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교육환경 변화에 따른 중등 과학교사 임용시험의 1차 전공영역에 대한 개선 방안 탐색
Exploring Ways to Improve the First Major Area of the Examination for Appointing Secondary Science Teachers with the Change of Educational Environment 원문보기

과학교육연구지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v.44 no.1, 2020년, pp.122 - 132  

곽영순 (한국교원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의 목적은 역량기반 교육과정으로의 전환 등과 같은 교육환경 변화에 부응하기 위해 과학과 중등교사임용시험에서 평가해야 할 교사역량을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현행 중등과학과 교사임용시험의 1차 전공영역 평가의 개선 방안을 모색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중등교사임용시험 출제경험이 있는 과학교육학 교수 18명을 대상으로 두 차례의 델파이 조사와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과학과 중등교사임용시험에서 평가해야 할 교사역량으로는 교수활동, 학생이해지도, 인공지능 등과 같은 지능정보활용, 공동체 전문성 등이 제안되었다. 과학과 중등교사임용시험 1차 과학내용학 시험 개선 방안으로는 문항수 증가를 통한 실질적 공정성과 타당도 제고, 중등학교 교육과정과의 연계성 제고, 10년 정도 주기로 표시과목 업데이트 등이 제안되었다. 중등교사임용시험 1차 과학교육학 시험 개선 방안으로는 과학교육학 문항 유형에 대한 연구·개발, 교과교육학을 논술형으로 출제, 과학 교육학에 대한 표준화된 커리큘럼 개발 등이 제안되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교사양성대학 교육과정 개정의 필요성, 과학과의 경우 사범대학과 자연대학의 커리큘럼 차별화의 필요성, 교육전문대학원 도입과 같은 교사양성체제 개혁의 필요성 등을 제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teacher expertise to be evaluated in the secondary science teacher employment test (TET, hereafter) in order to respond to changes in educational environments including the transition to competency-based curriculum, and ways to improve the first exam in m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장기적으로는 교사 양성기관의 교육내용을 개선하여 새로운 교육과정에 적합한 교사를 양성하는 것이 필요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우선적으로 중등학교의 역량기반 교육과정 및 교육환경 변화에 부응하기 위해 과학과 교사에게 어떠한 전문역량이 요구되는지를 탐색하고자 한다. 더 나아가서 교사에게 기대되는 전문역량을 평가・점검하는 역할을 하는 과학과 중등학교 교사임용후보자 선정경쟁시험(이하 중등교사임용시험)의 교과교육학 영역의 시험이 어떻게 개선되어야 하는지를 탐색하고자 한다. 즉, 핵심역량을 갖춘 인재양성에 효과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과학교사들을 선발할 수 있는 중등교사임용시험 개선 방안을 탐색하고자 한다.
  • 여기서 변화하는 교육환경이 요구하는 교사의 역할과 교직역량을 임용시험에서 모두 평가할 수 없다는 점을 기억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교사임용시험에서 평가해야 할 교직역량을 선정해보고, 이를 토대로 현행 중등과학과 교사임용시험의 1차 전공영역 시험의 개선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핵심역량, 학생참여형 수업 등과 같은 변화에 부응하려면, 무엇보다도 중등교사임용시험의 전공영역 시험 중 과학과 교과교육학 및 핵심개념 위주의 과학내용학 등에서 변화를 요청한다.
  • 먼저, 중등학교의 역량중심 교육과정을 구현하고 핵심역량을 갖춘 학생들을 길러내는 데 효과적으로 기여하기 위해 중등 과학과 교사들에게 요구되는 전문역량을 도출하고자 한다. 여기서 변화하는 교육환경이 요구하는 교사의 역할과 교직역량을 임용시험에서 모두 평가할 수 없다는 점을 기억할 필요가 있다.
