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대학생의 운동 자기-도식과 운동행동에 관한 융합적 연구
The Study of Exercise Self-Schema and Exercise Behavior in Nursing Students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0 no.12, 2019년, pp.495 - 502  

공정현 (진주보건대학교 간호학부) ,  이해랑 (진주보건대학교 간호학부) ,  박찬경 (진주보건대학교 간호학부) ,  백명화 (진주보건대학교 간호학부) ,  최혜옥 (진주보건대학교 간호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운동 자기-도식과 운동행동간의 관계를 파악하여 간호대학생의 운동실천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2018년 11월 1일부터 11월 30일까지 J시에 소재한 대학의 간호대학생 178명에게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서술통계,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ion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운동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행동적 운동자기도식, 운동실천의도, 인지.감정적 운동자기도식 순이었으며, 설명력은 63.8%였다(F=104.59, p<.001). 본 연구를 바탕으로 간호대학생의 운동실천향상을 위해서는 올바른 운동자기도식을 형성시킬 수 있는 건강관련 교육과정 개발이 필요하며, 다양한 신체활동 프로그램을 운영할 수 있도록 대학차원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nursing college students' exercise self-schema and exercise behavior, and the factors affecting the adherence to In this study. Participantrs included 170 nursing students in J City from November 1 to November 30, 2018..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 1, 2학년을 대상으로 운동자기도식과 운동행위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운동실천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수행하였으며, 간호대학생의 건강한 생활 실천 향상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운동자기도식과 운동행동의 정도를 확인하고, 운동실천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운동자기도식과 운동행위 간의 관련성을 파악하고 운동실천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여 간호대학생들의 운동실천을 위한 효과적인 중재전략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되었다. 주요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논의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운동자기도식과 운동행동의 정도를 알아보고, 운동실천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간호대학생 1, 2학년을 대상으로 운동행동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여 간호대학생의 운동행동의 실천을 향상시키기 위한 전략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운동 자기-도식의 정의는 무엇인가? 이것은 개인마다 가지고 있는 운동 행동에 대한 이해의 틀인 운동 자기-도식으로 설명된다[5]. Kendzierski[6]는 운동 자기-도식에 대해 규칙적으로 운동을 실천하는 사람이고, 운동을 실천하는 것이 내 자아상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경우 자기도식이 있는 사람이라고 정의하였다. Park, Park[7]은 운동 자기-도식에 대해 행동적 운동 자기-도식과 인지.
행동적 운동 자기도식이 반영하고 있는 것은? 감정적 운동 자기도식으로 구분하여 운동 자기-도식이 단일개념이 아닌 다차원적인 개념임을 밝혀낸 바가 있다. 행동적 운동 자기도식은 개인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상황에서의 행동(운동계획, 운동형태, 운동실천의 여건)을, 인지, 감정적 운동 자기-도식은 개인의 생각과 느끼는 것(운동결가기대, 운동신념, 감정)을 반영하고 있다[7]. 운동 자기-도식에 선행연구에서 운동 자기-도식은 운동행동를 설명하는 유용한 변인으로[8] 운동 자기-도식은 운동행동와 정적상관관계가 있었다[9].
운동 자기-도식으로 설명가능한 것은 무엇이 있는가? 평소 운동이 부족할 경우 고혈압 및 심혈관질환과 같은 만성질환의 위험도를 상당히 높이는 요인이 되지만[2] 꾸준히 실시할 경우 대장암, 유방암, 제 2형 당뇨병, 골다공증, 비만, 과체중, 정신건강에 대한 강력한 예방 효과가 있어[3,4]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으나 개인의 실천율에서 많은 차이가 나고 있다. 이것은 개인마다 가지고 있는 운동 행동에 대한 이해의 틀인 운동 자기-도식으로 설명된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8).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http://kosis.kr 

  2. Y. H. Cho, C. H. Park & S. M. Yun. (2019). Predictors of physical activity anf risk of chronic diseasa in adult male. Korea Society for Wellness, 14(2), 529-540. DOI : 10.21097/ksw.2019.05.14.2.529 

  3. Department of health. (2004). At Least Five a Week: Evidence on the impact of physical activity and its ealationship to health. A report from the Chif Medical Officer. London. 

  4. R. K. Dishman, G. W. Health & I. M. Lee. (2018). Physical activity epidermiology (Ed.). Chapaign, Illinosis: Human Kinetics. 

