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표고 톱밥배지에서 분리한 배양 진균의 다양성 분석
Diversity analysis of culture-dependent fungal species isolated from the sawdust media of Lentinula edodes 원문보기

Journal of mushrooms = 한국버섯학회지, v.17 no.4, 2019년, pp.179 - 184  

김민근 (경상남도농업기술원 환경농업연구과) ,  심순애 (경상남도농업기술원 환경농업연구과) ,  최시림 (경상남도농업기술원 환경농업연구과) ,  홍광표 (경상남도농업기술원 환경농업연구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표고 재배방식의 변화와 함께 톱밥재배가 증가됨에 따라 재배과정에서 발생 가능한 다양한 진균류를분리, 동정하고 이들에 대한 다양성 분석하고자 시험을 수행하였다. 경남지역 5개 농가로부터 수집된 시료에서 405균주를 분리하고 이들에 ITS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24속 42종을 확인하였다. 분리된 진균들에 대한 동정결과 Penicillium 속이 11종, Trichoderma속 4종이 확인되어 높은 다양성을 보여주었다. T. harzianum 의 경우 5개 농가에서 수집된 모든 시료에서 확인되었으며, Penicillium brevicompactum의 경우 3개 농가에 확인되었다. 2개 농가에서 확인되어진 Scytalidium cuboideum의 경우 표고 톱밥배지 조기부후 및 버섯 발생 저해 등의 피해증상이 확인됨에 따라 주의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또한 표고 톱밥재배의 경우 다양한 진균류이 존재가능하기 때문에 재배사 내부의 환경관리 및 예방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diversity of culture-dependent fungal species in the sawdust media of Lentinula edodes. A total of 405 fungi were isolated from the specimens and identified to belong to 24 genera and 42 species. Among the identified 42 species of fungi, 26.2% belonged to ...

주제어

표/그림 (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표고 재배방식의 변화와 함께 톱밥재배가 증가됨에 따라 재배과정에서 발생 가능한 다양한 진균류를 분리, 동정하고 이들에 대한 다양성 분석하고자 시험을 수행하였다. 경남지역 5개 농가로부터 수집된 시료에서 405균주를 분리하고 이들에 ITS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24속 42종을 확인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표고 톱밥재배 농가에서 재배중인 배지를 대상으로 실험실내에서 배양 가능한 곰팡이를 분리, 동정하고 그들의 분포수준과 빈도를 분석함으로서 표고 재배사내의 곰팡이 다양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표고는 어떤 분해효소를 생산하는가? 표고(Lentinula edodes)는 담자균문(Basidomycota), 구멍장이버섯과(Polyporaceae) 잣버섯속(Lentinus), 송이과 (Tricholomataceae) 표고속(Lentinula)에 속하는 버섯으로 한국을 비롯하여 중국, 대만, 일본 등 동북아시아지역에서 주로 생산, 소비되고 있다. 참나무류 그루터기에서 발생되는 백색부후균으로 목질을 분해할 수 있는 리그린 분해효 소를 생산하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며(Field et al., 1993) 식용 및 약용으로 널리 이용되어져 오고 있다.
표고의 특징은 무엇인가? 표고(Lentinula edodes)는 담자균문(Basidomycota), 구멍장이버섯과(Polyporaceae) 잣버섯속(Lentinus), 송이과 (Tricholomataceae) 표고속(Lentinula)에 속하는 버섯으로 한국을 비롯하여 중국, 대만, 일본 등 동북아시아지역에서 주로 생산, 소비되고 있다. 참나무류 그루터기에서 발생되는 백색부후균으로 목질을 분해할 수 있는 리그린 분해효 소를 생산하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며(Field et al.
표고버섯의 효능은 무엇인가? , 1993) 식용 및 약용으로 널리 이용되어져 오고 있다. 표고버섯은 Lentinan에 의한 항종양 작용(Suzuki and Oshima, 1976) 과 Eritadenine에 의한 혈중 콜레스테롤 저하 작용 (Jong and Birmingham, 1993), 면역조절(Yap and Ng, 2001), 심장혈관의 혈당저하(Enman et al., 2007), 간 기 능개선(Akamatsu et al., 2004), 항바이러스(Takehara et al., 1979)등 많은 약리작용이 보고되었다. 1920년 후반부터 시작된 표고버섯 재배는 참나무를 이용한 원목재배방 식으로 이루어져 왔으며 대한산림조합연합회에서 우량종균을 육성 보급하면서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Lee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Akamatsu S, Watanabe A, Tamesada M, Nakamura R, Hayashi S, Kodama D, Kawase M, Yagi K. 2004. Hepatoprotective effect of extracts from Lentinus edodes Mycelia on dimethylnitrosamine-induced liver injury. Biol Pharm Bull 27: 1957-1960. 

