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제주도 제주시 추자면에 위치한 추자도의 관속식물상을 조사하기 위해 2013년 4월부터 동년 9월, 2018년 5월부터 동년 9월까지 총 11회에 걸쳐 현지조사를 수행하였다. 조사 결과 추자도의 관속식물은 총 97과 311속 481종 2아종 65변종 10품종의 558분류군이 조사되었다. 한반도 특산식물은 7분류군이며, 희귀식물은 8분류군이다. 식물구계학적등급종은 109분류군이었으며, 귀화식물은 62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추자도와 인접한 7개 지역과의 식물상 유사도는 생일도가 51.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제주도 제주시 추자면에 위치한 추자도의 관속식물상을 조사하기 위해 2013년 4월부터 동년 9월, 2018년 5월부터 동년 9월까지 총 11회에 걸쳐 현지조사를 수행하였다. 조사 결과 추자도의 관속식물은 총 97과 311속 481종 2아종 65변종 10품종의 558분류군이 조사되었다. 한반도 특산식물은 7분류군이며, 희귀식물은 8분류군이다. 식물구계학적등급종은 109분류군이었으며, 귀화식물은 62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추자도와 인접한 7개 지역과의 식물상 유사도는 생일도가 51.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To identify the flora of the vascular plant on Chujado Island in Chuja-myeon, Jeju-si, Jeju Province, Korea, eleven field surveys were conducted between April to September of 2013 and from May to September of 2018. The results of the surveys identified 558 taxa, with 97 families, 311 genera, 481 spe...
To identify the flora of the vascular plant on Chujado Island in Chuja-myeon, Jeju-si, Jeju Province, Korea, eleven field surveys were conducted between April to September of 2013 and from May to September of 2018. The results of the surveys identified 558 taxa, with 97 families, 311 genera, 481 species, two subspecies, 65 varieties, and ten forms of vascular plants on Chujado Island. Of the 558 taxa identified, seven were endemic species and eight were rare plants according to the Korea Forest Service. Furthermore, 109 of the taxa identified were from floristic environments, while 62 were considered to be naturalized plants, with three of these considered to be invasive and causes of ecosystem disturbances. The highest degree of similarity among the plants from seven sites adjacent to Chujado Island was found on Saengil Island, at 51.7%.
To identify the flora of the vascular plant on Chujado Island in Chuja-myeon, Jeju-si, Jeju Province, Korea, eleven field surveys were conducted between April to September of 2013 and from May to September of 2018. The results of the surveys identified 558 taxa, with 97 families, 311 genera, 481 species, two subspecies, 65 varieties, and ten forms of vascular plants on Chujado Island. Of the 558 taxa identified, seven were endemic species and eight were rare plants according to the Korea Forest Service. Furthermore, 109 of the taxa identified were from floristic environments, while 62 were considered to be naturalized plants, with three of these considered to be invasive and causes of ecosystem disturbances. The highest degree of similarity among the plants from seven sites adjacent to Chujado Island was found on Saengil Island, at 51.7%.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그러나 그 동안의 식물상 연구는 식물목록 작성을 중심으로 연구가 수행되었으며, 특기할만한 식물에 대한 논의가 없을 뿐만 아니라, 확인된 식물에 대한 증거표본이 제시되어 있지 않고, 오동정, 분류학적 이명 등 실체가 불확실한 분류군들이 다수 포함되어 있어 추자도의 정확한 관속식물상을 파악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는 추자도 일대를 조사하여 신뢰도 있는 관속식물상을 제시하고, 식물 종의 효율적인 관리와 식물다양성 종 보존 전략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제안 방법
1, Table 1). 또한 국립수목원 산림생물표본관(KH)에 석엽표본으로 소장되어 있는 추자도 일대의 표본을 재동정하여 목록에 추가 작성하였다. 특히 하추자도를 중심으로 산의 능선지역과 계곡부, 해변 지역을 집중적으로 조사하였다.
또한 국립수목원 산림생물표본관(KH)에 석엽표본으로 소장되어 있는 추자도 일대의 표본을 재동정하여 목록에 추가 작성하였다. 특히 하추자도를 중심으로 산의 능선지역과 계곡부, 해변 지역을 집중적으로 조사하였다. 증거표본 확보를 위하여 기본적으로 동일종에 대해 1개체 이상을 수집하여 확증 표본(voucher specimen)으로 제작하여 KH에 수장하거나 photography sample로 제작하였다.
특히 하추자도를 중심으로 산의 능선지역과 계곡부, 해변 지역을 집중적으로 조사하였다. 증거표본 확보를 위하여 기본적으로 동일종에 대해 1개체 이상을 수집하여 확증 표본(voucher specimen)으로 제작하여 KH에 수장하거나 photography sample로 제작하였다. 학명과 국명은 국가표준식물목록 개정판(Korea National Arboretum, 2017)을 기준으로 배열하고 표기하였다.
