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독서에 대한 해석수준이 초등학생의 독서량과 독서의 재미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a Construal Level of Reading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Volume of Reading and Pleasure of Reading 원문보기

인지과학 = Korean journal of cognitive science, v.30 no.4, 2019년, pp.219 - 238  

김이영 (공주대학교) ,  어윤경 (공주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독서를 장려할 수 있는 심리적 요인을 탐색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구체적으로 목표 달성에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져 있는 해석수준을 조작하여 독서량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초등학생 200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면서 평소 독서 선호도가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 그리고 평소 독서량이 많은 집단과 적은 집단으로 구분하였다. 또한 독서를 왜 해야 하는지에 대해 생각해보는 추상적 해석수준 집단과 독서를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대해 생각해보는 구체적 해석수준 집단으로 구분한 후, 2주 동안의 독서량과 독서가 얼마나 재미있었는지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해석수준의 주효과를 확인하였다. 즉 구체적 수준의 해석을 한 집단이 추상적 수준의 해석을 한 집단보다 독서량이 많았다. 또한 평소 독서 선호도가 낮은 집단은 독서에 대해 구체적 수준의 해석을 할 때 독서량과 독서에 대한 재미가 증진되지만, 평소 독서 선호도가 높은 집단은 해석수준에 관계없이 독서량이 많고, 독서에 대한 재미가 높은 상호작용이 관찰되었다. 아울러 평소 독서량이 적은 집단은 독서를 구체적 수준으로 해석할 때 독서량이 증가하고, 독서에 대한 재미가 증진되지만, 평소 독서량이 많은 집단은 독서를 추상적 수준으로 해석할 때 독서에 대한 재미가 증진되는 상호작용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행동경제학적 연구에서 다루어져 왔던 해석수준의 효과를 독서라는 교육적 지도 분야로 확장했다는 점에서 시사점을 가진다. 또한 평소 어떤 일을 선호하는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 평소 어떤 일의 성과가 높은 사람과 낮은 사람에게 어떤 해석수준을 가지게 하는 것이 그 일에 대한 동기부여를 증진하는 것에 도움이 될 수 있는지 보여주었다는 측면에서 실무적인 시사점이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e current study is to explore psychological factors that can encourag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read. Specifically, the current study verified the effect of manipulating the construal level, which is known to influence goal achievement, on the reading volume of the student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목표행동에 대한 개인의 해석수준에 따라 달라지는 심리적 거리감 차이를 설명하는 해석수준이론(Construal-level theory)에주목하였고 추상적(abstract) 해석과 구체적(concrete) 해석(Trope & Liberman, 2010)의 차별적 효과를 탐색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이러한 선행연구의 한계를 보완하면서 한 걸음 앞으로 나아가고자 한다. 먼저 정상적인 발달 과정에 있는 초등학생을 독서 목표 달성 연구의 대상으로 하여 어떻게 하면 독서를 통해 초등학생의 인지 능력을 강화할 수 있는지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초등학생은 두 가지 측면에서 중요한 시기에 해당한다(Chomsky, 1972).
  • 본 연구는 네 가지 상호작용을 관찰하였다. 첫째, 해석수준과 평소 독서 선호도가 연구기간중 독서량에 미치는 상호작용이 나타났다.
  • , 2016; Wilmer, Sherman, & Chein, 2017). 이러한 청소년들에게 어떤 개입을 하면 인지능력 발달에 중요하지만, 시대적 요인 들로 인해 실행하기 어려운 독서를 하게 만들 수 있을까? 본 연구는 이 질문에 대한 한 가지 가능성을 탐색해보고자 이루어졌다.
  • 본 연구는 이러한 선행연구의 한계를 보완하면서 한 걸음 앞으로 나아가고자 한다. 먼저 정상적인 발달 과정에 있는 초등학생을 독서 목표 달성 연구의 대상으로 하여 어떻게 하면 독서를 통해 초등학생의 인지 능력을 강화할 수 있는지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해석수준이론에 의거하여 독서를 바라보는 해석수준에 따라 초등학생의 독서목표 달성이 달라질 수 있는가를 탐색하기 위하여 진행되었다. 구체적으로 평소 독서를 선호하는 집단과 그렇지 않은 집단, 평소 독서량이 많은 집단과 적은 집단으로 구분한 후, 독서를 왜 해야 하는지 질문하면서 독서에 대한 추상적 해석수준을 가지게 하거나, 독서를 언제, 어떻게 수행할 것인지 질문하면서 독서에 대한 구체적 해석수준을 가지게 했을 때, 연구 기간 중 어느 집단의 독서량이 증가하는지 그리고 어느 집단이 독서를 재미있어 하는지를 관찰하였다.

