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사별가족의 가족 탄력성, 사회적지지, 죽음인식, 죽음의 질이 사별 적응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Family Resilience, Social Support and Death Recognition on Quality of Death on the Adaptation of Bereavement Family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7 no.12, 2019년, pp.271 - 280  

허현점 (김해 신세계의원) ,  권영채 (가야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사별가족의 탄력성과 사회적지지, 죽음에 대한 인식, 죽음의 질이 사별 적응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실시하였다. 자료수집은 2018년 4월 21일부터 5월 30일까지 B시와 K지역에서 가족사별을 경험한 대상자들에게 눈덩이 표추럽을 이용하여 236명에게 자가보고 서문지를 배포하였다. 자료분석 방법은 SPSS Win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상관관계, 위계적 다중 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사별적응 정도는 3.5점, 가족탄력성은 3.8점으로 하부영역으로는 신념체계가 3.9점으로 가장 높았다.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사별적응을 잘 할 것이다는 기각되었으나 가족 탄력성에서 신념체계, 죽음인식, 죽음의 질이 사별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사별가족을 위한 사회적 지지망을 구축하고 죽음준비교육과 웰다잉을 위한 교육 등 죽음이 보다 아름답고 존엄한 죽음이 되기 위한 프로그램 마련 및 교육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resilience, social support, perception of death and quality of death affect the bereavement adaptation. Data collection was collected from 2 April to 30 May 2018 by distributing self-reporting questionnaires to 236 people using the eyeball presentation me...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가족을 사별한 주 돌봄자를 대상으로 가족 탄력성, 사회적지지, 죽음인식, 죽음의 질이 사별가족의 사별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여 사별적응을 높이기 위함이며,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사별가족의 가족탄력성, 사회적지지, 죽음에 대한 인식, 죽음의 질이 사별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이를 검증하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사별가족의 가족탄력성, 사회적지지, 죽음인식, 죽음의 질이 사별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사별가족들이 경험하는 다양한 사별적응 과정에 대해 이해를 도모하며, 사별가족의 사별적응을 향상 시키기 위한 이론적, 실천적 근거를 제시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가족탄력성의 하위변수 신념체계, 조직유형, 의사소통, 사회적 지지의 하위변수 가족지지, 친구지지, 특정인(의료인)지지와 죽음에 대한 인식, 고인의 죽음의 질을 각각 독립변수로 투입하여 영향력을 검증한 결과 사별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통제변수는 건강상태가 건강하지 않음과 단체나 모임이 주2회 이상이 나왔다.
  • 본 연구는 요양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사별가족의 가족탄력성, 사회적지지, 죽음인식, 죽음의 질 정도를 파악하고, 사별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실시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가족을 사별한 주 돌봄 자를 대상으로 가족 탄력성, 사회적 지지, 죽음의 인식, 죽음의 질, 사별 적응 정도를 알아보고 가족 탄력성, 사회적 지지, 죽음의 인식 및 고인의 죽음의 질이 사별가족의 사별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함으로써 사별가족의 사별적응에 대한 이론적인 배경과 교육 필요성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가족탄력성의 긍정적 효과는? 가족탄력성이란 가족들이 위기상황에 직면한 문제의 극한 상황에서 역경을 극복하고 이겨낼 수 있는 잠재적인 능력을 의미하고[5], 사별 가족들의 슬픔이나 가족 스트레스 등 부정적인 영향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결속력과 친밀감이 향상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가족탄력성은 사별가족이 다양한 위험에 직면하여 가족기능 해체와 같은 부정적인 양상의 위기상황을 보다 잘 관리하고 대처하며 가족결속력이 강화되는 등 긍정적인 양상으로 작용한다[6].
사별가족의 특징은? 우리나라의 연간 사망자수는 28만 1천명으로 하루에 768명이 사망하고 사망자 한 명당 4인 가족을 기준으로 볼 때 사별가족은 연간 1,124천명에 달한다[1]. 사별가족은 신체적, 재정적 악화와 심리적 고통, 그리고 복합적 슬픔을 경험하기도 한다. 사별가족에 대한 슬픔은 사회적 적응을 하기 위해 관심을 가져야 할 시기이며 갑작스럽게 사별경험을 한 유가족들의 빠른 사회적응을 할 수 있도록 대응책을 마련하여야 한다.
죽음의 질을 향상시키는 방법은? 주 돌봄자의 긍정적인 임종태도는 생의 말기에 삶의 질 향상과 품위있는 죽음을 맞이할 수 있도록 하고[10], 편안한 임종을 맞을 수 있도록 주 돌봄자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11]. 따라서 죽음과정을 가장 가까이에서 경험하는 가족들의 죽음에 대한 인식은 고인의 죽음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http://www.mohw.go.kr/react/search/search.jsp#fileShowBtn2 

  2. M. S. Stroebe & R. O. Hansson. (2002). Hand book of Bereavement Research: Consequences, Coping, and Care.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3. S. Bhatnagar & S. Joshi. (2013). A Good Death-Sequence(Not Stigma), to an Enigma Called Life: Case Report on End-of-Life Decision Making and Care. American Journal of Hospice & Palliative Medicine, 30, 625-627. 