추자도는 지리학적으로 외래식물에 취약한 도서지역으로 본 섬에서 확인된 생태계교란식물인 미국쑥부쟁이(Aster pilosus Willd.)와 서양금혼초(Hypochaeris radicata L.), 애기수영(Rumex acetosella L.) 3분류군을 비롯하여, 세 열미국쥐손이(Geranium dissectum L.) 등을 포함한 총 62분류군의 귀화식물을 확인하였다(Table 6). 이는 한반도에 분포하는 귀화식물 321분류군(Park, 1995, 2005)의 19.
따라서 추자도와 전남, 제주도에 인접한 도서 지역인 보길도(Oh and Beon, 2011), 생일도(Lee, 2005), 장도(Son et al., 2013), 영산도(Lee, 2016), 범섬(Kim et al., 2005)과 제주도 본섬의 한경 곶자왈(Park, 2019), 성산일출봉(Kim, 2011) 총 7개지 지역에 출현하는 식물종의 유사도(Sørensen’s Coefficients for community similarity: CCs)를 비교 분석하였다(Table 7).
대상 데이터
조사방법
조사범위는 행정구역상 제주특별차지도 제주시 추자면에 위치한 추자도 일대로 현지조사는 2013년 4월부터 동년 9월, 2018년 5월부터 동년 9월까지 총 11일에 걸쳐 식물조사를 수행하였다(Fig. 1, Table 1). 또한 국립수목원 산림생물표본관(KH)에 석엽표본으로 소장되어 있는 추자도 일대의 표본을 재동정하여 목록에 추가 작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확인된 특산식물은 검팽나무(Celtis choseniana Nakai) 등 총 7분류군이다(Table 3). 이는 우리나라 특산식물 360분류군(Chung et al.
이론/모형
추자도와 주변도서에 출현하는 식물종들의 유사도 지수(Similarity index)를 비교·분석하기 위해 인근 도서의 식물상 논문의 식물목록을 참고하였으며(Kim et al., 2005; Lee, 2005; Kang, 2011; Oh and Beon, 2011; Son et al., 2013; Park, 2019), 식물상 유사도는 Sörensen index (Sörensen, 1948)의 유사계수(Sørensen’s Coefficients for community similarity, CCs) 수식을 기초로 하여 분석하였다.
증거표본 확보를 위하여 기본적으로 동일종에 대해 1개체 이상을 수집하여 확증 표본(voucher specimen)으로 제작하여 KH에 수장하거나 photography sample로 제작하였다. 학명과 국명은 국가표준식물목록 개정판(Korea National Arboretum, 2017)을 기준으로 배열하고 표기하였다. 주요 식물들은 한국특산식물목록(Chung et al.
학명과 국명은 국가표준식물목록 개정판(Korea National Arboretum, 2017)을 기준으로 배열하고 표기하였다. 주요 식물들은 한국특산식물목록(Chung et al., 2017), 희귀식물목록(Korea National Arboretum, 2008), 환경부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목록(Ministry of Environment 2014), 귀화식물목록(Park, 1995, 2009) 등에 따라 식물목록을 작성하였다. 추자도와 주변도서에 출현하는 식물종들의 유사도 지수(Similarity index)를 비교·분석하기 위해 인근 도서의 식물상 논문의 식물목록을 참고하였으며(Kim et al.
성능/효과
추자도에는 관속식물은 총 97과 311속 481종 2아종 65변종 10품종의 558분류군이 분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Table 2), 이는 한반도 관속식물 4,071종(Lee, 1996)의 13.7%에 해당된다. 분류군별로는 양치식물이 34분류군(6.
7%에 해당된다. 분류군별로는 양치식물이 34분류군(6.1%), 나자식물이 4분류군(0.7%), 피자식물은 520분류군으로 이 중 쌍자엽식물은 387분류군(69.4%), 단자엽식물은 133분류군(23.8%)으로 나타났다(Appendix 1).
4%에 해당된다. 이 중 위기종(endangered species, EN)은 눈향나무(Juniperus chinensis var. sargentii A. Henry)를 포함하여 4분류군이었으며, 취약종(vulnerable, VU)은 연화바위솔(Orostachys iwareng (Makino) Hara) 등 4분류군이 조사되었다(Table 4). 추자도의 섬오갈피나무(Eleutherococcus gracilistylus (W.
1%에 해당되었다. V등급종은 눈향나무(J. chinensis var. sargentii A. Henry) 1 분류군이며, IV등급종은 갯강활(Angelica japonica A.Gray) (Fig. 2D)을 포함한 13분류군이고, III등급종은 가는쇠고사리(Arachniodes aristata (G. Forst.) Tindale) (Fig. 2E)를 비롯하여 44분류군이다. II등급종은 모람(Ficus oxyphylla Miq.