가설 설정

  • 가설: 독서에 대해 구체적으로 해석한 집단은 추상적으로 해석한 집단보다 독서를 많이 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독서가 특히 중요한 시기는 언제인가? 인간의 인지기능 형성과 발달에 필수적인 독서가 특히 중요한 시기는 초등학생부터 고등학생 시기로(Carver, 1990) 알려져 있다. 이 시기에 독서를 많이 한 사람은 성인이 되었을 때도 더 뛰어난 인지 능력을 지니게 되고(Scarborough, Dobrich, & Hager, 1991) 그렇지 않은 사람은 상대적으로 더 낮은 인지 능력을 지니게 되는데, 어린 시절에 발생했던 인지 능력 격차보다 2배 이상 증가한 격차를 보인다(Stanovich, 2009).
독서할 수 있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독서 능력은 인간이 가진 고유의 능력 중 하나로(Wise, Sevcil, Morris, Lovett, & Wolf, 2007) 단순히 문자를 읽어 해석하거나 의미전달로 그치는 것이 아니다. 독서할 수 있다는 것은 문자라는 상징 기호를 인간의 발성기관을 통해 만들어지는 음성으로 변환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는 것이고(Wolf, 1984), 그 발음에 해당하는 단어가 이 세계에 있는 것들 중 무엇을 지칭하는 것인지 안다는 것이다(Wolf & Gow, 1986). 또한 각각이 지칭하는 것들이 이어져서 만들어지는 문장을 이해할 수 있다는 것이며(Katzir, Kim, Wolf, O’Brien, Kennedy, Lovett, & Morris, 2006), 그 문장이 만들어 지는 문법적 구조를 이해했다는 것이다(Wise et al., 2010).
현시대는 멀티미디어를 활용하여 과거보다 쉽고 빠르게 다양한 정보와 지식을 획득하는 시대임에도 독서의 중요성이 줄어들지 않는 이유는? 그러나 이러한 환경 속에서도 독서의 중요성은 전혀 줄어들지 않았다 (Baron, 2017; Levine, Waite, & Bowman, 2013; Loh & Kanai, 2014). 왜냐하면, 정보를 수동적으로 획득하는 것과 정보를 처리하고, 정교화하고, 정보들을 조합하여 새로운 정보를 만들어내는 인지 능력은 전혀 다른 차원의 것이기 때문이다(Hartanto & Yang, 2016). 즉 이 시대는 다양한 정보에 대한 접근성이 용이해진 정보화 시대이지, 인지능력을 향상시키는 독서를 하지 않고 가만히 있어도 두뇌가 발달하고(Uncapher & Wagner, 2018), 기억력과 주의력과 같은 인지능력이 향상되는 시대가 아니라는 것이다(Fjortoft, Gettig, & Verdone, 201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4)

  1. 김동일, 김희주, 김희은, 안성진 (2018). 난독증 및 읽기 부진 학생 대상 프로그램의 효과 분석. 아시아교육연구, 19(2), 403-427. 

  2. 김상인 (2015). 난화기법이 난독증(dyslexia) 학생의 심리안정과 난독증 감소에 미치는 효과. 예술 심리치료연구, 11, 21-43. 

  3. 김선희, 박현숙 (2003). 반구 자극 중재가 난독증 아동의 읽기 향상에 미치는 효과. 특수교육학연구, 38(2), 57-84. 

  4. 김혜정 (2014). 국어교육 제재 선정과 독서 목록 구성에 대한 일고. 국어교육연구, 55. 

  5. 백재은 (2015). 독서치료 독서목록에서의 카테고리와 치유서의 관계 분석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6(2), 217-239. 

  6. 변우열 (1996). 중고등학교 필독도서목록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24, 243-274. 

  7. 이홍재, 김미라, 남기춘 (1998). 난독증의 이해: 난독증의 분류와 평가.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17(1), 1-24. 

  8. 한윤옥 (2004). 독서치료를 위한 상황별 독서목록의 기초적 요건에 관한 연구 II-사례분석을 통한 상황설정 및 분류체계 예시.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8(3), 249-275. 

  9. Baron, N. S. (2017). Reading in a digital age. Phi Delta Kappan, 99(2), 15-20. 

  10. Baumeister, R. F., Bratslavsky, E., Finkenauer, C., & Vohs, K. D. (2001). Bad is stronger than good. Review of General Psychology, 5(4), 323-370. 

  11. Cain, K., & Oakhill, J. (2011). Matthew effects in young readers: Reading comprehension and reading experience aid vocabulary development. Journal of Learning Disabilities, 44(5), 431-443. 

  12. Carver, R. P. (1990). Intelligence and reading ability in Grades 2-12. Intelligence, 14(4), 449-455. 

  13. Chomsky, C. (1972). Stages in language development and reading exposure. Harvard Educational Review, 42(1), 1-33. 

  14. Cunningham, A. E., & Stanovich, K. E. (1998). What reading does for the mind. American Educator, 22, 8-17. 

  15. de Jonge, P., & de Jong, P. F. (1996). Working memory, intelligence and reading ability in children.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21(6), 1007-1020. 

