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PCK에 근거한 초등교사 임용후보자 선정경쟁시험의 과학과 문항 분석
An Analysis for Science Subject Item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 Employment Examination Based on PCK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9 no.5, 2019년, pp.585 - 597  

강훈식 (서울교육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교사 임용후보자 선정경쟁시험의 과학과 문항을 PCK 관점에서 분석하여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해당 문항 분석을 위한 분석 기준을 개발한 후 2013학년도 부터 2019학년도까지의 출제된 1차 전형 평가의 과학과 14개 문항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PCK 구성 요소 중에서는 '과학 내용에 관한 지식'이 가장 많이 출제되었고, 그 다음으로는 '과학 교수 전략에 관한 지식'도 비교적 많이 출제되었다. '과학 평가에 관한 지식', '학생에 관한 지식', '과학 교육과정에 관한 지식'은 비교적 매우 적게 출제되었다. 또한 특정 평가 영역과 평가 내용 요소들이 포함되지 않은 경우가 있었다. PCK 구성 요소 사이의 통합 수준에서는 PCK 구성 요소 중 2가지 측면의 통합이 2가지 유형으로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는 통합이 없는 경우도 많았다. 3가지 측면의 통합과 4가지 측면의 통합도 일부 나타났으나, 5가지 측면의 통합은 전혀 나타나지 않았다. '과학 내용에 관한 지식' 및 '과학 교수 전략에 관한 지식'과 다른 측면의 지식이 통합되어 있는 경우가 비교적 많았다. 하지만 '과학 평가에 관한 지식', '학생에 관한 지식', '과학 교육과정에 관한 지식'이 각각 다른 측면의 지식과 통합된 경우는 비교적 적었다. 이에 대한 교육적 함의를 논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science subject items in the first screening stage of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 employment examination based on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and provide suggestions for improving the items. For this purpose, an analysis framework to analyze the item...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에서 개발한 분석 기준과 사례는 초⋅중등 교사 임용시험 지필문항의 분석 연구에 유용한 시사점을 줄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초등교사 임용시험 문항에 포함된 PCK 구성 요소별 세부 요소와 PCK 구성 요소 사이의 상호작용 유형에 관한 분석 기준과 구체적인 분석 사례를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중등 과학교사 임용시험, 타 교과 초등 및 중등 교사 임용시험 지필문항의 분석 연구에서 분석 기준을 개발하고 실행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평가의 역할은? 일반적으로 평가는 학생의 학습 목표 수행 수준과 다양한 인지적 및 정의적 특성 파악, 교수 목표의 타당성과 학습 지도 방법의 유효성 점검 등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수업과 교육과정의질 개선을 위한 자료로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Cho et al., 2018; McMillan, 2004).
과학과 과목에 필요한 요건은? 그렇기 때문에 현 상황에서 어떤 평가 문항이 가장 효과적 이고 적절한지에 대한 고민이 절실히 요구된다. 가장 바람직한 초등 교사 임용시험 평가 문항에 대해서는 관점에 따라 다소 다를 수는 있지만, 적어도 초등교사가 과학을 가르치는 데 필요한 교과교육학 지식(PCK)을 의미 있게 측정하고 나아가 이 지식들을 신장시킬 수 있는 방향으로 출제되어야 한다는 것에는 공감대가 형성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특히 다양한 PCK 구성 요소들이 서로 유기적으로 연관되어 있고 평가 문항 개발 과정 및 결과에서도 함께 활용된다는 점(Black et al.
초등교사 임용제도는 어떤 필수 조건을 가져야 하는가? 따라서 초등교사 임용제도는 교육대학 교육과정을 충실하게 반영해야 함은 물론, 초등교사의 다양한 전문성을 효과적으로 평가할 수 있어야 한다. 특히 많은 예비 및 현직 초등교사들이 인문계 출신이어서 교육대학의 과학 관련 강좌를 수강하거나 학교 현장에서 과학을 가르칠 때 다양한 어려움을 겪고 있는 현실(Ji & Park, 2016; Kim & Park, 2015; Lee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Aydin, S., & Boz, Y. (2013). The nature of integration among PCK components: A case study of two experienced chemistry teachers. Chemistry Education Research and Practice, 14(4), 615-624. 

  2. Aydin, S., Demirdogen, B., Akin, F. N., & Uzuntiryaki-Kondakci, E. (2015). The nature and development of interaction among components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practicum.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46, 37-50. 

  3. Black, P., Harrison, C., Lee, C., Marshall, B., & Wiliam, D. (2004). Working inside the black box: Assessment for learning in the classroom. Phi Delta Kappan, 86(1), 8-21. 

  4. Cho, H., Kim, H., Yoon, H., Lee, K., & Ha, M. (2018). Theory of science education. Paju: Kyoyookbook Publication Co. 

  5. Cho, H., & Ko, Y. (2008). Re-conceptualization of secondary science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and its applica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8(6), 618-632. 

  6. Choi, J., Ji, E., Sim, J., Woo, A., Kim, B., & Choi, A. (2017). Analysis of the examination for selecting secondary school chemistry teachers. Journal of Research in Curriculum & Instruction, 21(4), 303-321. 

  7. Chung, H., Song, S., & Ok, H. (2017). An analysis of elementary teacher employment exam: Focusing on the Korean language arts items. Journal of Research in Curriculum & Instruction, 21(4), 290-302. 

  8. Falk, A. (2012). Teachers learning from professional development in elementary science: Reciprocal relations between formative assessment and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Science Education, 96(2), 265-290. 

  9. Jang, M. (2018). The pre-service teachers’ conceptions of the question ‘Why should students learn scienc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11(1), 55-62. 

