 10.14373/JKDA.2014.20.2.110 

  18. J Korean Acad Soc Home Care Nurs Kim 20 2 133 2013 

  19. J Korean Community Nurs Lee 14 4 629 2003 

  20. J Radiol Sci Technol Kang 39 3 429 2016 10.17946/JRST.2016.39.3.18 

  21. J Korean Biol Nurs Sci Kim 12 3 195 2010 

  22. J Korean Soc Radiol Lim 5 6 363 2011 10.7742/jksr.2011.5.6.363 

  23. J Wellness Jeon 9 4 239 2014 

  24. Korean J Hum Ecol Chang 23 4 743 2014 10.5934/kjhe.2014.23.4.743 

  25. J Rheumatol Health Han 9 2 216 2002 

  26. J Rheumatol Health Kim 8 2 287 2001 

  27. Korean J Hum Ecol Rho 22 1 201 2013 10.5934/KJHE.2013.22.1.201 

  28.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Obesity. Diagnosis and evaluation [Internet]. Seoul.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Obesity. 2017. cited 2017 Jun 1. Available from: http://www.kosso.or.kr 

  29. Korean J Women Health Nurs Kim 11 1 52 2005 10.4069/kjwhn.2005.11.1.52 

  30. J Korean Soc Sch Health Educ Han 6 109 2005 

  31. J Korea Entertain Ind Assoc Yoo 10 1 137 2016 10.21184/jkeia.2016.02.10.1.137 

  32. Jo EB. Osteoporosis-related knowledge, health belief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working women in their early adulthood [dissertation]. Suwon:Ajou University; 2017. 

  33.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 health statistics 2014: the six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2) [Internet]. Cheongju.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5. cited 2017 Apr 28. Available from: https://www.cdc.go.kr/CDC/eng/main.jsp 

  34. Korean J Vis Sci An 20 1 23 2018 10.17337/JMBI.2018.20.1.23 

  35. Korean J Food Nutr Hong 25 1 156 2012 10.9799/ksfan.2012.25.1.156 

  36. J Korean Soc Food Sci Nutr Jung 39 7 1049 2010 10.3746/jkfn.2010.39.7.1049 

  37. J Nutr Health Seo 49 3 165 2016 10.4163/jnh.2016.49.3.165 

  38. Korean J Hum Ecol Rho 22 4 693 2013 10.5934/kjhe.2013.22.4.693 

  39. Korean J Exerc Nutr Han 10 2 89 2006 

  40.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 health statistics 2014: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3) [Internet]. Cheongju.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5. cited 2017 Apr 28. Available from: https://www.cdc.go.kr/CDC/eng/main.jsp 

  41. J Nutr Health Ryu 49 5 347 2016 10.4163/jnh.2016.49.5.347 

  42. J Korean Biol Nurs Sci Kim 19 4 241 2017 10.7586/jkbns.2017.19.4.24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