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재가 치매노인 배우자의 건강 관련 삶의 질 예측요인
Predictors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Spouses of Older Adults with Dementia in the Community-dwelling 원문보기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v.30 no.4, 2019년, pp.518 - 527  

장혜영 (한양대학교 간호학부) ,  한송이 (선문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spouses of older adults with dementia based on an ecological model. Methods: This study used data from the 2015 Korean Community Health Survey with the subjects of 541 spouses of older ad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치매노인 돌봄 과정에서 배우자가 경험하게 되는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측면의 돌봄 경험은 배우자가 생활하고 있는 환경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19] 이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재가 치매노인 배우자의 건강 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보다 포괄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생태학적 이론[18]을 적용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다차원적인 접근을 통해 건강 관련 삶의 질 영향요인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이에 대한 이해를 높일 뿐만 아니라 치매노인 배우자의 돌봄 역할 수행과 적응을 지원하고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적절한 중재개발의 기틀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 본 연구는 재가 치매노인 배우자를 대상으로 건강 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2015년 지역사회건강조사 원시자료를 이용한 이차 자료분석의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재가 치매노인 배우자의 건강 관련 삶의 질과 이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 연구결과 치매노인과 거주하는 배우자의 건강 관련 삶의 질은 0.
  • 본 연구의 목적은 재가 치매노인 배우자를 대상으로 생태체계적 관점에서 건강 관련 삶의 질 예측요인을 파악하는 것으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한편, 치매노인 배우자의 건강 관련 삶의 질에 가족과의 관계는 영향을 주지 않았으며 오히려 지역사회체계 요인인 이웃과의 연락빈도가 중요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는 예전과 다른 가족관계 변화를 시사하는 바이다. 즉 가족에게 의지하기보다는 본인의 신체활동 여부나 이웃과의 관계가 중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 치매노인의 증가와 함께 이들을 돌보는 가족, 특히 배우자의 수가 증가하면서 이들의 삶의 질 향상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재가 치매 노인 배우자의 건강 관련 삶의 질과 영향 요인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결과 재가 치매노인배우자의 건강 관련 삶의 질은 일반 노인에 비해 다소 낮았으며, 개인체계 요인인 지각된 건강상태과 신체활동, 지역사회체계 요인인 이웃과의 연락빈도, 그 외 스트레스 인지와 우울 등이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중간체계란 무엇인가? 개인체계는 성격, 생리학적 반응, 심리적 자원과 같은 요인들을 포괄하며 미시체계는 개인체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인접환경으로 가족 내 경험, 이웃과의 경험 등의 요인을 포괄한다. 중간체계는 서로 연결된 미시체계들로 구성된 체계를 의미하며 외체계는개인과 간접적으로 관련된 환경 구조들을 포괄하고, 거시체계는 사회경제와 정치체계, 대중매체와 같은 영향을 포괄하는 체계이다.
노인의 일상적 기능과 안녕상태를 평가하는데 유용한 개념은 무엇인가? 또한 배우자가 주 부양자인 경우 이들이 느끼는 부양부담감은 다른 가족 구성원에 비해 높으며[6], 이들의 건강 관련 삶의 질도 낮게 나타났다[7]. 건강 관련 삶의 질은 신체적,정신적, 사회적 측면을 주관적으로 평가하는 건강상태이며[8], 개인의 건강에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영향을 미치는 주관적이고 다차원적인 개념이다[9]. 이는 노인의 일상적 기능과 안녕상태를 평가하는데 유용한 개념으로[10] 돌봄과 관련된 많은 연구에서 다루어지고 있다[11].
돌봄제공자의 삶의 질 전반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요인은 무엇인가? 치매노인의 돌봄은 신체적, 정서적, 사회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이는 돌봄제공자의 삶의 질 전반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요인이다. 또한 배우자가 주 부양자인 경우 이들이 느끼는 부양부담감은 다른 가족 구성원에 비해 높으며[6], 이들의 건강 관련 삶의 질도 낮게 나타났다[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U.S. Census Bureau, An aging world: 2015. International population reports. Washington DC: U.S. Government Publishing Office; 2016 March. Report No.: P95/16-1. 

  2. Statistics Korea. 2018 Statistics aging [Internet]. Daejeon: Statistics Korea. 2019 [cited 2019 September 10]. Available from: https://www.kostat.go.kr/portal/korea/kor_nw/1/1/index.board?bmoderead&aSeq370779 

  3. Central Dementia Center. 2018. 2016 National dementia epidemiology survey [Internet]. Seongnam: Central Dementia Center. 2018 [cited 2019 September 16]. Available from: https://www.nid.or.kr/notification/data_view.aspx?board_seq76 

  4. Andreakou MI, Papadopoulos AA, Panagiotakos DB, Niakas D. Assessment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for caregivers of alzheimer's disease pati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Alzheimer's Disease. 2016:1-7. https://doi.org/10.1155/2016/9213968 

  5. Jeong KH, Oh YH, Kang EN, Kim JW, Sunwoo D, Oh MA, et al. 2014 Survey of living conditions of older persons. Sejong: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4 December. Report No.: Policy Report 2014-61. 

