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부지역의 노인에서 구강보건교육 경험이 주관적 구강건강수준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Oral Health Education Experience on Subjective Oral Health Level of Elderly in Some Area 원문보기

한국임상보건과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clinical health science, v.7 no.2, 2019년, pp.1298 - 1307  

성미애 (수성대학교 치위생과) ,  최성숙 (수성대학교 치위생과) ,  이윤희 (대구보건대학교 치위생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to correlations between oral health education experience and subjective oral health level of elderly in Yeongnam region. Method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254 elderly in Yeongnam region.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cross Analysis, t-test(One-way ANOVA), logistic reg...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5%로 나타나 노인이 사회에서 소외되기 쉬운 위치임에도 불구하고 입에서 냄새까지 나는 경우는 특히 대인관계에 많은 어려움을 겪을 수 있으며 소외감도 느낄 수 있다고 하였다. 또한 구강건조증은 주관적 구강 건강인지도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다12)라고 하였음으로 본 연구에서는 의치장착여부, 구취, 구강건조증의 주요 주관적 구강상태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구강보건교육은 구강건강을 합리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구강건강에 대한 관심, 지식, 태도 및 행동을 변화시키기 위한 과정으로13), 이러한 구강건강행위의 개선이 높을수록 본인 스스로 평가하는 주관적 구강건강수준은 높아졌으며14), 이는 구강증상 및 기능제한, 구강불편감과 통증과 연관성이 있어 주관적 구강건강상태의 연구는 매우 필요하다.
  • 본 연구는 대구·경북 지역의 65세 이상의 노인을 대상으로 주관적 구강건강수준과 구강보건교 육과의 관련성 및 관련요인을 분석하여, 노인들에게 맞춤형 구강보건교육의 프로그램 개발 및 활용방안을 위해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 정책은 노년기의 주요 구강질환 관리에 대한 건강보험보장성의 확대 등 구강보건정책이 사후적 관리에만 치중되어 있고, 구강건강을 위한 예방적 정책은 상대적으로 미흡한 상황이다15). 이에 따라 노인의 구강보건교육의 경험이 노인의 구강건강상태, 주관적 구강건강수준과의 관련성을 연구하여 노인의 구강보건교육프로그램의 질적 향상과 활성화를 위한 참고자료 및 방안이 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구강보건교육이란 무엇인가? 또한 구강건조증은 주관적 구강 건강인지도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다12) 라고 하였음으로 본 연구에서는 의치장착여부, 구취, 구강건조증의 주요 주관적 구강상태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구강보건교육은 구강건강을 합리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구강건강에 대한 관심, 지식, 태도 및 행동을 변화시키기 위한 과정으로13), 이러한 구강건강행위의 개선이 높을수록 본인 스스로 평가하는 주관적 구강건강수준은 높아졌으며14), 이는 구강증상 및 기능제한, 구강 불편감과 통증과 연관성이 있어 주관적 구강건 강상태의 연구는 매우 필요하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 정책은 노년기의 주요 구강질환 관리에 대한 건강보험보장성의 확대 등 구강보건정책이 사후적 관리에만 치중되어 있고, 구강건강을 위한 예방적 정책은 상대적으로 미흡한 상황이다15) .
구강건강의 문제가 발생하면 어떤 문제점이 있는가? 특히 구강건강은 전신건강과 밀접하게 연관 되어 있고3), 삶의 질의 결정인자 이며4), 노인에서 구강건강의 상실이 삶에 대한 의지에까지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져 있다5). 구강건강의 문제가 발생하면 식사의 양과 질이 제한되고, 건강관리와 체력유지가 힘들어지며, 발음이 부정확하거나 심미적으로 영향을 주어 원활한 의사소통이 어려워진다. 사회생활 및대인관계가 원활하지 못하면 사회적 소외감이나 고립을 촉진시켜 정신적, 사회적, 심리적으로 삶에 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6).
구강건 강상태의 연구의 현 상황과 문제점은? 구강보건교육은 구강건강을 합리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구강건강에 대한 관심, 지식, 태도 및 행동을 변화시키기 위한 과정으로13), 이러한 구강건강행위의 개선이 높을수록 본인 스스로 평가하는 주관적 구강건강수준은 높아졌으며14), 이는 구강증상 및 기능제한, 구강 불편감과 통증과 연관성이 있어 주관적 구강건 강상태의 연구는 매우 필요하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 정책은 노년기의 주요 구강질환 관리에 대한 건강보험보장성의 확대 등 구강보건정책이 사후적 관리에만 치중되어 있고, 구강건강을 위한 예방적 정책은 상대적으로 미흡한 상황이다15) . 이에 따라 노인의 구강보건교육의 경험이 노인의 구강건강상태, 주관적 구강건강수준과의 관련성을 연구하여 노인의 구강보건교육프로그램의 질적 향상과 활성화를 위한 참고자료 및 방안이 되고자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Bae SY, Ko DS, Noh JS, et al. Relation of Physical Activity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Korean Elderly. J of Contents Association, 2010;10(10):255-266 

