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장기 기후 변동성을 고려한 인공신경망 앙상블 모형 적용: 한강 유역 댐 유입량 예측을 중심으로
Application of Artificial Neural Network Ensemble Model Considering Long-term Climate Variability: Case Study of Dam Inflow Forecasting in Han-River Basin 원문보기

한국습지학회지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v.21 no.spc, 2019년, pp.61 - 68  

김태림 (연세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  주경원 (연세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  조완희 (K-Water 통합물관리처) ,  허준행 (연세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장기적인 기후 변동성을 고려하기 위하여 대기-해양 순환 패턴을 수치화한 기상인자가 수문 변수 예측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정확하고 안정적인 예측을 위해 인공신경망 기반의 예측 모형이 꾸준히 발전하고 있다. 기상인자를 활용하여 기후 변동성을 고려한 수문량 예측은 수자원 및 환경 보존의 장기적인 관리에 효율적으로 활용될 수 있으므로 수문 변수에 유의한 인자의 파악과 이를 활용한 예측 모형의 적용은 꾸준한 도전이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한강 유역 댐 유입량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성이 있는 대표 기상인자를 선정하고, 이를 인공신경망 앙상블 모형에 적용하여 댐 유입량 예측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앙상블 경험적 모드분해법을 활용하여 댐 유입량과 기상인자간의 통계적 상관성을 확인하였으며, 기존 단일 인공신경망 모형의 한계를 보완한 인공신경망 앙상블 모형을 구축하였다. 예측 수행 결과, 5개 댐 상관계수 평균이 훈련 기간에서 0.88, 검증 기간에서 0.68의 예측력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본 연구에서의 절차를 토대로 우리나라의 다양한 수문 변수와 기후 변동성간의 관계를 활용한 다양한 적용 사례가 나오길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climate indices represented by quantifying atmospheric-ocean circulation patterns have been widely used to predict hydrologic variables for considering long-term climate variability. Hydrologic forecasting models based on artificial neural networks have been developed to provide accurate a...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국내 수문 자료에 영향을 미치는 장기 기후 변동성을 고려한 예측을 수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EEMD를 활용하여 댐 유입량 자료의 내재된 주기를 추출한 후 다양한 기상인자와의 상관성 분석을 통해 한강 유역의 5개 댐 유입량 시계열과 유의한 상관성을 보이는 대표 기상인자를 선정하였다.
  • 이에 따라, 통계적 및 인공지능 기법과 모형은 다양한 적용을 통해 발전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한강 유역 댐 유입량에 영향을 미치는 대표 기상인자를 선정하고 이를 활용한 ANN 앙상블 모형을 구축하여 댐 유입량 예측을 수행하였다. 선정된 NINO12(-5), QBO(-1), AMO(-12)인자는 우리나라 댐 유입량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성을 가지고 보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ANN 모형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또다른 문제점은 은닉층의 최적 노드 수의 선정에 관한 불확실성이다. ANN 모형의 은닉층 최적 노드 수를 선정하는 방법은 일반적으로 가능한 모든 노드 수를 고려하여 예측을 수행한 후 가장 좋은 결과를 제공하는 경우를 최적 노드 수로 선정하는 trial-and-error 방법을 사용하기 때문에 많은 계산 시간이 소요된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최근 앙상블 개념을 활용한 ANN 모형의 개발이 확대되고 있으며 다양한 적용이 시도되고 있다(Cannon and Whitfield, 2002; Anctil and Nicolas , 2004; Boucher et al.
EEMD 는 무엇인가? EEMD는 시계열 자료에 백색잡음을 추가하고 체거름 알고리즘(sifting algorithm) 을 통해 자료를 분해한 뒤 최종적으로 앙상블의 평균을 사용하여 각 분해된 요소를 추출하는 방법이 다. 여기서 체거름 알고리즘을 간략하게 나타내면 아래과 같다.
ANN 앙상블 모형을 이용해 우리나라 한강 유역 댐 유입량 예측한 결과, 상관이 있는 인자는 무엇인가?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한강 유역 댐 유입량에 영향을 미치는 대표 기상인자를 선정하고 이를 활용한 ANN 앙상블 모형을 구축하여 댐 유입량 예측을 수행하였다. 선정된 NINO12(-5), QBO(-1), AMO(-12)인자는 우리나라 댐 유입량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성을 가지고 보였다. 해당 기상 인자를 입력 변수로 활용하여 ANN 앙상블 모형을 적용한 결과, 5개 댐 상관계수 평균이 훈련 기간에서 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Abbot, J, and Marohasy, J (2014). Input selection and optimisation for monthly rainfall forecasting in Queensland, Australia,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s, Atmospheric Research, 138, pp. 166-178. 

