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생물음향 모니터링 기법을 이용한 야행성 조류 탐지 및 생태적 특성 분석
Nocturnal Birds Detection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through Bioacoustic Monitoring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33 no.6, 2019년, pp.636 - 644  

최세준 (상지대학교 대학원 응용식물과학과 원예조경학전공) ,  기경석 (상지대학교 친환경식물학부 원예조경학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생물음향 녹음기술을 이용하여 야행성 조류의 울음을 탐지하여 종을 식별하고, 종별 생태적 특성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지는 설악산국립공원, 국립생태원, 무등산국립공원 3개소였다. 분석기간은 설악산은 2018년 4월 중순부터 2019년 3월 초, 국립생태원은 2018년 2월 말부터 2019년 2월 중순, 무등산은 2018년 2월 중순부터 8월 말까지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탐지가 확인된 야생조류 종 수는 쏙독새, 소쩍새, 호랑지빠귀, 수리부엉이, 긴점박이올빼미로 총 5종이다. 두 번째, 종별 번식울음 기간은 쏙독새는 5월 초부터 8월 초, 소쩍새는 4월 초부터 9월 말, 호랑지빠귀는 3월 초부터 10월 초, 수리부엉이는 9월 말부터 2월 초, 긴점박이올빼미는 1월 중순부터 3월 초까지였다. 세 번째, 종별 번식울음 일주기는 세 지역의 관찰대상종 모두 16시부터 다음 날 10시 사이로 형성이 됐고, 빈도가 높게 나타나는 시간대는 20시부터 다음 날 06시 사이에 형성되었다. 네 번째, 종별 일 누적 울음빈도와 강수량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지 않았다. 다섯번째, 종별 울음이 탐지된 기간 동안의 평균기온은 긴점박이올빼미는 -4.00℃, 수리부엉이는 2.58℃, 호랑지빠귀는 13.66℃, 소쩍새는 19.50℃, 쏙독새는 20.77℃였고, 분산분석 결과 종별 울음이 평균기온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결과, 긴점박이올빼미, 수리부엉이, 호랑지빠귀, 소쩍새-쏙독새 4개의 그룹 순으로 낮은 온도에서 나타났다. 연구를 통해 확인된 종별 번식울음 기간은 종별 울음이 탐지된 기간 중 울음빈도가 높게 나타난 기간이다. 이는 종마다 알려진 번식기간에 속하는 결과이기 때문에 생물음향 모니터링 기법을 이용하여 울음기간을 확인했을 때 울음빈도가 높게 형성되는 기간을 번식기간으로 볼 수 있음을 확인했다. 본 연구는 한국의 야행성 조류를 대상으로 생물음향 녹음기술을 이용하여 종을 식별하고, 종별 생태적 특성을 밝힌 초기 논문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allings of nocturnal birds using bioacoustic recording technology to identify species and to analyze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each species. Three sites - Seoraksan National Park,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and Mudeungsan National Park -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는 국내 야행성 조류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이와 관련된 연구에서 생물음향 녹음기술을 활용한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생물음향 녹음기술을 이용하여 야행성 조류의 울음을 탐지하여 종을 식별하고, 종별 생태적 특성을 분석하는데 있다.
  • 본 연구는 생물음향 녹음기술을 이용하여 야행성 조류의 울음을 탐지하여 종을 식별하고, 종별 생태적 특성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기존 연구에 의하면 자동화 녹음 기술을 통해 야행성 조류의 탐지뿐만 아니라 활동 시간대까지 파악이 가능함을 제시하고 있다(Goyette et al.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야행성 조류란? 야행성 조류는 구애, 번식, 먹이활동 등의 제반활동을 주로 야간에 행하는 종을 의미한다. La(2012)는 조류의 야간 발성이 주간 발성과 유사한 기능을 수행한다고 하였다.
생물음향 측정기술을 이용한 탐지의 장점은? 생물음향 측정기술을 이용한 탐지는 24시간 지속적으로 생물음향을 수집할 수 있기 때문에 효과적이고, 직접 조사가 어려운 야간 시간대의 생물 소리 수집이 가능하다. Stowell et al.
해외에서 생물음향 녹음을 통해 야행성 조류를 탐지한 사례는? 반면, 생물음향 녹음을 통한 야행성 조류의 탐지와 관련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국외의 경우 Goyette et al.(2011)이 자동녹음기술을 이용한 야행성 조류 탐지 연구를 실시한 바 있으나 열대림에 한정되어 있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Appleby, B.M. and Redpath, S.M.(1997) Indicators of male quality in the hoots of tawny owls (Strix aluco). Journal of Raptor Research 31: 65-70. 

