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남해중앙니질대 세립질 퇴적물의 기원지 및 이동과정 변화
Changes in Provenance and Transport Process of Fine Sediments in Central South Sea Mud 원문보기

韓國鑛物學會誌 = Journal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v.32 no.4, 2019년, pp.235 - 247  

이홍금 (경상대학교 지질과학과 및 기초과학연구소) ,  박원영 (경상대학교 지질과학과 및 기초과학연구소) ,  구효진 (경상대학교 지질과학과 및 기초과학연구소) ,  최재영 (경상대학교 지질과학과 및 기초과학연구소) ,  장정규 (경상대학교 지질과학과 및 기초과학연구소) ,  조현구 (경상대학교 지질과학과 및 기초과학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남해 섬진강 하구유역에 발달되어 있는 남해중앙니질대는 흑산머드벨트의 퇴적물들과 섬진강의 퇴적물들을 공급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니질 퇴적체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위 지역에서 공급되는 퇴적물보다 더 많은 양의 퇴적물이 공급되어야하기 때문에, 추가적인 퇴적물 공급원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남해중앙니질대 퇴적물의 기원지 및 퇴적물 유입경로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16PCT-GC01 및 16PCT-GC03 코어에 대해 점토광물 및 주성분원소 분석을 수행하였다. 황하 퇴적물은 스멕타이트의 함량이 높고, 양쯔강 퇴적물은 일라이트의 함량이 높으며, 한국 강 퇴적물들은 카올리나이트와 녹니석의 함량이 높다. 또한 한국 강 퇴적물은 Al, Fe, K가 풍부하고, 중국 강 퇴적물은 Ca, Mg, Na 등이 풍부하다. 따라서 점토광물과 주성분원소를 이용해 퇴적물의 기원지를 추적할 수 있다. 연구 결과, 남해중앙니질대의 코어 퇴적층은 총 3개의 퇴적 단위(sediment unit)로 구분할 수 있다. 해수면이 가장 낮은 저수위기(lowstand stage)에 해당되는 퇴적 단위 3은 황하로부터 공급된 퇴적물이 연안류 혹은 조석 작용에 의해 연구지역으로 공급된 것으로 해석되고, 해수면이 빠르게 상승하는 해침기(transgressive stage)에 해당되는 퇴적 단위 2는 황하의 영향이 약해지고 양쯔강과 한국 강들의 영향이 강해지는 것으로 해석된다. 현재와 같은 해수면과 해류의 순환이 형성된 고수위기(highstand stage)에 해당되는 퇴적 단위 1은 양쯔강과 한국 강으로부터 퇴적물이 해류를 통해 연구지역으로 공급된 것으로 해석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Central South Sea Mud (CSSM), developed in the Seomjin River estuary, is known to be supplied with sediments from Heuksan Mud Belt (HMB) and Seomjin River. However, in order to form a mud belt, more sediments must be supplied than supplied in the above areas. Therefore, research on additional s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남해중앙니질대에서 획득한 2개의 코어 퇴적물에 대하여, 점토광물 및 주성분원소 두 가지의 지표를 이용하여 퇴적물 기원지를 밝히고, 남해중앙니질대의 퇴적환경 및 퇴적물 유입 경로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남해에는 어떤 해류가 흐르는가? , 1996). 또한, 주변 해류에는 한반도 연안을 따라 흐르는 한국연안류(KCC, Korea Coastal Current)와 외해로부터 유입되는 대마난류(TWC, Tsushima Warm Current)가 있다(Fig. 1).
남해는 어떤 해안으로 분류되는가? 남해(South Sea)는 한반도 남서부의 흑산도, 동쪽의 대마도, 남쪽으로 제주도를 연결하는 한반도 남쪽 해역으로, 면적은 약 75,000 km2로 알려져 있다. 남해는 등수심선이 매우 복잡하게 발달되어 있는 리아스식 해안으로, 수심 70~80 m를 경계로 내대륙붕과 외대륙붕으로 구분된다(Park et al., 1990; Park et al.
남해란 무엇인가? 남해(South Sea)는 한반도 남서부의 흑산도, 동쪽의 대마도, 남쪽으로 제주도를 연결하는 한반도 남쪽 해역으로, 면적은 약 75,000 km2로 알려져 있다. 남해는 등수심선이 매우 복잡하게 발달되어 있는 리아스식 해안으로, 수심 70~80 m를 경계로 내대륙붕과 외대륙붕으로 구분된다(Park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iscaye, P.E. (1965) Mineralogy and sedimentation of recent deep-sea clay in the Atlantic Ocean and adjacent seas and oceans.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 Bullentin, 76, 803-832. 