  2. Enman J, Rova U, Berglund KA. 2007. Quantification of the bioactive compound eritadenine in selected strains of shiitake mushroom (Lentinus edodes). J Agric Food Chem 55: 1177-1180. 

  3. Field JA, Jong E, Feijoo-Costa G, Bont JAM. 1993. Screening for ligninolytic fungi applicable to the biodegradation of xenobiotics. Trends Biotechnol 11: 44-49. 

  4. Gea FJ, Tello JC, Navarro MJ. 2003. Occurrence of Verticillium fungicola var. fungicola on Agaricus bitorquis mushroom crops in Spain. J Phytopathol 151: 98-100. 

  5. Inglis PW, Burden JF. 1996. Evidence for the association of the enteric bacterium Ewingella americana with internal stipe necrosis of Agaricus bisporus. Microbiology 142: 3253-3260. 

  6. Jang CS, Min KT, Kim ME. 2012. Monthly Shiitake observations (December). KERI. 1-4. 

  7. Jong SC, Birmingham JM. 1993. Medicinal and therapeutic value of the Shiitake mushroom. Adv Appl Microbiol 39: 154-184. 

  8. Kim, TS, Lee, HW, Song, GW, Shin, WG. 1998. King oyster mushroom (Pleurotus eryngii) white mold disease caused by Cladobotryum varium. KSM News Lett 11:46. 

  9. Kim MK, Ryu JS, Lee YH, Yun HD. 2007. First report of Pantoea sp. induced soft rot disease of Pleurotus eryngii in Korea. Plant Dis 91: 109. 

  10. Kim CS, Park MS, Kim SC, Maekawa N, Yu SH. 2012. Identification of Trichoderma, a competitor of shiitake mushroom (Lentinula edodes), and competition between Lentinula edodes and Trichoderma species in Korea. Plant Pathol J 28: 137-148. 

  11. Ko HG, Kim SC, Choi SG, Noh JH, Lee BS. 2009. Oak mushroom production infrastructure project reports. Forest Mushroom Research Center, Korea. 186-192. 

  12. Korea Forest Service. 2018. 2018 Statistical yearbook of forestry. Daejeon, Korea. 294. 

  13. Lambshead PJ, Platt HM, Shaw KM. 1983. The detection of differences among assemblages of marine benthic species based on assessment of dominance and diversity. J Nat Hist 17: 859-874. 

  14. Lee CG, Lee WG, Yoon KH, Bak WC, Jeong DG, Lee TS. 1994. Shiitake cultivation technic.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Research Reports No. 87. Korea. 

  15. Margalef DR. 1958. Information theory in ecology. Gen Syst 3: 36-71. 

  16. Okamoto, H, Sato M, Isaka M. 1999. Bacterial soft rot of winter mushroom and oyster mushroom caused by Erwinia carotovora subsp. carotovora. Ann Phytopathol Soc Japan 65: 460-464. 

  17. Ospina-Giraldo MD, Royse DJ, Chen X, Romaine CP. 1999. Molecular phylogenetic analyses of biological control strains of Trichoderma harzianum and other biotypes of Trichoderma spp. associated with mushroom green mold. Phytopathology 89: 308-313. 

  18. Pielou EC. 1975. Ecological diversity. John Wiley, New York, USA. 165. 

  19. Samuels GJ, Dodd SL, Gams W, Castlebury LA, Petrini O. 2002. Trichoderma species associated with the green mold epidemic of commercially grown Agaricus bisporus. Mycologia 94: 146-170. 

  20. Sharma VP, Sharma S, Kumar S, Gupta M, Kamal S. 2016. Cob web and dry bubble diseases in Lentinula edodes cultivation-A new report. International Society for Mushroom Science 2016. 130-134. 

  21. Statistics Korea. 2015. 2015 Agriculture, forestry & fishery census report. Daejeon, Korea. 608-623. 

  22. Sun J, Bian Y. 2012. Slippery Scar: A New Mushroom Disease in Auricularia polytricha. Mycobiology 40: 129-133. 

  23. Suzuki S, Oshima S. 1976. Influence of Shiitake on human serum cholesterol. Mushroom Sci. 9: 463. 

  24. Takehara M, Kuida K, Mori K. 1979. Antiviral activity of viruslike particles from Lentinus edodes (Shiitake). Arch Virol 59: 269-274. 

  25. Tian FH, Li CT, Li Y. 2017. First report of Penicillium brevicompactum causing blue mold disease of Grifola frondosa in China. Plant Dis 101: 1549. 

  26. Yap AT, Ng ML. 2001. An Improved Method for the Isolation of Lentinan from the Edible and Medicinal Shiitake Mushroom, Lentinus edodes (Berk.) Sing. (Agaricomycetideae). Int J Med Mushrooms 3: 9-2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