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자율주행 관련 특허의 자동차 부품 산업 내 기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분석
A Study on the Influence of Self-driving Patents on the Firm Performance in the Automotive Parts Industry 원문보기

지식경영연구 = Knowledge Management Research, v.20 no.4, 2019년, pp.57 - 74  

조현석 (두산인프라코어) ,  곽찬희 (한국과학기술원 경영대학 경영공학부) ,  최한별 (한국과학기술원 경영대학 경영공학부) ,  이민형 (한국과학기술원 경영대학 경영공학부) ,  이희석 (한국과학기술원 경영대학 경영공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elf-driving technology is changing the paradigm of automotive industry. Since it is imperative to converge this emerging technology with ICT and there is a time lag between securing this emerging technology and occurrence of firm performance, it is difficult to make decisions on technology develop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자동차 부품 산업에서 자율주행 기술에 관한 특허 규모와 가치가 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기술 확보가 자동차 부품업체의 매출 및 자산 증가에 얼만큼의 시차를 두고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적으로 파악하고자 한다. 국내 자동차 부품 산업 생태계가 반영된 연구 결과는 기술 확보 및 사업 전개를 고려하고 있는 국내 자동차 부품 업체의 전략적 의사결정의 밑바탕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 국내 자동차 부품 산업 생태계가 반영된 연구 결과는 기술 확보 및 사업 전개를 고려하고 있는 국내 자동차 부품 업체의 전략적 의사결정의 밑바탕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더불어 기존의 연구가 특정 단일 산업분야에 한정된 분석인데 반해, 본 연구는 복수의 산업이 융합되는 과정에서의 기술 확보가 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시차에 대해 분석한 점에 이론적인 함의가 있다.
  • 또한 일반적으로 특허 지표는 기업 성과에 양의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하였으나, 산업군에 따라 유의하지 않은 경우도 있었다. 본 연구는 복수의 산업 분야 간 융합이 진행 중이며, 후방산업의 특성을 갖는 자동차 부품 산업에서 특허와 기업성과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에 기반하여 피인용 지수, 청구항 지수, 기술 다양성 지수, 패밀리 특허 지수들의 합으로 특허 가치를 측정한다. 특허 가치는 특허 규모와 더불어 기업의 경제 혹은 회계 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요소이다.
  • 패밀리 특허 지수는 패밀리 특허 수를 통해 특허 보호의 지역적 범위를 수치화하여 특허가 가지는 경제적 가치를 측정하는 용도로 사용된다(Lanjouw and Schankerman 2004). 본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에 활용된 특허의 규모와 가치 지표를 활용하고자 한다 ([표2 참조]) (선동주 등 2015).
  • 본 연구에서는 자율주행 기술을 확보한 국내의 중견기업 및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특허 지표가 기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본 연구에서는 기업의 매출과 자산을 기업성과 지표로 사용하며, 시차에 따른 매출 증가 및 자산 증가를 종속변수로 설정하였다.
  • 2006), 기업의 특성이 해당 관계에 중요한 요인이 된다고 밝혀졌다 (Hirschey and Richardson 2004). 이에 본 연구는 자동차 부품 산업에서 자율주행 기술에 관한 특허 규모와 가치가 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기술 확보가 자동차 부품업체의 매출 및 자산 증가에 얼만큼의 시차를 두고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적으로 파악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H2-b. 국내 자동차 부품 산업의 기업의 자율주행 기술 관련 특허 가치는 매출 증가에 양의 영향을 가질 것이다.
  • H2-a. 국내 자동차 부품 산업의 기업의 자율주행 기술 관련 특허 가치는 자산 증가에 양의 영향을 가질 것이다.
  • 더불어 기업의 기술역량으로 선행연구에서 공통적으로 활용된 변수인 특허의 규모와 가치 등의 특허 지표를 독립변수로 정의한다. 선행 연구에서 설정한 기업 성과 시차 결과가 1~4년 사이였다는 것을 통해, 본 연구도 기업성과 시차를 4년 이하로 설정하였다.
  • 정리하자면, 기업이 보유한 특허 규모 지표는 2년의 시차를 두고 기업의 자산 증가에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3년의 시차를 두고 매출 증가에도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쳤으므로 가설 H1은 채택한다. 이는 특허가 몇 년 간에 시차를 두고 기업 성과에 영향을 준다는 선행 연구들과 일치하는 결과이다(Agostini et al.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특허 지표란 무엇인가? 특허 지표는 특허의 품질이나 특성들을 측정할 수있는 도구로서(Schankerman and Pakes 1985), 이를 통해 특허가 갖고 있는 다양하면서 신뢰성 있는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Harhoff et al. 2003).
자동차 산업의 특성은 무엇인가? 자동차 산업은 부품의 제조와 완성차의 조립, 판매, 할부 금융, 보험, 정비 등 광범위한 전후방 연관 산업을 가지는 종합 산업이며, 완성차 업체와 약 2만여개의 부품을 공급하는 자동차 부품 업체 간의 전후방 연계가 매우 뚜렷하다는 특성을 갖고 있다. 부품을 조합하고 검증하여 상품성이 있는 ‘자동차’라는 제품이자 플랫 폼을 제공하는 것이 완성차 업체의 몫이라면, 자동차가 요구하는 기능을 만족하기 위한 요소 기술을 확보 하는 것은 자동차 부품 업체의 역할이다.
자율주행 기술 확보에 대한 의사결정이 쉽지 않은 이유는 무엇인가? 그동안 국내 자동차 부품 업체들은 자체 신기술을 개발하기 보다 공개된 기술을 저가에 개발하는 등양적인 기술 확보에 치중해 왔다(이항구·정승환 2010). 이는 국내 자동차 부품 산업의 구조적 문제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일부 완성차 업체의 계열사를 제외하면 대부분의 국내 부품 업체들이 투자여력이 충분하지 않은 중견, 중소기업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기존의 사업의 영역을 넘어서는 자율주행 기술 확보에 대한 의사결정은 쉽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김창봉, 박정호 2016. "국내 IT기업의 특허활동요인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 통상정보연구 (18:3), pp. 249-273. 