비교 대상지역과 추자도의 식물상 유사도를 보면, 전남 생일도가 51.7% (0.51657941)로 가장 높았으며, 제주 한경 곶자왈이 36.2% (0.36185819)로 가장 낮게 산출되었다. 거리상 가장 인접한 보길도(38.
38461538)보다 생일도가 식물상 유사도가 가장 높은데, 이는 보길도 식물상조사(Oh and Beon, 2011)가 적자봉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해안 및 마을 주변 등 섬 전체의 식물상을 반영하지 못했기 때문이라 판단된다. 전체 7개 지역에서는 제주 성산일출봉과 범섬의 유사도가 가장 높고(87.6%, 0.87623), 전남 생일도와 제주 범섬이 가장 낮게(22.4%, 0.2237) 나타났다. 유사도 지수가 0.
6%으로 산출되었다. 추자도 인접 지역 7개 도서지역과 비교한 결과, 귀화식물의 종 수는 추자도가 총 62분류군으로 가장 많았으며, 생일도 35분류군(Son et al., 2013), 영산도 32분류군(Lee, 2016), 장도는 24 분류군(Oh and Beon, 2011) 등으로 추자도가 귀화식물의 수, 귀화율(naturalized index, NI), 도시화율(urbanized index, UI) 모두 가장 높게 조사되었다(Fig. 3). 추자도는 주변 인접 도서에 비하여 섬의 규모가 크지 않으나 특산종과 식물구계학적특정종의 수가 상대적으로 높은 것은(Tables 4, 5) 자연상태가 비교적 잘 보존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후속연구
(1982)에 의해 상추자도와 하주차도에 분포가 보고된 바 있다. 그러나 본 조사를 비롯하여 Yang (2006)과 Hong et al. (2014) 등을 포함한 최근 연구에서는 이들의 실체가 확인되지 않았으며, 두 종 모두 식물분류학 및 식물 지리학적으로 학술적 가치가 매우 높은 중요한 식물이므로 향후 보다 세밀한 조사가 요망된다.
이처럼 추자도는 제주도와 서남해안의 식물상을 잇는 연륙교로서 학술적 중요도가 매우 높은 지역이다. 앞으로 단편성이 아닌 지속적인 모니터링에 기반한 보완조사 및 기초자료 확보가 필요하다.
, 2019)이 하추자도의 돈대산과 추석산 일대에서 확인되었으며, 비름과에 속하는 미기록종 Achyranthes sp. (남방쇠무릎(가칭))가 발견되어 추후 추가적인 조사를 수행하고자 한다.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추자도의 특징은?
추자도는 한반도 남부 지역과 제주도 해상 중간 지점에 위치하여, 난류성 어류의 회유지, 철새들의 번식지, 어선들의 중간 보급지로 이용되는 지역이다. 식물지리학적인 측면에서도 추자도는 제주도와 서남해안지방의 연륙교에 해당되는 지역으로 매우 중요하며, 추자도의 식물상 역시 양 지역의 식물상과 밀접한 관계가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식물지리학적인 측면에서도 추자도의 중요성은?
추자도는 한반도 남부 지역과 제주도 해상 중간 지점에 위치하여, 난류성 어류의 회유지, 철새들의 번식지, 어선들의 중간 보급지로 이용되는 지역이다. 식물지리학적인 측면에서도 추자도는 제주도와 서남해안지방의 연륙교에 해당되는 지역으로 매우 중요하며, 추자도의 식물상 역시 양 지역의 식물상과 밀접한 관계가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추자도의 식물상 유사도가 보길도보다 생일도가 높은 이유는?
4%, 0.38461538)보다 생일도가 식물상 유사도가 가장 높은데, 이는 보길도 식물상조사(Oh and Beon, 2011)가 적자봉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해안 및 마을 주변 등 섬 전체의 식물상을 반영하지 못했기 때문이라 판단된다. 전체 7개 지역에서는 제주 성산일출봉과 범섬의 유사도가 가장 높고(87.
참고문헌 (28)
Chung, G. Y., K. S. Chang, J.-M. Chung, H. J. Choi, W.-K. Paik and J.-O. Hyun. 2017. A checklist of endemic plants on the Korean Peninsula.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47: 264-288. (in Korean)
Cox, C. W. 1972. Laboratory Manual of General Ecology (No. 574.5 C6). William C Brown Co. Publishers, Dubuque, IW, 195 pp.