  16. Dhar, R., & Kim, E. Y. (2007). Seeing the forest or the trees: Implications of construal level theory for consumer choice. Journal of Consumer Psychology, 17(2), 96-100. 

  17. Fjortoft, N., Gettig, J., & Verdone, M. (2018). Smartphones, memory, and pharmacy education. American Journal of Pharmaceutical Education, 82(3), 7054-7054. 

  18. Fujita, K. (2008). Seeing the forest beyond the trees: A construal-level approach to self-control.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Compass, 2(3), 1475-1496. 

  19. Fujita, K., Henderson, M. D., Eng, J., Trope, Y., & Liberman, N. (2006). Spatial distance and mental construal of social events. Psychological Science, 17(4), 278-282. 

  20. Fujita, K., Trope, Y., Liberman, N., & Levin-Sagi, M. (2006). Construal levels and self-control.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90(3), 351-367. 

  21. Gable, S. L., & Haidt, J. (2005). What (and why) is positive psychology? Review of General Psychology, 9(2), 103-110. 

  22. Hansen, J., & Trope, Y. (2013). When time flies: How abstract and concrete mental construal affect the perception of time.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General, 142(2), 336-347. 

  23. Hart, B., & Risley, T. R. (2003). The early catastrophe: The 30 million word gap by age 3. American Educator, 27(1), 4-9. 

  24. Hartanto, A., & Yang, H. (2016). Is the smartphone a smart choice? The effect of smartphone separation on executive functions. Computers in Human Behavior, 64, 329-336. 

  25. Hirsch Jr, E. D., & Moats, L. C. (2001). Overcoming the language gap. American Educator, 25(2), 4-9. 

  26. Johnson, J., Fabian, V., & Pascual-Leone, J. (1989). Quantitative hardware stages that constrain language development. Human Development, 32(5), 245-271. 

  27. Katzir, T., Kim, Y., Wolf, M., O’Brien, B., Kennedy, B., Lovett, M., & Morris, R. (2006). Reading fluency: The whole is more than the parts. Annals of dyslexia, 56(1), 51-82. 

  28. Kirby, J. R., Desrochers, A., Roth, L., & Lai, S. S. V. (2008). Longitudinal predictors of word reading development. Canadian Psychology/Psychologie canadienne, 49(2), 103-110. 

  29. Lee, L., & Ariely, D. (2006). Shopping goals, goal concreteness, and conditional promotions.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33(1), 60-70. 

  30. Levine, L. E., Waite, B. M., & Bowman, L. L. (2013). Use of instant messaging predicts self-report but not performance measures of inattention, impulsiveness, and distractibility. Cyberpsychology, Behavior, and Social Networking, 16(12), 898-903. 

  31. Liberman, N., Sagristano, M. D., & Trope, Y. (2002). The effect of temporal distance on level of mental construal. Journal of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38(6), 523-534. 

  32. Liberman, N., & Trope, Y. (1998). The role of feasibility and desirability considerations in near and distant future decisions: A test of temporal construal theor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5(1), 5-18. 

  33. Liberman, N., Trope, Y., McCrea, S. M., & Sherman, S. J. (2007). The effect of level of construal on the temporal distance of activity enactment. Journal of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43(1), 143-149. 

  34. Liberman, N., Trope, Y., & Wakslak, C. (2007). Construal level theory and consumer behavior. Journal of Consumer Psychology, 17(2), 113-117. 

  35. Loh, K. K., & Kanai, R. (2014). Higher media multi-tasking activity is associated with smaller gray-matter density in the anterior cingulate cortex. Plos one, 9(9), e106698-e106698. 

  36. McCardle, P., Cooper, J. A., Houle, G. R., Karp, N., & Paul-Brown, D. (2001). Emergent and early literacy: Current status and research directions. Learning Disabilities: Research & Practice, 16(4), 183-85. 

  37. McCrea, S. M., Liberman, N., Trope, Y., & Sherman, S. J. (2008). Construal level and procrastination. Psychological Science, 19(12), 1308-1314. 

  38. Moisala, M., Salmela, V., Hietajarvi, L., Salo, E., Carlson, S., Salonen, O., ... & Alho, K. (2016). Media multitasking is associated with distractibility and increased prefrontal activity in adolescents and young adults. NeuroImage, 134, 113-121. 

  39. Muter, V., & Diethelm, K. (2001). The contribution of phonological skills and letter knowledge to early reading development in a multilingual population. Language learning, 51(2), 187-219. 

  40. Muter, V., Hulme, C., Snowling, M. J., & Stevenson, J. (2004). Phonemes, Rimes, Vocabulary, and Grammatical Skills as Foundations of Early Reading Development: Evidence From a Longitudinal Study. Developmental Psychology, 40(5), 665-681. 