  2. Avcu N, Ozbek M, Kurtoglu D, et al. Oral finding and health status among hospitalized pati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aged 60 or above. Arch Gerontol Geriatr, 2005;41:69-79. 

  3. Park YA. Associations between general health and diet habits and oral health among the elderly in Pohang city. J Korean Acad Dent Health, 2006;30(2):183-192 

  4. Sandra F, Cassolato, Robert S, et al. Clinical Aspects and Treatment. Gerodontology, 2003;20(2):64-77 

  5. Jang JH. Baik SH, Kim AJ. The effect of xerostomia on perceived oral health among elderly people wearing dentures. J Korean Acad Dent Health, 2006;30(4):438-446 

  6. Kim SH, Lim SA, Park SJ, et al. Assessment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using the Oral Health Impact Profile(OHIP). J Korean Acad Oral Health, 2004;28(4):559-569 

  7. Wilson IR, Cleary PI. Linking clinical variables with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a conceptual of patient outcomes. J am Med Assoc, 1995;273(1):59-65 

  8. Kim YN, Kwon HK, Chung WG, et al. The association of perceived oral health with oral epidemiological indicators in Korean adults. J Korean Acad Oral Health, 2005;29(3):250-260 

  9. Knofczynski AR. Correlations between oral health knowledge, locus of control, and oral health status[Master's thesis]. Maryland: uniformed services university of the health sciences, 2015. 

  10. Jang YJ. Oral health knowledge and its factors that influence oral health behaviors of the elderly.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Health and Welfare for Elderly, 2011; 3(2):95-106 

  11. Smith J, Sheiham A. How dental conditions handicap the elderly. Community Dent Oral Epidemiol, 1979;7:305-310 

  12. Won YS, Kim JH, Kim SK. Relationship of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to subjective oral symptoms for the elderly in some seoul area. J Dent Hyg Sci, 2009;9(4):375-380 

  13. Chang KW, Hwang YS, Ku IY, et al. Oral health education 4th, Komoonsa, 2007. 

  14. So MH, Cho YY. The correlations among oral health education experience, oral health behavior, self-efficacy and subjective oral health level of elderly in some area. The Journal of Korean for School & Community health Education, 2018;18(2):53-63 

  15. Kang EN. Policy Measures to Enhance the Quality of Life Improvement in an Aged Society.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2016;232:29-37 

  16. Lee HS. Association between perceived oral health and perceived oral symptoms among adults in daegu. J Korean Soc Dent Hyg, 2010;10(4):671-681 

  17. Hakuta C, Mori C, Ueno M, et al. Evaluation of an oral function promotion program for the independent elderly in Japan. Gerodontology, 2009;26(4):250-258 

  18. Park HR, Ku IY, Moon SJ. A Study on Social Efficacy of Senior Citizens in Welfare Centers in Some Areas according to Their Subjective Oral Health and Their Quality of Life related to Oral Health.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4;15(2):1000-1009 

  19. Cho GS, Jang JH. Clinical predictors related to oral health in elderly for visiting healthcare. J Dent Hyg, 2010;10(6):983-992 

  20. Fox PC. Management of dry mouth. Dent Clin North Am 1997;41(4):863-875 

  21. Ikebe K, Matsuda K, Morii K, et al. Impact of dry mouth and hyposalivation on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elderly Japanese. Oral Surg oral Med Pathol oral Radiol endod, 2006;1:1-7 

  22. Noh EM, Back JU.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of the elderly and social impact efficacy. J Dent Hyg Sci, 2010;10(4):233-239 

  23. Locker D, Matear D, Stephens M, et al. Comparison of the GOHAI and OHIP-14 as measures of the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Community Dentistry and Oral Epidemiology, 2001;29(5):373-381 

  24. Kim MI, Lee SY, Cho YS. The effect of oral health education for the elderly using $Qscan^{TM}$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2015;15(4):555-56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