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구치 결손 환자에서 제3대구치의 교정적 활용
Orthodontic protraction of the third molars to the posterior teeth missing area 원문보기

Journal of dental rehabilitation and applied science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v.35 no.4, 2019년, pp.260 - 269  

이강규 (전북대학교 치과대학 치과교정학교실 및 구강생체과학연구소) ,  박제혁 (전북대학교 치과대학 치과교정학교실 및 구강생체과학연구소) ,  전진 (전북대학교 치과대학 치과교정학교실 및 구강생체과학연구소) ,  강재연 (전북대학교 치과대학 치과교정학교실 및 구강생체과학연구소) ,  김정기 (전북대학교 치과대학 치과교정학교실 및 구강생체과학연구소) ,  전영미 (전북대학교 치과대학 치과교정학교실 및 구강생체과학연구소)

초록

구치 결손 부위가 장기간 방치될 경우 후방 구치의 근심이동과 대합치 정출 등의 원치 않는 치아이동, 치조골의 소실, 치아치조 교합의 붕괴를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치아상실 후 가능한 빠른 시일 내에 결손 부위에 대한 보철 수복 치료를 권장하고 있지만, 제3대구치 등 잔존 치아를 결손 부위의 적절한 위치로 이동시키는 교정치료를 병행할 경우 최적의 크기와 형태로 보철 수복이 가능하고, 기능교합 시 힘의 분산을 고르게 할 수 있으며, 수복의 범위를 최소화하여 생역학적으로 보다 유리한 치주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본 증례는 다수의 구치부 치아를 상실한 두 환자를 비교하여 구치부 치아 결손 환자에서 제3대구치의 교정적 활용시 고려할 사항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rolonged neglect of the posterior teeth missing area may cause mesial drift, extrusion, unexpected movement of the adjacent teeth and alveolar bone loss with occlusion collapse. Therefore it is recommended to treat that area by the prosthesis as soon as possible after tooth missing. However, i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7), cephalometric 분석에서 골격적 I급 관계와 큰 FMA(Frankfort mandibular plane angle), 작은 IIA (interincisor angle)을 보였다(Table 3). Hyperdivergent 양상의 골격적 I급 관계를 가지고 있는 skeletodentoalveolar dysplasia로 진단하고 상하악의 crowding, 절단연 교합, 다수의 구치부 결손을 문제 목록으로 파악하여 치료 계획을 세웠다.
  • Leveling 후 정출되어 있던 상악 제2대구치의 intrusion을 시행하고 근심 이동해야 하는 제2대구치의 치체 이동을 도모하기 위해 tip back을 부여한 L-loop을 사용해 공간폐쇄를 진행했고 이 때, 매복되어 있는 제3대구치의 효과적인 근심이동을 위해 골성 고정원을 사용했다. 하악 좌측 부위에 임플란트 식립을 위한 공간을 남기고, 후방 치아의 mesial tipping을 방지하며 근심이동을 시행하여 교정치료를 마무리했다.
  • Root rest와 우식에 이환된 치아를 발치하고 정출되어 있는 치아의 intrusion 후 단일 구치가 결손된 부위는 후방구치를 통한 치아 결손부위 공간폐쇄를 계획했으며 제1, 2 대구치가 모두 결손된 하악 좌측 부위는 제3대구치 전방견인으로 치아 상실부위 공간 크기를 줄인 후 임플란트를 식립하기로 했다.
  • Leveling 후 근심경사되어 있는 구치를 up-righting 시키기 위해 one piece intrusion arch를 사용하고 tip back을 부여한 L-loop과 구치 근심이동을 위한 골성 고정원을 사용했다. 매복되어 있던 하악 좌측 제3대구치의 자연 맹출 후 leveling을 위해 sectional L-loop을 사용했고,hyperdivergent한 안모 개선을 위해 상악 구치부 intrusion을 시행했다. 환자는 5년 2개월의 교정치료 후 양호한 구치부 교합관계와 임플란트 식립 공간을 얻을 수 있었고 임플란트 최종 수복을 완료했다.
  • 2), cephalometric 분석에서 골격적 II급 관계 와 큰 IMPA (the angle of the lowermost tangent to the mandible and the long axis of mandibular incisors), 정상 범위의 상악 전치부 치축을 확인할 수 있었다(Table 1). 이 환자를 골격적 II급 관계를 가지고 있는 skeletodentoalveolar dysplasia로 진단하고 다수 구치부 치아의 root rest, 대합치의 extrusion 및 하악 정중선의 좌측 편 위를 문제 목록으로 파악하여 치료 계획을 세웠다.
  • Root rest와 예후가 불량한 치아를 발치하고 전방부 crowding을 해소 후 단일 구치가 결손된 부위는 후방 구치의 근심이동을 통해 치아결손 부위 공간을 폐쇄 하기로 계획했다. 제1, 2대구치가 결손된 상악 좌측, 하악 우측부위는 제3대구치 전방견인으로 치아 상실부위 공간을 줄인 후 임플란트를 식립하기로 했다.

