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자율주행자동차 4-5단계의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fluencing Factors on the Acceptance Intention of Autonomous Vehicles Level 4-5 원문보기

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v.23 no.9, 2020년, pp.1219 - 1228  

박민희 (Dept. of Digital Media, Kyungsung University) ,  권만우 (Dept. of Digital Media, Kyungsung University) ,  김치용 (Dept. of Game Animation, College of ICT Eng., DONG-EUI University) ,  나건 (Dept. of Design Management, IDAS, Hongik University)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factors affecting the acceptance intention for level 4-5 of autonomous vehicles were investigated by applying TAM(Technology Acceptance Model). To this end, 332 ordinary persons interested in autonomous vehicle and experienced in driving car were analyzed by using SEM(Structural E...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3년 이상의 운전먼허 경력과 자율주행자동차에 관심이 있는 20-40대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자율주행자동차 레벨 4-5의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기존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수용의도에 미치는 주요한 영향요인을 도출하여 변인과 수용의도 간의 영향관계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신기술을 받아들이는 소비자의 태도나 사용의도의 영향관계를 예측·설명할 수있는 기술수용모델(TAM)[6]을 근거한 개인적·인지적 변인들을 추가하여 연구모델 및 가설을 설정하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 본 연구는 선행연구와 전문자료를 기반으로 자율주행자동차의 수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을 도출하여 그 영향관계를 살펴보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자율주행자동차에 대한 실소비자들의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미리 예측하고, 그것을 기반으로 향후 자율주행자동차의 개발 및 판매를 위한 타겟 선정 척도와 기업의 마케팅 전략을 위한 방향성 제시뿐만 아니라, 정부의 정책 마련에 매우 유용한 기초연구가 될 것이라 사료된다.

가설 설정

  • H6. 경제성은 인지된유용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9. 인지된유용성은 수용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2. 지각된가치는 수용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율주행자동차를 연구 및 투자하는 기업은? 또한 향후 자동차를 둘러싼 전반적인 생활환경과 관련 산업시장을 크게 변화시킴으로써 여느 자동차 기술보다 큰 파급효과를 불러일으킬 것으로 예상된다. 테슬라, 볼보, 제너럴모터스, 폭스바겐, 구글, 애플 등의 기업에서도 자율주행자동차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관련 연구 및 투자를 확대하고 있으며, 각국에서도 자동차 통신기술 인프라 도입 및 제도적 지원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자율주행자동차에 대한 수용 정도는 무엇의 영향을 받는가? 기업이나 전문가 입장에서 자율주행자동차가 운전자의 안전이나 편의를 도모한다고 강조하더라도 실사용자 입장에서는 여러가지 이유로 인해 자율주행자동차에 대한 수용 정도가 다를 수 있다. 이를테면, 자율주행자동차를 구매할 때 소비자들은 다양한 요인, 예를 들면 연료나 세금, 유지 및 관리 등을 위한 비용, 안전성, 편의성, 프라이버시, 신뢰 등에 영향을 받게 되며, 이러한 요인들을 먼저 고려한 후 자신의 기대에 충족되면 수용하거나 구매하게 된다[5]. 그러므로, 2025년부터 본격적으로 상용화 될 것이라 예상되는 가운데, 자율주행자동차의 효율적인 도입과 확산을 위해서는 기술 개발뿐만 아니라, 소비자의 인식, 선호도, 수용·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자율주행자동차는 무엇인가? 자율주행자동차란, 운전자의 개입 없이 주변 환경을 인식하고 주행 상황을 판단하여 차량을 제어함으로써 자동차 스스로 목적지까지 주행하는 자동차를 말한다[4]. 자율주행자동차는 운전자의 편의 향상, 교통 효율성 증대, 교통사고의 감소, 연료 절감 등을 통해 사회적 비용을 크게 감소시키고 고령 운전자나 장애우와 같은 교통 약자들의 사회참여 기회를 확대시킬 수 있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S.A. Shin, I.H. No, T.H. Hwang, S.H. Shin, J.B. Shim, M.S. Oh, et al., "A Method of Collision Avoidance for Autonomous Mobile Robot Using the Antenna, Ir and Ultrasonic,"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Vol. 15, No. 10, pp. 1236-1246, 2012. 