  2. Anctil, F, and Nicolas, L (2004). Generalisation for neural networks through data sampling and training procedures, with applications to streamflow predictions, Hydrology and Earth System Sciences, 8(5), pp. 940-958. 

  3. Boucher, MA, Perreault, L, and Anctil, F (2009). Tools for the assessment of hydrological ensemble forecasts obtained by neural networks, J. of Hydroinformatics, 11.3-4: 297-307. 

  4. Cannon, AJ, and Whitfield, PH (2002). Downscaling recent streamflow conditions in British Columbia, Canada using ensemble neural network models, J. of Hydrology, 259, pp. 136-151. 

  5. Huang, NE, Shen, Z, Long, SR, Wu, MC, Shih, HH, Zheng, Q, Yen, NC, Tung, CC, and Liu, HH (1998). The empirical mode decomposition method and the Hilbert spectrum for non-stationary time series analysis, Proceedings of the Royal Society A: Mathematical, Physical and Engineering Sciences, 354, pp. 903-995. 

  6. Jung, TH, Kim, H, Kim, H, and Heo, JH (2019). Selection of climate indices for nonstationary frequency analysis and estimation of rainfall quantiles, J.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39(1), pp. 165-174. [Korean Literature] 

  7. Kim, H, Kim, T, Shin, H, and Heo, JH (2017). A study on a tendency of parameters for nonstationary distribution using ensemble empirical mode decomposition method, J.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50(4), pp. 253-261. [Korean Literature] 

  8. Kim, SE, and Seo, IW (2015). Artificial neural network ensemble modeling with conjunctive data clustering for water quality prediction in rivers, J. of Hydro-Environment Research, 9 (3), pp. 325-339 

  9. Kim, T, Shin, JY, Kim, S, and Heo, JH (2018). Identification of relationships between climate indices and long-term precipitation in South Korea using ensemble empirical mode decomposition, J. of Hydrology, 557, pp. 726-739. 

  10. Kim, Y, and Cho, K (2016). Sea level rise around Korea: analysis of tide gauge station data with the ensemble empirical mode decomposition method, J. of Hydro-environment Research, 11, pp. 138-145. 

  11. Kolen, JF, and Pollack, JB (1991). Back propagation is sensitive to initial conditions, Advances in Neural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3, pp. 860-867. 

  12. Lee, T, and Ouarda, TBMJ (2019). Multivariate nonstationary oscillation simulation of climate indices with empirical mode decomposition, Water Resources Research, 55. https://doi.org/10.1029/2018WR023892. 

  13. Li, J, Liu, X, and Chen, F (2015). Evaluation of nonstationarity in annual maximum flood series and the associations with large-scale climate patterns and human activities, Water Resources Management, 29(5), pp. 1653-1668. 

  14. Mekanik, F, Imteaz, MA, Gato-Trinidad, S, and Elmahdi, A (2013). Multiple regression and artificial neural network for long-term rainfall forecasting using large scale climate modes, J. of Hydrology, 503, pp. 11-21. 

  15. Santos-Garcia, G, Varela, G, Novoa, N, and Jimenez, MF (2004). Prediction of postoperative morbidity after lung resection using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ensemble, Artificial Intelligence in Medicine, 30, pp.61-69. 

  16. Schepen, A, Wang, QJ, and Robertson, D (2012). Evidence for using lagged climate indices to forecast Australian seasonal rainfall, J. of Climate, 25, pp. 1230-1246. 

  17. Tiwari, MK, and Adamowski, J (2013). Urban water demand forecasting and uncertainty assessment using ensemble wavelet-bootstrap-neural network models, Water Resources Research, 49, pp. 6486-6507. 

  18. Wu, Z, and Huang, NE (2004). A study of the characteristics of white noise using the empirical mode decomposition method, Proceedings of the Royal Society of London. Series A, 460, pp. 1597-1611. 

  19. Wu, Z, Huang, NE, Long, SR, and Peng, CK (2007). On the trend, detrending, and variability of nonlinear and nonstationary time series, PNAS, 104(38), pp. 14889-14894. 

  20. Wu, Z, and Huang, NE (2009). Ensemble empirical mode decomposition: a noise-assisted data analysis method, Advances in Adaptive Data Analysis, 1(1), pp. 1-41. 

  21. Zaier, I, Shu, C, Ouarda, TBMJ, Seidou, O, and Chebana, F (2010). Estimation of ice thickness on lakes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 ensembles, J. of Hydrology, 383, pp. 330-34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