  41. Pfost, M., Dorfler, T., & Artelt, C. (2012). Reading competence development of poor readers in a German elementary school sample: An empirical examination of the Matthew effect model. Journal of Research in Reading, 35(4), 411-426. 

  42. Rabinovich, A., Morton, T. A., Postmes, T., & Verplanken, B. (2009). Think global, act local: The effect of goal and mindset specificity on willingness to donate to an environmental organization. Journal of Environmental Psychology, 29(4), 391-399. 

  43. Ritchie, S. J., & Bates, T. C. (2013). Enduring links from childhood mathematics and reading achievement to adult socioeconomic status. Psychological Science, 24(7), 1301-1308. 

  44. Scarborough, H. S., Dobrich, W., & Hager, M. (1991). Preschool literacy experience and later reading achievement. Journal of learning Disabilities, 24(8), 508-511. 

  45. Schutte, N. S., Malouff, J. M., Hall, L. E., Haggerty, D. J., Cooper, J. T., Golden, C. J., & Dornheim, L. (1998).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measure of emotional intelligence.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25(2), 167-177. 

  46. Seligman, M. E. P., Steen, T. A., Park, N., & Peterson, C. (2005). Positive Psychology Progress: Empirical Validation of Interventions. American Psychologist, 60(5), 410-421. 

  47. Smith, C., Constantino, R., & Krashen, S. (1997). Differences in print environment for children in Beverly Hills, Compton and Watts. Emergency Librarian, 24(4), 8-9. 

  48. Stanovich, K. E. (2009). Matthew effects in reading: Some consequences of individual differences in the acquisition of literacy. Journal of Education, 189(1-2), 23-55. 

  49. Stanovich, K. E., Cunningham, A. E., & Feeman, D. J. (1984). Intelligence, cognitive skills, and early reading progress. Reading Research Quarterly, 19(3), 278-303. 

  50. Todorov, A., Goren, A., & Trope, Y. (2007). Probability as a psychological distance: Construal and preferences. Journal of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43(3), 473-482. 

  51. Tressoldi, P. E., Stella, G., & Faggella, M. (2001). The development of reading speed in Italians with dyslexia: A longitudinal study. Journal of Learning Disabilities, 34(5), 414-417. 

  52. Trope, Y., & Liberman, N. (2010). Construal-level theory of psychological distance. Psychological Review, 117(2), 440-463. 

  53. Trope, Y., Liberman, N., & Wakslak, C. (2007). Construal levels and psychological distance: Effects on representation, prediction, evaluation, and behavior. Journal of consumer psychology, 17(2), 83-95. 

  54. Ulkumen, G., & Cheema, A. (2011). Framing goals to influence personal savings: The role of specificity and construal level.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48(6), 958-969. 

  55. Uncapher, M. R., & Wagner, A. D. (2018). Minds and brains of media multitaskers: Current findings and future directions.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115(40), 9889-9896. 

  56. Vaessen, A., & Blomert, L. (2010). Long-term cognitive dynamics of fluent reading development. Journal of Experimental Child Psychology, 105(3), 213-231. 

  57. Verhoeven, L., van Leeuwe, J., & Vermeer, A. (2011). Vocabulary growth and reading development across the elementary school years. Scientific Studies of Reading, 15(1), 8-25. 

  58. Wakslak, C., & Trope, Y. (2009). The effect of construal level on subjective probability estimates. Psychological Science, 20(1), 52-58. 

  59. Wilmer, H. H., Sherman, L. E., & Chein, J. M. (2017). Smartphones and cognition: A review of research exploring the links between mobile technology habits and cognitive functioning. Frontiers in psychology, 8, 605. 

  60. Wise, J. C., Sevcik, R. A., Morris, R. D., Lovett, M. W., & Wolf, M. (2007). The relationship among 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y, listening comprehension, pre-reading skills, word identification skills, and reading comprehension by children with reading abilities.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50(4), 1093-1109. 

  61. Wise, J. C., Sevcik, R. A., Morris, R. D., Lovett, M. W., Wolf, M., Kuhn, M., . . . Schwanenflugel, P. (2010). The relationship between different measures of oral reading fluency and reading comprehension in second-grade students who evidence different oral reading fluency difficulties. Language, Speech, and Hearing Services in Schools, 41(3), 340-348. 

  62. Wolf, M. (1984). Naming, reading, and the dyslexias: A longitudinal overview. Annals of dyslexia, 34(1), 87-115. 

  63. Wolf, M., & Gow, D. (1986). A longitudinal investigation of gender differences in language and reading development. First language, 6(17), 81-110. 

  64. Wolf, M., & Stoodley, C. J. (2008). Proust and the squid: The story and science of the reading brain. New York, NY: Harper Perennial.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