  5. I. K. Park. (2011). The nature of exercise self-schemata, the development of exercise self-schemata sacle and its relation to exrecise behavior. Doctoral thesis. Ehwa Womans University, Seoul. 

  6. D. Kendzierski. (1988). Self-schmear and exercise. Basic and Applied Social Psychology, 9(1), 45-59. DOI : 10.1207/s15324834basp0901_4 

  7. I. K. Park & S. H. Park. (2012).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exercise self-schemata scale.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23(2), 41-55. DOI : 10.14385/KSSP.27.1.21 

  8. M. Y. Lee & I. K. Park. (2018). An empirical approach to the influence facor of exercise self-schema. Korean Journal of Sport Psychology, 29(1), 43-55. DOI : 10.14385/KSSP.29.1.43 

  9. I. K. Park & S. J. Kang. (2016). Physical activity and relationship with exercise self-schema, exercise imagery and exercise self efficacy in adults. Korean Journal of Sports Psychology, 27(1), 21-34. DOI : 10.14385/KSSP.27.1.21 

  10. S. W. Woo & Y. S. Park. (2015).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exercise needs and exercise self schema of the students participating in university physical activity classes. The Korean Journal of Sports Science, 24(4), 497-509. 

  11. P. Sheeran & S. Orbell. (2000). Self-schemata and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ur. European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30, 533- 550. 

  12. D. Kendzierski. (1990). Exercise self-schemata: cognitive and behavioral correlate. Health Psychology, 9, 69-82. DOI: 10.1037/0278-6133.9.1.69 

  13. Z. Yin & M. P. Boyd. (2000). Behaviral and cognitive correlates of self-schemata. The Journal of Psychology, 134, 269-282. 

  14. I. K. Park, Y. R. Kim & S. H. Park. (2016). The effect of exercise self-schema on reaction time related to physical activity information and physical activity. Korean Journal of Sport Psychology, 27(2), 65-78. DOI : 10.41385/KSSP.27.2.65 

  15. M. Y. Lee. (2014). The effcts of exercise self schema and exercise self efficacy on physical activity in the twenties. The Korean Journal of Sports Science, 23(4), 497-509. 

  16. I. K. Park & Y. H. Kim. (2013). College students stage of change, exercise self-schemata, and exercise adherence intention related to weekly exercise time. Korean Society of Sports Psychology, 24(2), 89-102 

  17. K. H. Song, H. M. Lim & S. Y. Kim. (2019). Relations between exercise self schema and temptation of quitting exercise according to the stage of exercise change among participants in sports for all. Journal of the Korean Convergence Society, 10(4), 219-227. DOI : 10.15207/JKCS.2019.10.4.219 

  18. M. S. Lee, M. O. Gu. (2017). Level of physical activity and influencing factors of the first and second year nursing students.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3(2), 53-67. DOI : 10.5762/KAIS.2017.18.6.53 

  19. I. K. Park. (2011). An Empirical approach to the nature of exercise self-schemata.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50(6), 235-247. 

  20. B. D. Suh. (2006). Influencing factors of exercise behavior change in nursing students. The Korean Academic Society of Adult Nursing, 18(4), 573-581. 

  21. S. M. Wang & I. A. Yoon, (2019). Analyzing the relationship and difference between the exercise participation, exercise self-schema, exercise adherence intention based on gender anf fitness app usage. Korea Society for Wellness, 14(3), 171-184. DOI : 10.21097/ksw.2019.08.14.3.171 

  22. S. Y. Kang & S. A. Kang. (2015). Mobile exercise monitoring for personalized exercise prescription. Korea Information Assurance Society, 15(5), 23-28. 

  23. H. Y. Lee & H. J. Oh. (2016). A study of meaning in life and subjective happiness by exercise behavior and learned resourcefulness in exercis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55(1), 235-245. 

  24. I. K. Park & Y. H. Kim. (2013). College students stage of change, exercise self-schemata, and exercise adherence intention related to weekly exercise time.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24(2), 89-102. 

  25. K. H. Song, H. M. Lim & S. Y. Kim. (2019). Relationship between exercise self-schema and temptation of quitting exercise according to the stages of exercise change among participants in sports for all.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10(4), 219-227. DOI : 10.5207/JKCS.2018.4.21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