  2. Berne, S., Vagner, P., Guichard, F., Lericolais, G., Liu, Z., Trentesaus, A., Yin, P., and Yi, H.I. (2002) Pleistocene forced regressions and tidal sand ridges. Marine Geology, 188, 293-315. 

  3. Bae, S.H., Kim, D.C., Lee, G.S., Kim, G.Y., Kim, S.P., Seo, Y.K., and Kim, J.C. (2014) Physical and acoustic properties of inner shelf sediments in the South Sea, Korea. Quaternary International, 344, 125-142. 

  4. Cho, Y.G., Lee, C.B., and Choi, M.S. (1999) Geochemistry of surface sediments and sedimentary rocks. Marine Geology, 159, 111-129. 

  5. Cho, H.G., Kim. S.O., Kwak, K.Y., Choi, H., and Khim, B.K. (2015) Clay mineral distribution and provenance in the Heuksan mud belt, Yellow Sea. Geo-Marine Letters, 35, 411-419. 

  6. Choi, J.Y., Lim, D.I., Park, C.H., Kim, S.Y., Kang, S.Y., Kang, S., and Jung H.S. (2010) Characteristics of clay mineral compositions in river sediments around the Yellow Sea and its application to the provenance of the continental shelf mud deposit. Journal of the Geology Society of Korea, 46, 497-50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Ha, H.J., Chun, S.S., and Chang T.S. (2013) Distribution pattern, geochemical composition and provenance of the Huksan Mud Belt sediment in the Southeastern Yellow Sea.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4, 289-30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KIGAM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2016) Study on marine geology and mineral resources in buried paleo-channel of Seomjin River, South Sea. Report of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180p. 

  9. Kim, G.Y., Narantsetseg, B., Lee, J.Y., Chang, T.S., Lee, K.S., Yoo, D.G., and Kim, S.P. (2018) Physical and geotechnical properties of drill core sediments in the Heuksan Mud Belt off SW Korea. Quaternary International, 468, 33-48. 

  10. Koo, H.J., Lee, Y.J., Kim, S.O., and Cho, H.G. (2018) Clay mineral distribution and provenance in surface sediments of Central Yellow Sea Mud. Geosciences Journal, 22, 989-1000. 

  11. Kwak, K.Y., Choi, H., and Cho, H.G. (2016) Paleo-environmental change during the late Holocene in the southeastern Yellow Sea, Korea. Applied Clay Science, 134, 55-61. 

  12. Lee, G.S., Kim, D.C., Yoo, D.G., and Yi, H.I. (2013) Sedimentary environment and sequence stratigraphy of late Quaternary deposits in the East China Sea. Marine Georesources and Geotechnology, 31, 17-39. 

  13. Lee, J.H., Yoo, S.J., and Chang, K.I. (1998) Inflow of warm waters into the Yellow Sea observed by coastal zone color scanner. In: Brown BA(ed) Remote Sensing of The Pacific Ocean by Satellites. Southwood Press, Marrickville, 251-254pp. 

  14. Li, J., Hu, B., Wei, H., Zhao, J., Zou, L., Bai, F., Dou, Y., Wang, L., and Fang, X. (2014a) Provenance variations in the Holocene deposits from the southern Yellow Sea: Clay mineralogy evidence. Continental Shelf Research, 90, 41-51. 

  15. Li, G., Li, P., Liu, Y., Qiao, L., Ma, Y., Xu, J., and Yang, Z. (2014b) Sedimentary system response to the global sea level change in the East China Seas since the last glacial maximum. Earth Science Review, 139, 390-405. 