  6. Gaugler JE, Mittelman MS, Hepburn K, Newcomer R. Clinically significant changes in burden and depression among dementia caregivers following nursing home admission. BMC Medicine. 2010;8:85. https://doi.org/10.1186/1741-7015-8-85 

  7. Kim EY, Yeo JH. Factors associated with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family caregivers of elders receiving home care servic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012;23(2):117-126. https://doi.org/10.12799/jkachn.2012.23.2.117 

  8. The EuroQol Group. EuroQol- a new facility for the measurement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Health Policy. 1990;16:199-208. 

  9. DeLateur BJ. Quality of life: A patient-centered outcome.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1997;78:237-239. 

  10. Kim SY, Sohn SY. Factors related to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n rural elderly women.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2012;14(2):91-98. 

  11. Crellin NE, Orrell M, McDermott O, Charlesworth G. Self-efficacy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family carers of people with dementia: A systematic review. Aging & Mental Health. 2014;18(8):954-969. https://doi.org/10.1080/13607863.2014.915921 

  12. Kim SY. Caregiving condition and factors affecting on the QOL of the family caregivers of demented elderly in Ulsan metropolitan city. Social Science Research. 2003;19:99-146. 

  13. Kim MS, Kim DH, Kim JS, Park KY, Park NH.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women caregivers of older adults with dementia.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07;19(1):24-34. 

  14. Baek JH. The impact of prior relationship and marriage duration on stress appraisals, well-being, and life quality for spousal caregivers of dementia sufferers. Journal of Korea Gerontological Society. 2007;27(1):255-272. 

  15. Yoon K. Effects of caregiving burden on gain and family quality of life among dementia family caregivers: The moderating role of coping strategies. Korean Journal of Gerontological Social Welfare. 2017;72(1):257-282. 

  16. Kim HR. Predicting factors for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older adults at senior centers in Korea.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2014;16(2):95-106. 

  17. Kim JI. Levels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EQ-5D) and its related factors among vulnerable elders receiving home visiting health care services in some rural areas. Journal of Korean Community Nursing. 2013;24(1):99-109. 

  18. Bronfenbrenner U. The ecology of human development: Experiments by nature and design, MA: Havard University Press. 1979. 330 p. 

  19. Jang HY, Yi M.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study on caring experience of spouses of elderly people with dementia at hom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7;47(3):367-379. https://doi.org/10.4040/jkan.2017.47.3.367 

  20.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ommunity health survey 2015. Survey Report. Osong: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2017 January. Report No.: 11705. 

  21. Han MA, Ryu SY, Park J, Kang MG, Park JK, Kim KS.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ssessment by the EuroQol-5D in some rural adults.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2008;41(3):173-180. 

  2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 health statistics 2016: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I-1) [Internet]. Os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7. [cited 2019 September 10]. Available from: https://knhanes.cdc.go.kr/knhanes/sub04/sub04_03.do?classType7 

  23. Moon JH, Kim YS. Comparison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health and quality of life between general adults and adults living with dementia patients: The 2016 community health survey.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2018;12(2):57-65. 

  24. Vaillant N, Wolff FC. On the reliability of self-reported health: Evidence from Albanian data. Journal of Epiderminology and Global Health. 2012;2(2):83-98. https://doi.org/10.1016/j.jegh.2012.04.003 

  25. Kim YB, Lee SH. Effects of the elderly's health statuses, health behavior, and social relations on their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Focusing on family typ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018;29(3):310-321. https://doi.org/10.12799/jkachn.2018.29.3.310 

  26. Farina N, Page TE, Daley S, Brown A, Bowling A, Basset T, et al. Factors associated with the quality of life of family carers of people with dementia: A systematic review. Alzheimer's & Dementia. 2017;13(5):572-581. https://doi.org/10.1016/j.jalz.2016.12.010 

  27. Cheon SH, Chang SO, Kong GS, Song MR.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community-based respite program for family caregivers of elders with dementia. Journal of Korean Academy Fundamental Nursing. 2011;18(3):337-347. 

  28.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2018 Long term care insurance statistical yearbook [Internet]. Wonju: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2019. [cited 2019 September 15]. Available from: https://www.nhis.or.kr/wbdya/wbdyaList.xx 

  29. Papastavrou E, Andreou P, Middleton N, Tsangari H, Papacostas S. Dementia caregiver burden association with community participation aspect of social capital.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15;71(12):2898-2910. https://doi.org/10.1111/jan.12762 

  30. Jeon BR, Kim DJ. Systematic review on intervention program for family caregivers of people with dementia.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2019;13(1):51-6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