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태백산국립공원에 서식하는 매미류의 생물음향 및 서식환경 분석
Bioacoustics and Habitat Environment Analysis of Cicadas in Taebaeksan National Park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33 no.6, 2019년, pp.664 - 676  

김윤재 (상지대학교 대학원 응용식물과학과 원예조경학전공) ,  정태준 (상지대학교 대학원 응용식물과학과 원예조경학전공) ,  기경석 (상지대학교 친환경식물학부 원예조경학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국내 고산지대인 태백산국립공원에 서식하는 매미류의 생물음향 및 서식환경 분석에 목적이 있다. 매미 번식울음 녹음 데이터는 2018년 7월부터 9월까지 약 3개월간 태백산국립공원 내 대덕산계곡과 백천계곡에 녹음장치를 설치하여 24시간 매일 녹음하였다. 매미 서식분포 데이터는 2018년 8월에 태백산국립공원 탐방로에 위치한 111개소에서 소리를 녹음하였다. 기상 데이터는 기상청 태백시 기상 자료를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태백산국립공원에 출현한 매미류는 소요산매미, 참깽깽매미, 호좀매미, 참매미, 애매미 5종이었다. 매미별 출현 시기는 소요산매미는 7월 초순부터 7월 중순까지 울었으며, 참깽깽매미, 호좀매미, 참매미, 애매미는 7월 중순부터 9월 초순까지 울었다. 매미별 일주기 패턴은 참깽깽매미, 호좀매미, 참매미가 06~07시에 번식울음을 시작하였고, 울음 종료 시각은 3종 모두 19시 전후로 나타났다. 울음 피크 시간대는 참깽깽매미 11시, 참매미 12시, 호좀매미 13~14시경으로 나타났다. 태백산국립공원에 서식하는 매미 번식울음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인을 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참깽깽매미, 호좀매미는 평균기온이 1도 높아질수록 울 가능성이 1.192배, 1.279배 높아졌다. 참깽깽매미, 참매미는 일조량이 1시간 길어질수록 울 가능성이 4.366배, 2.624배 높아졌다. 종간영향은 참깽깽매미는 참매미가 1번 울면 울 가능성이 14.620배 증가하며, 호좀매미는 참매미가 1번 울면 울 가능성이 2.784배 증가하였다. 참매미는 참깽깽매미가 울면 울 가능성이 11.301배 증가하며 호좀매미가 울면 울 가능성이 2.474배 증가하였다. 참깽깽매미와 호좀매미는 서로 영향을 주고받지 않았다. 종별 서식환경 분석 결과, 각 매미가 서식하는 지점의 평균 해발고도(Altitude)는 참깽깽매미 1,046m(780~1,315m), 호좀매미 1,072m(762~1,361m), 참매미 976m(686~1,245m)으로 나타났다. 호좀매미와 참깽깽매미는 낮은 고도에서 발견되는 참매미와 달리 700m 이하 해발고도에서 확인되지 않았다. 각 매미가 서식하는 평균 방향(Aspect)는 참깽깽매미가 166°(125~207°) 방향에서 발견되었고, 호좀매미가 100°(72~128°) 방향에서 발견되었으며, 참매미가 173°(118~228°) 방향에서 발견되었다. 매미별 분포도를 확인하였을 때, 태백산 문수봉을 기준으로 동남향 능선 밑 경사지에서 매미가 주로 분포하고 있었다. 결과를 종합하면, 태백산국립공원에 서식하는 참깽깽매미와 호좀매미는 한반도 전역에서 서식하는 참매미보다 높은 해발고도에서 서식하였다. 또한 매미가 주로 서식하는 방향은 일조량 확보가 용이한 동남쪽(100~173°) 지형으로 확인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bioacoustics and habitat environment of the cicadas inhabiting Taebaeksan National Park, an sub-alpine region in Korea. The mating calls of the cicadas were recorded for approximately 3 months, between July and September of 2018. The recording devices were installed 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 중부지방 고산지대인 태백산국립공원에 서식하는 매미의 번식울음을 분석하여 태백산 내 출현 매미종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태백산에 서식하는 매미종의 계절학적 출현 시기 및 번식울음 일주기, 매미종이 받는 기상요인영향과 종간영향의 통계학적 분석 등 매미별 번식울음 특성을 분석하고, 태백산국립공원 등산로의 녹음 데이터를 분석하여 매미종의 해발고도, 서식방향 등 서식환경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 중부지방 고산지대인 태백산국립공원에 서식하는 매미의 번식울음을 분석하여 태백산 내 출현 매미종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태백산에 서식하는 매미종의 계절학적 출현 시기 및 번식울음 일주기, 매미종이 받는 기상요인영향과 종간영향의 통계학적 분석 등 매미별 번식울음 특성을 분석하고, 태백산국립공원 등산로의 녹음 데이터를 분석하여 매미종의 해발고도, 서식방향 등 서식환경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 본 연구는 매미 울음소리를 분석하여 태백산에 서식하는 매미의 생태환경 및 울음특성을 규명하였다. 또한 서식환경 분석을 통해 한반도 중부 고산지대에 위치한 태백산국립공원 내 분포하는 매미가 번식울음에 용이한 환경이 동남향에 위치함을 규명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태백산국립공원에 서식하는 매미 번식울음 데이터를 분석하여 출현시기, 일주기, 환경요인영향, 서식환경을 규명하는 것이었다. 연구 결과, 태백산에서 서식하는 매미는 소요산매미, 참매미, 애매미, 참깽깽매미, 호좀매미 5종이었으며, 이중 참깽깽매미와 호좀매미는 기존 도심지, 저산지 연구 결과와 달리 고산지에서만 우는 매미종임을 확인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매미란 무엇인가? 매미는 번식울음을 우는 노린재목 곤충으로써, 여름철 대한민국 전 지역에서 발견되는 흔한 곤충이다. 한국에 서식하는 매미는 현재까지 총 12종이 관찰되어 분류되었고(Lee, 2008;Kim and Song, 2017), 매미는 서식지 환경에 따라 출현종과 연간 출현시기, 하루 울음 일주기에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다(Kang, 2017; Kim, 2018).
한국에 서식하는 매미는 몇 종인가? 매미는 번식울음을 우는 노린재목 곤충으로써, 여름철 대한민국 전 지역에서 발견되는 흔한 곤충이다. 한국에 서식하는 매미는 현재까지 총 12종이 관찰되어 분류되었고(Lee, 2008;Kim and Song, 2017), 매미는 서식지 환경에 따라 출현종과 연간 출현시기, 하루 울음 일주기에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다(Kang, 2017; Kim, 2018). 여름 매미가 우는 것은 발성기관이발달된 수컷이 암컷을 유혹하여 짝짓기를 통해 번식하기 위함이다(Young, 1981; Kim et al.
매미종의 일주기는 거의 비슷하지만, 환경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는 근거는? 일주기 분석 결과를 정리하면, 대덕산계곡보다 해발고도가 낮은 백천계곡 쪽이 매미가 서식하기 용이한 환경으로 보이며,참깽깽매미는 두 대상지에서도 비슷한 빈도를 보였다. 또한 참매미는 새벽에 울음을 시작하는 점과, 다른 매미들이 울음빈도가 오를 때 잠깐 빈도가 줄어드는 경향을 보아 다른 매미들과 울음시기를 피하려는 것으로 보인다. 호좀매미는 다른 매미에 비해서도 저녁시간까지 우는 모습을 보였다. 따라서 매미종의 일주기는 거의 비슷하지만, 환경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판단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Gogala, M. and K. Riede(1995) Time sharing of song activity by cicadas in Temengor Forest Reserve, Hulu Perak, and in Sabah, Malaysia. Malayan Nature Journal 48(3-4): 297-305. 

