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혐기성소화 슬러지 비율에 따른 미생물전기분해전지의 식종 특성
Startup of Microbial Electrolysis Cells with different mixing ratio of Anaerobic Digested Sludge and Buffer solution 원문보기

유기물자원화 = Journal of the Korea Organic Resources Recycling Association, v.27 no.4, 2019년, pp.51 - 59  

송근욱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에너지공학과) ,  백윤정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에너지공학과) ,  서휘진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에너지공학과) ,  장해남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에너지공학과) ,  정재우 (경남과학기술대학교 환경공학과) ,  이명은 (경남과학기술대학교 환경공학과) ,  안용태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에너지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실험실 규모 회분식 미생물전기분해전지 반응기 (유효부피 20 mL)를 이용하여 수소가스 생산 및 식종기간 특성을 조사하였다. 총 6 cycle 동안 0.9 V를 인가하여 식종슬러지 혼합 비율 (혐기성소화 슬러지:50 mM PBS)에 따른 수소생산 및 식종기간을 분석한 결과 혼합비 1:1 반응기에서 9.8-20.9 mL 수소를 생산하였으며, 수소함량은 66.8-79.6%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식종기간에 있어서는 혼합비 1:1 반응기 기준으로 약 12일 정도부터는 수소생산 및 전류밀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혼합비 1:2, 1:3, 1:4 반응기의 경우 cycle (2-6 cycle)에 따라 수소가스 생산량이 3.7-7.1 mL, 농도 5.8-65.8%로 변화하였으며, 혼합비 1:5, 1:6, 1:7 반응기의 수소가스 생산량은 0.5-0.7 mL, 농도 1.8-7.1%로 나타나 최대 혼합비 1:4까지 식종하는 것이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influence of anaerobic digested sludge and 50 mM PBS (phosphate buffer solution) mixing ratio (1:1, 1:2, 1:3, 1:4, 1:5, 1:6, 1:7) on hydrogen production and inoculation period were examined. MECs were operated in fed-batch mode with an applied voltage of 0.9 V. As a result, in the...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실험에서 실험실규모의 single chamber membraneless 반응조에서 하수처리장의 혐기성소화 슬러지를 식종원으로 사용하는데 있어 슬러지와 PBS의 혼합비율에 따른 식종기간 동안의 수소발생 및 유기물변화 등 성능을 비교하여 최적의 식종비율 및 기간을 찾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소의 특징은 무엇인가? 수소는 높은 에너지 밀도를 가지고 있으며 사용 후 오염물이 없는 청정한 에너지원이다1),2). 현재 수소는 주로 물 전기분해와 탄화수소 개질을 통해서 생산되고 있다1),3),4).
현재 수소는 주로 어떻게 생산되고 있는가? 수소는 높은 에너지 밀도를 가지고 있으며 사용 후 오염물이 없는 청정한 에너지원이다1),2). 현재 수소는 주로 물 전기분해와 탄화수소 개질을 통해서 생산되고 있다1),3),4). 바이오매스를 통해 수소를 생산하는 기술 중 하나인 미생물전기분해전지 (MEC,microbial electrolysis cell)는 다양한 생물전기화학기술 (MET, microbial electrochemical technology)의 대표적 기술 중 하나로 하⋅폐수의 유기물을 처리하며 동시에 수소와 메탄 등의 바이오가스를 생산할 수 있는 기술이다5),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Liu, W., Huang, S., Zhou, A., Zhou, G., Ren, N., Wang, A. and Zhuang, G., "Hydrogen generation in microbial electrolysis cell feeding with fermentation liquid of waste activated sludge", International Journal of Hydrogen Energy, 37(18), pp. 13859-13864. (2012). 

  2. Kim, K.-Y. and Logan, B. E., "Nickel powder blended activated carbon cathodes for hydrogen production in microbial electrolysis cells", International Journal of Hydrogen Energy. (2019). 

  3. Verhelst, S., "Recent progress in the use of hydrogen as a fuel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International Journal of Hydrogen Energy, 39(2), pp. 1071-1085. (2014). 

  4. Wang, Y.-Z., Zhang, L., Xu, T. and Ding, K., "Influence of initial anolyte pH and temperature on hydrogen production through simultaneous saccharification and fermentation of lignocellulose in microbial electrolysis cell", International Journal of Hydrogen Energy, 42(36), pp. 22663-22670. (2017). 

  5. Logan, B. E. amd Rabaey, K., "Conversion of Wastes into Bioelectricity and Chemicals by Using Microbial Electrochemical Technologies", Science, 337(6095), pp. 686-690. (2012). 