  10. Jeong, J., & Noh, S. (2017). The effect of the open inquiry education program using science history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variable controlling abilities and hypothesis generating abilities. Journal of Learner- 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7(4), 193-214. 

  11. Ji, S., & Park, J. (2016). The beginni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difficulties to suffer in the science classes from the perspective of content knowledge and teaching method.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40(2), 116-130. 

  12. Kang, K. (2018). Analysis of physics education theory in the questions on the employment examination for secondary school physics teacher. New Physics: Sae Mulli, 68(1), 117-123. 

  13. Kang, Y., & Shin, Y. (2011). The effects of various instructional activities using the history of science on science learning motiva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30(3), 330-339. 

  14. Kim, B., Han, H., & Shim, K. (2016). Implications of teacher training for pre-service secondary biology teachers at the college of education through analysing the examination for appointing secondary school biology teachers. Biology Education, 44(1), 179-189. 

  15. Kim, I., Cha, J., Kim, C., & Kim, H. (2010). Difficulties experienced by preservice science teachers in studying the theory of science education for teacher selection test.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0(4), 429-436. 

  16. Kim, M., & Park, J. (2015). Teachers and students' difficulties to suffer in the classes on "World of small living things" unit of elementary school science. Biology Education, 43(3), 240-250. 

  17. Kim, S. (2016). A study on the tendency of music subject in elementary school teacher recruitment examination. Journal of Music Education Science, 26, 151-176. 

  18. Kim, S., Kim, H., Park, Y., & Wee, S. (2015).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eaching program about weather based on the history of science-CPS teaching model for elementary science gifted students.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5(12), 43-58. 

  19. Kwak, Y. (2018). Analysis of exam trend of earth science education in the secondary-school teacher employment test.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11(2), 78-89. 

  20. Kweon, J., & Shin, D. (2015). The effects of a teaching-learning program using the history of science on academic achievement, science attitude, and science process skill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focused on the unit of "Our body"-.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34(3), 325-337. 

  21. Lee, B., Shim, K., Shin, M., Kim, J., Choi, J., Park, E., Yoon, J., Kwon, Y., & Kim, Y. (2013). Relationship between science education researchers' views on science educational theories for pre-service science teachers and the examination for appointing secondary school science teacher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3(4), 826-839. 

  22. Lee, B., & Son, J. (2017). Analysis of optics problems in the examination for appointing secondary school physics teachers. Korean Journal of Optics and Photonics, 28(5), 187-193. 

  23. Lee, J. (2015). A study on mathematics question item trend in elementary school teacher selection test.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18(4), 431-448. 

  24. Lee, J. (2016a). An analysi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 recruitment examination focus on moral subject items.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6(12), 933-953. 

  25. Lee, S., Jhun, Y., Hong, J., Shin, Y., Choi, J., & Lee, I. (2007). Difficulties experienc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science classes.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6(1), 97-107. 

  26. Lee, W. (2016b). A validation of the primary English teacher employment test of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The Journal of Korea Elementary Education, 27(1), 189-212. 

  27. Lee, Y., & Kwak, Y. (2017). Education system and employment examination for secondary school teacher in Korea. Paju: kyoyookbook Publication Co. 

  28. Lim, A., & Jhun, Y. (2014). An analysis of teachers and students' difficulties in the classes on "Electric circuit" unit of elementary school science curriculum.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33(3), 597-606. 

  29. McMillan, J. H. (2004). Classroom assessment principle and practice for effective instruction. Boston: Allyn & Bacon. 

  30. Min, H. (2012). Development of assessment expertise model through analyzing realities of science teacher's student assessment and teacher training. (Doctoral dissert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eongju. 

  31. Ministry of Education (2015). Science curriculum. Ministry of Education Notification No. 2015-74 [supplement 9]. 

  32. Noh, T., Park., J., & Kang, H. (2016). Interactions among PCK components of pre-service secondary chemistry teachers considered in processes of making written test item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6(5), 769-781. 

  33. Park, D., Ka, E., Min, Y., Lee, Y., Lee, E., Imm, C., Jeong, E., & Cho, B. (2016).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eacher's employment test system according to competence-based educational environment (Research report 2016-14-3). Seoul: KOFAC. 

  34. Park, S., & Chen, Y. C. (2012). Mapping out the integration of the components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Examples from high school biology classroom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9(7), 922-941. 

  35. Park, S., Chung, W., & Park, K. (2015). Analysis of the introduced contents and the nature of science on the history of science in elementary school science textbooks according to the 2009 revised curriculum.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9(2), 221-238. 

  36. Park, S., Chung, W., & Park, Y. (2016). Analysis on the utilization of history of science and STEAM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s about design-based STEAM instruction applying the history of science in science class.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40(2), 166-188. 

  37. Park, S., & Oliver, J. S. (2008). Revisiting the conceptualization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PCK as a conceptual tool to understand teachers as professionals.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8(3), 261-284. 

  38. Shin, H., & Kim, H. (2010). Analysis of elementary teachers’ and students’ views about difficulties on open science inquiry activities.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9(3), 262-276. 

  39. Siegel, M. A., & Wissehr, C. (2011). Preparing for the plunge: Preservice teachers’ assessment literacy. Journal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22(4), 371-391. 

  40. Wee, S., Kwak, J., Cho, H., & Kim, H. (2008). The analysis of the teachers’ and students’ views about the difficulties within teaching & learning activity on geology units in elementary school science.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7(4), 420-436. 

  41. Yeau, S., Park, M., & An, J. (2017). Analysis of biology contents in the secondary school teacher’s certification examination of 2014-2017. Journal of Research in Curriculum & Instruction, 21(4), 383-397. 

  42. Yoon, H. (2004).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difficulties in science lessons.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3(1), 74-8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