  16. Lim, D.I., Choi, J.Y., Jung, H.S., Rho, K.C., and Ahn, K.S. (2007a) Recent sediment accumulation and origin of shelf mud deposits in the Yellow Sea and East China Seas. Progress in Oceanography, 73, 145-159. 

  17. Lim, D.I., Shin, I.-H., and Jung, H.S. (2007b) Major elemental compositions of Korean and Chinese River Sediments: Potential tracers for the discrimination of sediment provenance in the Yellow Sea.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8, 311-32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8. Lim D.I., Xu, Z., Choi, J.Y., Li, T., and Kim, S.Y. (2015) Holocene changes in detrital sediment supply to the eastern part of the central Yellow Sea and their forcing mechanisms. Journal of Asian Earth Sciences, 105, 18-31. 

  19. Park, Y.A. and Khim, B.K. (1990) Clay minerals of the recent fine-grained sediments on the Korean continental shelves. Continental Shelf Research, 10(12), 1179-1191. 

  20. Park, S.C., Hong, S.K., and Kim, D.C. (1996) Evolution of late Quaternary deposits on the inner shelf of the South Sea of Korea. Marine Geology, 131, 219-232. 

  21. Satio, Y. (1998) Sedimentary environment and budget in the East China Sea. Bulletin on Coastal Oceanography, 36, 43-58 (in Japanese). 

  22. Shinn, Y.J., Chough, S.K., Kim, J.W., and Woo, J. (2007) Development of depositional systems in the southeastern Yellow Sea during the postglacial transgression. Marine Geology, 239, 59-82. 

  23. Wei, J., Shi, X., Li, G., and Liang, R. (2003) Clay mineral distributions in the southern Yellow Sea and their significance. Chinese Science Bulletin, 48, 7-11. 

  24. Um, I.K., Choi, M.S., Lee, G.S., and Chang, T.S. (2015) Origin and depositional environment of fine-grained sediments since the last glacial maximum in the southeastern Yellow Sea: Evidence from rare earth elements. Geo-Marine Letters, 35, 421-431. 

  25. Um, I.K., Choi, M.S., Bae, S.H., Song, Y.H., and Kong, G.S. (2018) Provenance of fine-grained sediments in the inner shelf of the Korea Strait(South Sea), Korea. Ocean Science Journal, 53, 31-42. 

  26. Xu, Z.K., Li, T.G., Chang, F.M., Wan, S.M., Choi, J.Y., and Lim, D.I. (2014) Clay-sized sediment provenance change in the northern Okinawa Trough since 22 kyr BP and its paleoenvironmental implication. Palaeogeography, Palaeoclimatology, Palaeoecology, 399, 236-245. 

  27. Yang, S.Y., Jung, H.S., Lim, D.I., and Li, C.X. (2003) A review on the provenance discrimination of sediments in the Yellow Sea. Earth Science Reviews, 63, 93-120. 

  28. Yoo, D.-G. and Park, S.C. (2000) High-resolution seismic study as a tool for sequence stratigraphic evidence of high-frequency sea-level changes: Latest Pleistocene-Holocene example from the Korea Strait. Journal of Sedimentary Research, 70, 210-223. 

  29. Yoo, D.-G., Koo, N.-H., Lee, H.-Y., Kim, B.-Y., Kim, Y.-J., and Cheong, S. (2015) Acquisition, processing and interpretation of high-resolution seismic data using a small-scale multi-channel system: An example from the Korea strait inner shelf, south-east Korea. Exploration Geophysics, 47, 341-351. 

  30. Yoo, D.-G., Lee, G.-S., Kim, G.-Y., Kang, N.-K., Yi, B.-Y., Kim, Y.-J., Chun, J.-H., and Kong, G.-S. (2016) Seismic stratigraphy and depositional history of late Quaternary deposits in a tide-dominated setting: An example from the eastern Yellow Sea. Marine and Petroleum Geology, 73, 212-22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