  2. K.B. Han and K.M. Ko, "Car Driving Simulation Game Using 3-axis Gyroscope Sensor,"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Vol. 19, No. 6, pp. 1089-1094, 2016. 

  3. Convergence Research Policy Center, Characteristics of Autonomous Vehicle Technology Development and Policy Trends, 2017. 

  4.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Technology Trends of Self-driving Vehicles, 2013. 

  5. B.R. Jin, Preference Analysis of Autonomous Vehicle in Korea : Using Mixed Logit Model, Master's Thesis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2014. 

  6. M.H. Park and K. Nah, "Study on Repurchase Intention of RTP HMR Products : Focused on Meal Kit,"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 19, No. 2, pp. 548-557, 2019. 

  7. J.S. Yang, K.J. Kim, and H.B. Kwon, "A Study on the Acceptance of Innovation in Autonomous Vehicles Based on National Assembly Legislation Assistant," Journal of Distribution and Management, Vol. 20, No. 6, pp. 45-52, 2017. 

  8. SAE International, Automated Driving- Levels of Driving Automation are Defined in New SAE International Standard J 3016, 2014. 

  9. S.A. Cho, "Autonomous Vehicle Developed by IT Companies," The Korea Transport Institute (KOTI ) , 2017. 

  10. Will Self-driving Cars be Safe? - We Need to Cope with Unexpected Human Behavior (2019), https://news.joins.com/article/23595546 (accessed January 05, 2020). 

  11. Volkswagen's Ambitious Plan'level 4 Test Begins in Germany'(2019), http://www.autoherald. co.kr/news/articleView.html?idxno34549 (accessed January 05, 2020). 

  12. K.Y. Sung, J.T. Oh, and H. Kim, "A Study on the Acceptance Factor Analysis of Autonomous Vehicles: Focused on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Vol. 19, No. 1, pp. 17-31, 2020. 

  13. J.Y. Lim, S.Y. Jeon, and S.H. Hwang, "A Study on the Technology Acceptance of Autonomous Vehicles Based on Practical Experiences,"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Automotive Engineers, Vol. 28, No. 1, pp. 53-62, 2020. 

  14. H.R. Park, The Effect of Autonomous Vehicles Perceived Risk on Intention to Use: The Mediate Effect of Value and Trust, Doctoral Thesis of Hoseo University, 2019. 

  15. H.S. Yang, A Study on the Effects of Hedonic and Safety on the Acceptance of Autonomous Vehicles, Doctoral Thesis of Soongsil University, 2018. 

  16. H.H. Seo, A Study on Intention to Use of Self-driving Cars: Focused on Network Externality and Monetary Consideration, Doctoral Thesis of Soongsil University, 2018. 

  17. H.Y. Kim and D.K. Sung, "Factors Influencing on Purchase Intention for an Autonomous Driving Car,"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 18, No. 3, pp. 81-100, 2018. 

  18. J.H. Cho, Study on Key Factors of Autonomous Vehicle Adoption, Master's Thesis of Sungkyunkwan University, 2017. 

  19. Y.J. Cho, Driver's Technology Acceptance Modeling Based on User Experience for Autonomous Vehicles, Master's Thesis of Korea University, 2017. 

  20. S.W. Zmud, "Consumer Acceptance and Travel Behavior Impacts of Automated Vehicles," Proceeding of the Texas A&M Transportation Institute, pp. 15-49, 2016. 

  21. S.J. Casley, A.S. Jardim, and A.M. Quartulli, "A Study of Public Acceptance of Autonomous Cars," Proceeding of the Worcester Polytechnic Institute, pp. 56-71, 2013. 

  22. L.L. Gao, A Study on the Chinese Consumers for the Purchase of Environmentally Friendly Cars: Focused on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Master's Thesis of Chung-Ang University, 2013. 

  23. E. Adell, Driver Experience and Acceptance of Driver Support Systems: A Case of Speed Adaptation, Doctoral Thesis of Lund University, 200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