  2. Bardeli, R., D. Wolff, F. Kurth, M. Koch, K.H. Tauchert and K.H. Frommolt(2010) Detecting bird sounds in a complex acoustic environment and application to bioacoustic monitoring. Pattern Recognition Letters 31(12): 1524-1534. 

  3. Bruni, A., D.J. Mennill and J.R. Foote(2014) Dawn chorus start time variation in a temperate bird community: Relationships with seasonality, weather, and ambient light. Journal of Ornithology 155(4): 877-890. 

  4. Choi, W., J.H. Lee and H.C. Sung(2019) A case study of male tawny owl (Strix aluco) vocalizations in South Korea: Call feature, individuality, and the potential use for census. Animal Cells and Systems 23(2): 90-96. 

  5. Fuller, R.A., P.H. Warren and K. J. Gaston(2007) Daytime noise predicts nocturnal singing in urban robins. Biology Letters 3(4): 368-370. 

  6. Gim, J.Y., J.Y. Lee and K.S. Ki(2017) Differences in the Soundscape Characteristics of a Natural Park and an Urban Park.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31(1): 112-11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Goyette, J.L., R.W. Howe, A.T. Wolf and W.D. Robinson(2011) Detecting tropical nocturnal birds using automated audio recordings. Journal of Field Ornithology 82(3): 279-287. 

  8. Jeon, Y.J. and K.S. Ki(2018) Amphibian Species Identification of Using Machine Learning Technique: In case of Jeunggwan-dong wetland in Bukhansan national park. Journal of National Park Research 9(3): 343-35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 Ki, K.S., J.Y. Gim, K.S. Yoon and J.Y. Lee(2016) Effects of Tropical Night and Light Pollution on Cicadas Calls in Urban Areas. Korean J. Environ. Ecol. 30(4): 724-72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Kim, D.W., J.H. Kang and J.H. Suh(2011) Areas of high Population Densities of Eurasian Eagle Owls (Bubo Bubo). Korean J. Orni. 18(1): 11-1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Kim, S.S.,Y.S. Choi, B.H. Kim, J.Y. Park, S.H. Han and J.C. Yoo(2012) Cave Roosting of the Tawny Owl (Strix aluco) in Korea. Korean J. Orni. 19(4): 293-30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Kim, Y.J. and K.S. Ki(2018) A Study on the Differences in Breeding Call of Cicadas in Urban and Forest Areas. Korean J. Environ. Ecol. 32(6): 698-70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3. La, V.T.(2012) Diurnal and nocturnal birds vocalize at night: a review. The Condor 114(2): 245-257. 

  14. Lengagne, T. and P.J. Slater(2002) The effects of rain on acoustic communication: tawny owls have good reason for calling less in wet weather. Proceedings of the Royal Society of London. Series B: Biological Sciences 269(1505): 2121-2125. 

  15. Macdougall-Shackleton, S.A.(1997) Sexual selection and the evolution of song repertoires. In Current ornithology. Springer, Boston, MA, pp. 81-124. 

  16. Park, J.G.(2014) Identification Guide to Birds of Korea, Checklist of Organisms in Korea 12 (series). Nature and Ecology Publication, Seoul. (in Korean) 

  17. Searcy, W.A. and M. Andersson(1986) Sexual selection and the evolution of song. Annual Review of Ecology and Systematics 17(1): 507-533. 

  18. Stowell, D., M. Wood, Y. Stylianou and H. Glotin(2016) Bird detection in audio: a survey and a challenge. In 2016 IEEE 26th International Workshop on Machine Learning for Signal Processing (MLSP), pp. 1-6. 

  19. Zuk, M. and G.R. Kolluru(1998) Exploitation of sexual signals by predators and parasitoids. The Quarterly Review of Biology 73(4): 415-438.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