  2. 박성환, 이철규, 서철승 2013. "녹색전문기업의 녹색기술 특허가 기업의 재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기술혁신학회지 (16:3), pp. 724-753. 

  3. 선동주, 오정민, 최진영, 이수영, 이혜진, 김지희, 박민수 2015. "특허성과 지표 활용 가이드라인," 성과관리팀. 특허청 산업재산정책국 산업재산정책과. 

  4. 신정관, 윤소영 2016. "자동차 산업 패러다임 변화에 대한 Q&A," KB 투자증권. 

  5. 안연식 2010. "기업의 특허 역량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 분석: 우수 벤처기업을 중심으로," 지식경영연구 (11:1), pp. 83-96. 

  6. 오철, 정태현 2017. "스마트 자동차 산업의 기술역량과 발전방향 분석 - 특허 분석을 중심으로," KERI Insight (17-02). 

  7. 이기환, 윤병섭 2006. "특허활동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벤처기업 대 일반기업," 기술혁신연구 (14:1), pp. 67-99. 

  8. 이병호, 이상원 2017. "글로벌 제약.바이오 기업의 개방형 혁신 특허가 기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18:9), pp. 356-365. 

  9. 이성수 2001. "특허와 기업성과," 기술혁신역량연구 (14:1), pp. 37-45. 

  10. 이승구 2014. "산업별 신용평가 방법론 : 자동차 부품." 한국기업평가. 

  11. 이항구, 정승환 2010. "자동차 부품 중견기업 육성을 위한 과제와 전략," 중견기업연구 (1:2), pp. 67-68. 

  12. 임지연, 김철영, 구자철 2011. "특허지표와 기업성과의 인과관계에 대한 분석," 경영과학 (28:2), pp. 63-74. 

  13. 추기능, 박규호 2010. "특허의 경제적 수명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갱신자료를 활용한 생존분석," 지식경영연구 (11:1), pp. 65-81. 

  14.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6. "자동차전용도로 자율주행 핵심기술개발 사업," 기획재정부. 

  15. Agostini, L., Caviggioli, F., Filippini, R., and Nosella, A. 2015. "Does Patenting Influence Sme Sales Performance? A Quantity and Quality Analysis of Patents in Northern Italy," European Journal of Innovation Management (18:2), pp. 238-257. 

  16. Artz, K. W., Norman, P. M., Hatfield, D. E., and Cardinal, L. B. 2010. "A Longitudinal Study of the Impact of R&D, Patents, and Product Innovation on Firm Performance," Journal of product innovation management (27:5), pp. 725-740. 

  17. Bloom, N., and Van Reenen, J. 2002. "Patents, Real Options and Firm Performance," The Economic Journal (112:478), pp. C97-C116. 

  18. Branch, B. 1974. "Research and Development Activity and Profitability: A Distributed Lag Analysis,"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82:5), pp. 999-1011. 