  • 본 연구에서는 중등학교의 역량기반 교육과정으로의 전환 등과 같은 교육환경 변화에 부응하기 위해 중등 과학교사에게 요구되는 교직역량, 중등교사임용시험에서 평가해야 할 교직역량, 그리고 현행 중등과학과 교사임용시험의 1차 전공영역 시험의 개선 방안 등을 탐구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중등교사임용시험을 통해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평가해야 할 전문역량으로는 교수활동, 학생이해지도, 지능정보활용, 공동체 역량 등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에서는 현재 교사 임용후보자 선정 방법인 과학과 중등교사임용시험에 대한 전문가 집단의 인식과 요구를 분석하여 현행 평가 체제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평가 체제 개선 방안을 수렴하려고 하였다. 이에 중등과학과 교원양성 전문가로서 전국의 사범대학의 교수들 중 과학(물리, 화학, 생물, 지구과학) 교육을 전공한 교수들을 대상으로 델파이조사와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 여기서 제안한 2015 개정 통합과학 교육과정은 기존 ‘공통과학’ 과목과 달리 물리학, 화학, 생명과학, 지구과학을 관통하면서 자연현상을 설명할 수 있는 핵심개념(big ideas)을 선정하고, 물리학, 화학, 생명과학 및 지구과학의 관련 내용을 연계하여 성취기준을 진술함으로써, 자연현상에 대한 통합적인 접근과 융・복합적 사고를 길러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MOE, 2015).
  •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에서는 역량기반 교육과정으로의 전환 등과 같은 교육환경 변화에 부응하기 위해 과학교사에게 어떠한 교직역량이 필요한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교육과정의 변화는 이를 현장에서 실천하는 교원 인사제도(교원의 양성체제 및 교육과정, 자격 부여, 교원의 수급과 임용, 교원의 현직연수, 승진등)의 변화를 불가피하게 요구한다(MEST, 2010).
  •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핵심역량, 학생참여형 수업 등과 같은 변화에 부응하려면, 무엇보다도 중등교사임용시험의 전공영역 시험 중 과학과 교과교육학 및 핵심개념 위주의 과학내용학 등에서 변화를 요청한다. 이에 중등교사임용시험의 1차 과학과 전공영역시험에 초점을 두고 구체적인 개선 방안을 살펴보고자 한다.
  • 교육과정의 변화는 이를 현장에서 실천하는 교원 인사제도(교원의 양성체제 및 교육과정, 자격 부여, 교원의 수급과 임용, 교원의 현직연수, 승진등)의 변화를 불가피하게 요구한다(MEST, 2010). 장기적으로는 교사 양성기관의 교육내용을 개선하여 새로운 교육과정에 적합한 교사를 양성하는 것이 필요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우선적으로 중등학교의 역량기반 교육과정 및 교육환경 변화에 부응하기 위해 과학과 교사에게 어떠한 전문역량이 요구되는지를 탐색하고자 한다. 더 나아가서 교사에게 기대되는 전문역량을 평가・점검하는 역할을 하는 과학과 중등학교 교사임용후보자 선정경쟁시험(이하 중등교사임용시험)의 교과교육학 영역의 시험이 어떻게 개선되어야 하는지를 탐색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 전제한 교육환경 변화는 중등학교에서 2015개정 교육과정의 역량기반 교육과정 도입, 학생참여형 수업과 과정중심 평가 등과 같은 강조점 변화 등을 포함한다. 중등학교의 역량중심교육환경 및 정책 변화 등과 같은 교육환경 변화를 고려할 때 향후 중등학교 과학교사에게 요구되는 전문역량은 무엇이며, 과학과 중등교사임용시험에서 평가해야 할 교사역량은 무엇이고, 장차 중등과학과 교사임용시험의 1차 전공시험 개선 방안은 무엇인지 등을 질문하였다.
  • 더 나아가서 교사에게 기대되는 전문역량을 평가・점검하는 역할을 하는 과학과 중등학교 교사임용후보자 선정경쟁시험(이하 중등교사임용시험)의 교과교육학 영역의 시험이 어떻게 개선되어야 하는지를 탐색하고자 한다. 즉, 핵심역량을 갖춘 인재양성에 효과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과학교사들을 선발할 수 있는 중등교사임용시험 개선 방안을 탐색하고자 한다. 무엇보다도 과학과를 포함한 중등교사임용시험은 지식평가에 과도하게 의존적인 현행 체제의 한계를 벗어나 최근의 교육환경과 정책의 변화에 부응하는 방향으로 개선하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KEDI, 2017; KICE, 2016b).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Choi, S., Kim, B., Kim, D., Park, S., Chung, S., Kim, J., Yoo, M., & Ku, S. (2015).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new teacher employment examination system. Daegu: National Council of Superintendents of Education, Daegu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2. Chung, M., Kim, J., Ryoo, S., Park, I., & Moon, C. (2011). A study on improvement of the teacher recruitment system. KEDI Research Report RR 2011-05. Seoul: KEDI. 