대상 데이터

  • 두 번째 환자는 24세 남성으로 위 덧니를 배열하고 싶다는 주소로 내원했다. 구외소견과 구내 소견상 다수의 구치부 치아 결손과 대합치의 정출, 결손부위로의 tipping 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Fig.
  • 임플란트 식립 전 대합치 정출 해소를 위해 19세 여성환자가 내원했다. 구외사진과 구내 소견상 다수의 구치부 root rest와 이로 인한 대합치의 정출, 인접치의 mesial-in rotation 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Fig.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보철 수복 치료의 장점은? 장기간 방치된 구치 결손부위는 대합치의 정출, 인접치의 tipping, 치조골의 소실 등을 야기할 수 있으며 이러한 문제를 예방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결손부위에 직접 보철 수복 치료가 이루어지고 있다. 보철 수복 치료는 짧은 시간 안에 결손부위를 회복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지만 치아 결손 공간을 교정적으로 재정비하여 잔존 치아를 적절한 위치로 이동시키면 최적의 크기와 형태로 보철 수복이 가능하고, 기능교합 시 힘의 분산을 고르게 할 수 있다.1,2 더불어 교정적 치아 이동을 통한 결손부위의 공간폐쇄 시 추가적인 보철 수복 없이 건전한 자연치아로 결손부위를 회복할 수 있어 치주 생리적으로 보다 이점을 가질 수 있다.
장기간 방치된 구치 결손부위가 야기할 수 있는것은? 장기간 방치된 구치 결손부위는 대합치의 정출, 인접치의 tipping, 치조골의 소실 등을 야기할 수 있으며 이러한 문제를 예방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결손부위에 직접 보철 수복 치료가 이루어지고 있다. 보철 수복 치료는 짧은 시간 안에 결손부위를 회복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지만 치아 결손 공간을 교정적으로 재정비하여 잔존 치아를 적절한 위치로 이동시키면 최적의 크기와 형태로 보철 수복이 가능하고, 기능교합 시 힘의 분산을 고르게 할 수 있다.
구치부 치아 결손환자의 치료에 중요한것은? 구치부 치아 결손은 기능적, 심리적으로 큰 상실을 초래한다. 따라서 결손부위에 대한 회복이 매우 중요한데, 흔히 인접치, 대합치 등과의 관계에 따른 공간적 평가와 수정 없이 즉각적인 보철 수복이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그 중요성을 생각하여 제3대구치의 형태와 위치, 건전성, 맹출 가능성, 환자가 수용 가능한 치료기간 등을 평가 후 적절한 증례를 선택하여 결손부위를 보철 수복 없이 자연치로 대체하거나 혹은 최적의 보철 수복이 가능하게 한다면 보다 효율적이며 궁극적으로 환자 친화적 치료를 시행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Graber LW, Vanarsdall RL, Vig KW, Huang GJ. Orthodontics current principles and technique. 6th ed. Seoul; Elsevier; 2017. p. 644-97. 

  2. Kokich VG, Spear FM. Guidelines for managing the orthodontic-restorative patient. Semin Orthod 1997;3:3-20. 

  3. Nanda R. Esthetics and biomechanics in orthodontics. 2nd ed. Seoul; Elsevier; 2015. p. 567-87. 

  4. Tomonari H, Yagi T, Kuninori T, Ikemori T, Miyawaki S. Replacement of a first molar and 3 second molars by the mesial inclination of 4 impacted third molars in an adult with a Class II division 1 malocclusion.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2015;147:755-65. 

  5. Gooris CG, Artun J, Joondeph DR. Eruption of mandibular third molars after second-molar extraction: a radiographic study.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1990;98:161-7. 

  6. Orton-Gibbs S, Crow V, Orton HS. Eruption of third permanent molars after the extraction of second permanent molars. Par1: Assessment of third molar position and size.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2001;119:226-38. 

  7. Orton-Gibbs S, Orton S, Orton H. Eruption of third permanent molars after the extraction of second permanent molars. Part 2: Functional occlusion and periodontal status.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2001;119:239-44. 

  8. De-la-Rosa-Gay C, Valmaseda-Castellon E, Gay-Escoda C. Spontaneous third-molar eruption after second-molar extraction in orthodontic patients.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2006;129:337-44. 

  9. De-la-Rosa-Gay C, Valmaseda-Castellon E, Gay-Escoda C. Predictive model of third molar eruption after second molar extraction.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2010;137:346-53. 

  10. Richardson ME, Richardson A. Lower third molar development subsequent to second molar extraction.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1993;104:566-7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