  19. Ceccagnoli, M. 2009. "Appropriability, Preemption, and Firm Performance,"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30:1), pp. 81-98. 

  20. Chen, Y.-S., and Chang, K .- C. 2010. "The Relationship between a Firm's Patent Quality and Its Market Value-the Case of Us Pharmaceutical Industry," Technological Forecast ing and Social Change (77:1), pp. 20-33. 

  21. Chin, C.-L ., Lee, P., Chi, H.-Y., and Anandarajan, A. 2006. "Patent Citation, R&D Spillover, and Tobin's Q: Evidence from Taiwan Semiconductor Industry," Review of Quantitative Finance and Accounting (26:1), pp. 67-84. 

  22. Comanor, W. S., and Scherer, F. M. 1969. "Patent Statistics as a Measure of Technical Change,"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77:3), pp. 392-398. 

  23. Dernis, H. 2012. "Measuring Patent Quality and Radicalness of Patents Filed by Regions: Example of the Ict Sector," OECD Economic Analysis and Statistics" Patent statistics, in-novation management and IPR", Paris 6 5, 2012, 5 6 2012. . 

  24. Ernst, H. 1995. "Patenting Strategies in the German Mechanical Engineering Industry and Their Relationship to Company Performance," Technovation (15:4), pp. 225-240. 

  25. Ernst, H. 2001. "Patent Applications and Subsequent Changes of Performance: Evidence from Time-Series Cross-Section Analyses on the Firm Level," Research Policy (30:1), pp. 143-157. 

  26. Hall, B. H., Jaffe, A. B., and Trajtenberg, M. 2000. "Market Value and Patent Citations: A First Look," 

  27. Han, J., Jo, G. S., and Kang, J. 2018. "Is High-Quality Knowledge Always Beneficial? Knowledge Overlap and Innovation Performance in Technological Mergers and Acquisitions," Journal of Management & Organization (24:2), pp. 258-278. 

  28. Harhoff, D., Scherer, F. M., and Vopel, K. 2003. "Exploring the Tail of Patented Invention Value Distributions," in Economics, Law and Intellectual Property. Springer, pp. 279-309. 

  29. Hirschey, M., and Richardson, V. J. 2004. "Are Scientific Indicators of Patent Quality Useful to Investors?," Journal of Empirical Finance (11:1), pp. 91-107. 

  30. Lanjouw, J. O., and Schankerman, M. 2004. "Patent Quality and Research Productivity: Measuring Innovation with Multiple Indicators," The Economic Journal (114:495), pp. 441-465. 

  31. Midi, H., Sarkar, S., and Rana, S. 2010. "Collinearity Diagnostics of Binary Logistic Regression Model," Journal of Interdisciplinary Mathematics (13:3), pp. 253-267. 

  32. Narin, F., Noma, E., and Perry, R. 1987. "Patents as Indicators of Corporate Technological Strength," Research policy (16:2-4), pp. 143-155. 

  33. Reitzig, M. 2004. "Improving Patent Valuations for Management Purposes-Validating New Indicators by Analyzing Application Rationales," Research policy (33:6-7), pp. 939-957. 

  34. Roper, S., and Hewitt-Dundas, N. 2015. "Knowledge Stocks, Knowledge Flows and Innovation: Evidence from Matched Patents and Innovation Panel Data," Research Policy (44:7), pp. 1327-1340. 

  35. Schankerman, M., and Pakes, A. 1985. "Estimates of the Value of Patent Rights in European Countries During Thepost-1950 Period." National Bureau of Economic Research Cambridge, Mass., USA. 

  36. Scherer, F. M. 1965. "Firm Size, Market Structure, Opportunity, and the Output of Patented Inventions," The American Economic Review (55:5), pp. 1097-1125. 

  37. Shane, H., and Klock, M. 1997. "The Relation between Patent Citations and Tobin's Q in the Semiconductor Industry," Review of Quantitative Finance and Accounting (9:2), pp. 131-146. 

  38. Squicciarini, M. 2012. "Measuring Patent Quality and Radicalness: New Indicators," 4th IPTS Workshop on "The Output of R&D activities: Harnessing the Power of Patents Data". Sevilla , pp. 24-25. 

  39. Squicciarini, M., Dernis, H., and Criscuolo, C. 2013. "Measuring Patent Quality: Indicators of Technological and Economic Value,"). 

  40. Trajtenberg, M. 1990. "A Penny for Your Quotes: Patent Citations and the Value of Innovations," The Rand Journal of Economics, pp. 172-187.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