  3. Eun, J., & Park, S. (2014). Diagnosis and improvement method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 recruitment tests. The Journal of Yeolin Education, 22(2), 67-95. 

  4. Hong, S., Nam, M., Lee, Y., Lee, D., & Park, S. (2017). The development of a teacher training program for the enhancement of teacher competence in an intelligent information society. KICE Research Report RRI 2017-2. Seoul: KICE. 

  5.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KEDI]. (2017). A study of innovation tasks of teacher policy according to educational environment (I): innovation tasks on training and recruitment policy of teacher. KEDI Research Report RR 2017-06. Seoul: KEDI. 

  6.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 Evaluation [KICE]. (2016a).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elementary and secondary teachers' employment examination system. KICE Research Material ORM 2016-26-2. Seoul, KICE. 

  7.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 Evaluation [KICE]. (2016b). Improvement of teacher employment examination system according to competency-based educational environment. KICE Research Material ORM 2016-14-3. Seoul, KICE. 

  8.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 Evaluation [KICE]. (2017). Simulation and refinement of the teacher employment examination improvement plan. KICE Research Material ORM 2017-72. Seoul: KICE. 

  9. Kim, U. (2013). Research on the improvement of teacher appointment examination system. Korean Education Inquiry, 31(4), 75-93. 

  10. Korea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and Creativity [KOFAC]. (2015). Development research of 2015 revised draft subject curriculum II: science curriculum. KOFAC Research report BD15110002. Seoul: KOFAC. 

  11. Korea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and Creativity [KOFAC]. (2018). Report on 2017 teacher training achievement of Integrated Science. Seoul: KOFAC. 

  12. Lee, H., Kwak, Y., Park, Y., Shin, Y., & Lee, H. (2018). A study on ways to improve in-service teacher training system through the analysis of teacher training programs in 2015 revised curriculum. MOE.CNUE. 

  13. Lee, Y., & Kwak, Y. (2017). Secondary school science teacher education and employment test in Korea. Paju: Kyoyookgwahaksa. 

  14.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MEST]. (2010). 2010 manual for certification of teachers. Seoul: Author. 

  15. Ministry of Education [MOE]. (2015). Overview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curriculum. MOE Notification No. 2015-74 [supplement 1]. 

  16. Ministry of Education [MOE]. (2016). Directions and strategies of mid-and long-term education policy for the intelligent information society (Press Release). Sejong: Author. 

  17. Ministry of Education [MOE]. (2017). 2017 Work Plan: Happy Education for all; Creative talents leading the future (Press Release). Sejong: Author. 

  18. Park, Y., Cho, J., & Kim, B. (2018). A study on the purpose and meaning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s teacher training institution. The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36(3), 91-119. 

  19. Partnership for 21st Century Learning (2014). Global-ready teacher competency framework: Standards and indicators. Retrieved January 22, 2018, from http://www.p21.org/storage/documents/Global_Education/P21_K-12_Global_Ed_Indicators.pdf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