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도서관 실내 공기질 측정 및 조사 연구
A Study on the Measurement and Investigation of Air Quality in a University Library 원문보기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v.50 no.4, 2019년, pp.635 - 658  

이재원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S대학 중앙도서관을 대상으로 측정 유해인자를 ① 공기 중 유해물질 ② 생물학적 유해인자 ③ 일산화탄소·이산화탄소·이산화질소 농도로 구분하여 관련 기준과 비교하여 측정·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 공기 중 유해물질인 미세먼지, 석면, 휘발성 유기화합물, 포름알데히드 모두 관련 기준 보다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생물학적 유해인자인 공기 중 곰팡이, 그람음성박테리아, 엔도톡신 등도 특별한 문제를 찾을 수 없었다. 공기 중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이산화질소 농도도 일반 대기 중의 농도 대비 특이한 점이 없이 유지되고 있었다. 다만, 도서관은 다중이용시설로 주기적인 청소와 환기를 통한 환경 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harmful factors measured in S university's central library were divided into ① air harmful substance ② biological harmful factors ③ carbon monoxide, carbon dioxide, and nitrogen dioxide concentration, measured and analyzed compared to the relevant criteria. Th...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학도서관은 누가 이용하는가? 도서관은 불특정 다수의 많은 이용자가 이용하는 다중이용시설이다.2) 대학도서관은 그 대학에 소속된 학생, 교수, 직원, 지역주민 등 많은 이용자가 도서관을 이용한다. 이용자들은 자료실에 비치된 도서를 이용하기도 하고 열람실에서 오랜 시간동안 학업에 열중하기도 한다.
도서관은 어떤 곳인가? 하루에 많은 시간을 보내며 자신의 재능과 시간 그리고 에너지를 소비하는 도서관은 이용하는 사람에게 보람과 삶을 영위할 수 있는 터전이지만, 동시에 이용자의 건강과 안전에 많은 영향을 주는 곳이다. 사람의 건강을 다루는 분야인 산업안전보건이 과거에는 직업병과 안전 사고의 예방과 보상에 치중하던 개념이 최근에는 세계보건기구(WHO.
도서관의 환경적 특성을 고려하여 대학도서관의 환경을 쾌적하게 해야 하는데, 도서관의 환경적인 특성은 무엇인가? 이용자들은 자료실에 비치된 도서를 이용하기도 하고 열람실에서 오랜 시간동안 학업에 열중하기도 한다. 이렇게 많은 이용자들이 오랜 시간동안 머무르는 도서관의 환경적인 특성은 첫째, 불특정 다수의 이용자가 함께 이용하는 대형 건물이다. 매일 많은 이용자의 빈번한 출입은 공기 중 오염물질이 유입될 가능성이 높으며 곰팡이 등 생물학적 오염 가능성도 높다. 둘째, 도서관에는 많은 양의 도서와 오래된 고서들이 보존되어 있고 자료실 및 보존 서고의 경우 밀폐된 공간의 특성으로 미생물에 오염될 여지가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 특히, 하나의 자료를 여러 이용자가 공유하는 도서관의 기능 때문에 도서관에서의 유해인자 관리 문제는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Kwon, Hyuk Sang. 2011. A study on the Indoor Air Quality after remodeling, -'C'-University Central Library case study. M. A. thesis., Chungang University. 

  2. Kim, Sung Ho etc. 2012. "House Dust Mites and Associated Environmental Factors in Homes of Atopic Children."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Health, 38(3): 204-212. 

  3. Baek, Sung Ok etc. 2006. "Impact Assessment of Remodeling Works on Indoor Air Quality in a University Library Building."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22(6): 876-887. 

  4. Yu, Ha Nuii etc. 2009. "The Relativity Analysis Between Indoor Air Quality and Architectural Conditions in Incheon Area's Public Children's Libraries." Korean Institute of Architectural Sustainable Environment and Building System, 3(2): 70-79. 

  5. Lee, Kyeong Min etc. 2014. "An Assessment of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ssociated with the Level of Endotoxin Concentration in Hospital Lobbies." The Society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ng Engineers of Korea, 24(3): 310-320. 

  6. Lee, Jong Ryeul etc. 2010. "A Study on the Indoor Air Quality of University Library and its Improvement."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Hygiene, 22(6): 46-52. 

  7. 국가건강정보포털 [online]. [cited 2019. 6. 26]. 

  8. 국가법령정보센터 [online]. [cited 2019. 6. 26]. 

  9. 국립환경과학원 [online]. [cited 2019. 6. 26]. 

  10. 네이버 지식백과 [online]. [cited 2019. 6. 26]. 

  11. 미국 공조냉동공학회 [online]. [cited 2019. 6. 26]. 

  12. 미국 산업안전보건연구원 [online]. [cited 2019. 6. 26]. 

  13. 미국 환경보호청 [online]. [cited 2019. 6. 26]. 

  14. 세계보건기구 홈페이지 [online]. [cited 2019. 6. 25]. 

  15. Goodman, N.B., Wheeler, A.J., Paevere, P.J., Selleck, P.W., Cheng, M. and Steinemann A. 2018. Indoor volatile organic compounds at an Australian university. Building and Environment, 135: 344-351. 

  16. Hayleeyesus, S.F. and Manaye, A.M. 2014. Microbiological quality of indoor air in university libraries. Asian Pacific Journal of Tropical Biomedicine, 4: S312-S317 

  17. Kumar, A., Singh, B.P., Punia, M., Singh, D., Kumar, K. and Jain, V. 2014. Assessment of indoor air concentrations of VOCs and their associated health risks in the library of Jawaharlal Nehru University. Environmental Science and Pollution Research, 21(3): 2,240-2,248. 

  18. Micheluz, A., Manente, S., Tigini, V., Prigione, V., Pinzari, F., Ravagnan, G. and Varese, G.C. 2015. The extreme environment of a library: xerophilic fungi inhabiting indoor niches, International Biodeterioration & Biodegradation, 99: 1-7. 

  19. Wu, Y., Lu, Y. and Chou, Ding-Chin. 2018. Indoor air quality investigation of a university library based on field measurement and questionnaire survey. International Journal of Low-Carbon Technologies, 13(2):192-192.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