  4. H. S. Jang. (2011). Elderly women's adaptation process on separation by death in rural areas.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31(4), 939-967. 

  5. D. Saleebey. (2006). The Strengths perspective in Social Work Practice: Extensions & Cautions. Social Work, 41(3), 296-305. 

  6. S. Siberberg. (2001). Searching for family resilience. Family Matters, (58), 52. 

  7. Y. S. Eo. (2010). Effects of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on family resilience caregivers with disabled children. Journal of Emotional & Behavioral disorders, 35(2), 209-226. I410-ECN-0102-2012-370-000963059 

  8. S. Y. Kim, Y. E. Jang & H. J. Seo. (2011). The influence of marital satisfaction on the suicidal ideation of the elderly,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31(2), 305-319. 

  9. J. H. Kang & S. J. Han. (2013). A study of intensive care unit nurses' understanding of the meaning of death, death anxiety, death concern and respect for life, Korean journal of Hospise and Palliative care, 16(2), 80-89. DOI: http://dx.doi.org.eproxy.pusan.ac.kr/10.14475/kjhpc.2013.16.2.080 

  10. H. H. Kim. (2016). The adaptation process of family with sudden bereavement. Unpublished doctor's thesis, Graduate School of In-je University, Pusan. 

  11. E. M. Hong, M. D. Jeon & E. S. Park. (2013). Death perceptions, death anxiety, and attitudes to death in oncology nurses, Asian oncology nursing, 13(4), 265-272. DOI : http://dx.doi.org.eproxy.pusan.ac.kr/10.5388/aon.2013.13.4.265 

  12. M. H. Lee. (2013). Exploratory study on social welfare perspective to well-being and well-dying. Puplic policy research, 30(1), 121-143. 

  13. B. J. Byun. (2016). The impact of understanding death of workers at elderly care facilities and well-dying on work performance during terminal care. Unpublished doctorr's thesis, Graduate School of Daegu Haany University, Daegu. 

  14. D. Carr. (2004). Gender, Preloss Marital Dependence, and Old Adults' Adjustmen. 

  15. C. M. Sanders. (1989). The mourning after dealing with adult bereavement. New York :Wiley-Interscience Publication. 

  16. E. Wethington & R. C. Kessler. (1992). Situations and processes of coping In J. Eckenrode(Ed), The social context of coping. New York: Plenum press. 

  17. E. S. Sohn. (2007). A study on adjustment to windowhood among older adults-on the focus of gender difference, Korean journal of Family social work, 21, 289-322. 

  18. S. J. Chang. (1019). Sposal bereavement-related stress and psychosocial bereavement adjustmenr in late adulthood: moderating effects of dual process coping and social support, Korean joural of Social welfare, research, 60, 165-191. DOI : https://doi.org/10.17997/SWRY.60.1.7. 

  19. F. Walsh. (2002). A family resilience fram work : Innovative practice applications, Family Relations, 51, 130-137. 

  20. J. Y. Park & K. S. Kim. (2012). The impact of family 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affecting the psychological welfare of single parents. Journal of Family relations, 17(1), 23-46. 

  21. G. D. Zimet, N. W. Dahlem, S. G. Zimet & G. K. Farley. (1998). The multidimensional sc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52(1), 30-41. DOI : 10.1207/s15327752jpa5201_2 

  22. M. Miyashita. et al. (2007). Good death in cancer care: a nationwide quantitative study. Ann Oncol, 18(6), 1090-1097. 

  23. S. M. Kim & S. H. Kwon. (2018). Influential factors of complicated grief of bereaved spouses from cancer patien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8(1), 59-69. DOI: 10.4040/jkan.2018.48.1.59 

  24. S. J. Jang. (2016). The factors influencing post-bereavement growth among windows/widowers in later life: analysis according to gender,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51, 163-196. DOI : 10.17997/SWRY.51.1.7 

  25. E. M. Hyun. (2008). A study on the effect of stress and family resilines on the family adjustment of single-mother families, Korean journal of Family welfare, 13(4), 59-84. 

  26. Patterson. (2002). Quadagno, Jil Aging and the Life Course:An Introduction to Social Gerontology. New York: The Mc Graw-Hill Comanies. 375. 

  27. L. Ward, J. L. Mathias & S. E. Hitchings. (2007). Relationships between bereavement and cognitive functioning in older adults. Gerontology, 53, 362-372. 

  28. J. H. Yang & S. R. Shin. (2016). A studt of relationship between death perception, spiritual well being and terminal care stress of geriatric hospital nurses.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7(2), 510-520. DOI : 10.5762/KAIS.2016.17.6.5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