Hong, J.-K., S.-Y. Jung, S.-J. Ji, S.-H. Park, J.-C. Yang and K.-C. Jang. 2014. The vascular plants in Chujado, Korea.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Scholarship presentation collection of dissertations. Korean Forestry Society, Seoul, 54 pp. (in Korean)
Jung, Y. H., K. J. Kim and B. Y. Sun. 1986. Degree of green naturality and flora of Chuja archipelago Island. Natural Facts Report 5: 171-212. (in Korean)
Kang, S. J. 2011. Vegetation and flora of Seongsan Ilchulbong, Jeju Island, Korea. M.S. thesis. Jeju National University, Jeju, 40 pp. (in Korean)
Kim, C. S., G. P. Song, M. O. Moon, K. M. Song, J. Kim and E. J. Lee. 2005. The flora of Beonseom Island, Jeju-do.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18: 285-301. (in Korean)
Kim, K., C.-S. Kim, S.-H. Oh and C.-W. Park. 2019. A new species of Peucedanum (Apiaceae) from Korea. Phytotaxa 393: 75-83.
Ko, P. Y., G. E. Lee, J. H. Choa, K. M. Song, G. P. Song and Y. C. Jeun. 2013. Ecological survey of plants growing in the uninhabited islets surrounding Jeju and Chuja Island. Journal of Asian Agriculture and Biotechnology 29: 53-81.
Korea Meteotological Administration. 2019. Meteorological information. Retrived Sep 10, 2019, available from https://data.kma.go.kr.
Korea National Arboretum. 2008. Rare Plants Data Book in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412 pp.
Korea National Arboretum. 2017. Checklist of Vascular Plants in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1,000 pp.
Lee, H. 2016. Floristic study of Yeongsando in Dadohaehaesang National Park, Korea. Journal of National Park Research 7: 129-146. (in Korean)
Lee, T. B. 1969. Flora of Chuja archipelago Island, Biological Report of Chuja Island. Culture and Public Information, the Office of Cultural Properties, Seoul. Pp. 22-38. (in Korean)
Lee, W.-T. and Y. J. Yim. 1978. Studies on the distribution of vascular plants in the Korean Peninsula.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8: 1-33. (in Korean)
Lee, W. T. 1996. Coloured Standard Illustrations of Korean Plants. Academy Publishing Co., Seoul, 624 pp. (in Korean)
Lee, Y. H. 2005. The Flora in Saeng-il Island and the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ants. Ph.D. dissertatio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54 pp. (in Korean)
Lee, Y. N and Y. J. Oh. 1969. Plant Istribution Peculiarity of Chuja Islands in the Plant Distribution Region, Biological Report of Chuja Island. Culture and Public Information, The Office of Cultural Properties, Seoul. Pp. 39-46. (in Korean)
Lim, J. W., H. J. Lee, C. H. Kim and S. H. Kim. 1982. A taxonomical and ecological study on the flora of Chuja Island. Korean Journal of Ecology 5: 187-203.
Ministry of Environment. 2014. A Guide to the Fourth National Natural Environment Research. Ministry of Environment, Gwacheon and Incheon. Pp. 173-220. (in Korean)
Oh, H.-K. and M.-S. Beon. 2011. Characteristics type of vascular plants in Jeokjabong, Bogil Island (Jeonnam). Journal of Korean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14: 25-40. (in Korean)
Park, J. H. 2019. Flora of Hangyeong Gotjawall Forest genetic resource reserve area in Jeju-do. M.S. thesis. Semyung University, Jecheon, 36 pp. (in Korean)
Park, M. K. 1969. Pteridophyta of Chuja archipelago Island. Biological report of Chuja Island. Culture and Public Information, The Office of Cultural Properties, Seoul. Pp. 47-48.
Park, S. H. 1995. Coloured Illustrated Guide to Naturalized Plant of Korea. Ilchogak, Seoul, 371 p. (in Korean)
Park, S. H. 2009. New Illustrations and Photographs of Naturalized Plants of Korea. Ilchokak, Seoul, 575 pp. (in Korean)
Son, H.-D., S.-G. Gwon, J. W. Jang, E.-M. Sun, B.-A. Kim and H.-T. Im. 2013. Floristic study of Jang-do (Isl.) in Korea. Journal of Species Research 2: 227-244.
Sorensen, T. 1948. A method of establishing groups of equal amplitude in plant society based on similarity of species content and its application to analyses of the vegetation on Danish commons. Kongelige Danske Videnskabernes Selskab, Biologiske Skrifter, 5: 1-34.
Yang, Y. H. 2006. Flora of Chuja Island, Chuja Island Scientific Research Report. Folklore & Natural History Museum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Jeju. Pp. 36-51. (in Korean)
Yun, C.-W. and S.-C. Hong. 2000. Quantitative analysis of vegetation types in Pinus densiflora for. erecta forest.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23: 281-291.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