  6. Lu, L., Xing, D., Liu, B. and Ren, N., "Enhanced hydrogen production from waste activated sludge by cascade utilization of organic matter in microbial electrolysis cells", Water Research, 46(4), pp. 1015-1026. (2012). 

  7. Kadier, A., Simayi, Y., Abdeshahian, P., Azman, N. F., Chandrasekhar, K. and Kalil, M. S., "A comprehensive review of microbial electrolysis cells (MEC) reactor designs and configurations for sustainable hydrogen gas production", Alexandria Engineering Journal, 55(1), pp. 427-443. (2016). 

  8. Rozendal, R., Hamlelrs, H., Euverink, G., Metz, S. and Buisman, C., "Principle and perspectives of hydrogen production through biocatalyzed electrolysis", International Journal of Hydrogen Energy, 31(12), pp. 1632-1640. (2006). 

  9. Logan, B. E., Call, D., Cheng, S., Hamelers, H. V. M., Sleutels, T. H. J. A., Jeremiasse, A. W. and Rozendal, R. A., "Microbial Electrolysis Cells for High Yield Hydrogen Gas Production from Organic Matter", Environmental Science & Technology, 42(23), pp. 8630-8640. (2008). 

  10. Park, C., Lee, C., Kim, S., Chen, Y. and Chase, H. A., "Upgrading of anaerobic digestion by incorporating two different hydrolysis processes", Journal of Bioscience and Bioengineering, 100(2), pp. 164-167. (2005). 

  11. Huang, W., Zhao, Z., Yuan, T., Huang, W., Lei, Z. and Zhang, Z., "Low-temperature hydrothermal pretreatment followed by dry anaerobic digestion: A sustainable strategy for manure waste management regarding energy recovery and nutrients availability", Waste Management, 70, pp. 255-262. (2017). 

  12. Asztalos, J. R. and Kim, Y., "Enhanced digestion of waste activated sludge using microbial electrolysis cells at ambient temperature", Water Research, 87, pp. 503-512. (2015). 

  13. Kumar, G., Bakonyi, P., Zhen, G., Sivagurunathan, P., Kook, L., Kim, S.-H. and Belafi-Bako, K., "Microbial electrochemical systems for sustainable biohydrogen production: Surveying the experiences from a start-up viewpoint",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70, pp. 589-597. (2017). 

  14. Cusick, R. D., Bryan, B., Parker, D. S., Merrill, M. D., Mehanna, M., Kiely, P. D. and Logan, B. E., "Performance of a pilot-scale continuous flow microbial electrolysis cell fed winery wastewater", Applied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89(6), pp. 2053-2063. (2011). 

  15. Sim, J., Reid, R., Hussain, A., An, J. and Lee, H.-S., "Hydrogen peroxide production in a pilot-scale microbial electrolysis cell", Biotechnology Reports, 19, e00276. (2018). 

  16. Heidrich, E. S., Edwards, S. R., Dolfing, J., Cotterill, S. E. and Curtis, T. P., "Performance of a pilot scale microbial electrolysis cell fed on domestic wastewater at ambient temperatures for a 12 month period", Bioresource Technology, 173, pp. 87-95. (2014). 

  17. Cho, S.-K., Lee, M.-E., Lee, W. and Ahn, Y., "Improved hydrogen recovery in microbial electrolysis cells using intermittent energy input", International Journal of Hydrogen Energy. (2018). 

  18. Eaton, A. D., Franson, M. A. H., Association, A. P. H., Association, A. W. W. and Federation, W. E., "Standard methods for the examination of water & wastewater", 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 (2005). 

  19. Raynal, J., Delgen, J. P. and Moletta, R., "Twophase anaerobic digestion of solid waste by a multiple liquefaction reactors process", Bioresource Technology, 65(1-2), pp. 97-103. (1998). 

  20. McCarty, P. L., "Anaerobic waste treatment fundamentals, Part 1 : Chemistry and Microbiology", Public Works, Sept, pp. 107-112. (1964). 

  21. Jeong, K. H., Kang, H., Jeong, J. H., Kim, S. W. and Ahn, H. W., "Biogas production from daily cow manure using semi-continuously fed and mixed reactor", J. of Korea Society of Waste Management, 31(8), pp. 843-853. (2014). 

  22. Callaghan, F. J., Wase, D. A. J., Thayanithy, K.and Forster, C. F. "Co-digestion of waste organicsolids: batch studies" Bioresource Technol., 67, p.117. (199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