  2. Gu, J.H., J.W. Lee, W.S. Lee, K.H. Choi, C.Y. Seo, H.K. Park, S.S. Kim and J.S. Han(2012) Sou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Cicada Singing Noise in Urban Areas.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22(9): 825-82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 Hayashi, M.(1982) Notes on the Distribution of Cicadidae (Insecta, Homoptera) in the Fuji-Hakone-Izu Area. Memoirs of the National Science Museum 15: 187-194. (in Japanese) 

  4. Kang, J.Y.(2014) Chorus dynamics and acoustic interaction in the multi-species cicada. M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59pp. (in English with Korean abstract) 

  5. Kang, J.Y., G.S. Jeong and H.J. Lee(2015)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ccurrence of cicadas in metropolitan parks and meteorological factors.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2015): 73-74. (in Korean) 

  6. Kang, J.Y., Y.S. Kwon, G.S. Jeong and S.S. Kim(2017) A Study on the Composition and Occurrence of Cicadas in the Urban Environment.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2017): 66-66. (in Korean) 

  7. Kang, J.Y., Y.S. Kwon, G.S. Jeong, Y.S. Choi, S.B. Joo, S.Y. Park and S.S. Kim(2017) A Study on the Production and Species Composition of Cicadas According to the Urban Artificiality.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2017): 73-73. (in Korean) 

  8. Ki, K.S., J.Y. Kim, K.S. Yoon and J.Y. Lee(2016) Effects of Tropical Night and light Pollution in cicadas calls in Urban Areas. Korean J. Environ Ecology 30(4): 724-72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 Kim, B.S. and H.S. Oh (2005) The Distribution and Habitat of Bibari Snake (Sibynophis collaris Gray)in Jeiu Island, Korea.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19(4): 342-34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Kim, K.H. and J.G. Kim(2011) Soil habitat characteristics of cicada nymph in an urban apartment garden.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14(3): 47-5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Kim, P., H.J. Jeon, H.J. Ryu, T.H. Park and S.I. Jang(2013) Calibration method of cicada sounds from noise measurement data.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13(10): 681-682. (in Korean) 

  12. Kim, S.J. and J.H. Song(2017) Korea cicada ecological Book. 127pp. (in Korean) 

  13. Kim, Y.J. and K.S. Ki(2018) A Study on the Differences in Breeding Call of Cicadas in Urban and Forest Areas.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32(6): 698-70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4. Kim, Y.J. and K.S. Ki(2018)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the Start and End of Cicadae Calling: The Case Study of Hyalessa fuscata and Cryptotympana atrata.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32(2): 342-35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5. Kim, Y.J. and K.S. Ki(2018) Temporal Changes of Hyalessa fuscata Songs by Climate Chang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32(2): 244-25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6. Lee, B.G., J.J. Yang, J.W. Jo, S.J. Lim, G.H. Kwon and A.N. Lee(2011) Study on the Habitat-using of Common goral(Naemorhedus caudatus) in Odaesan National Park.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21(2): 208-211. (in Korean) 

  17. Sanborn, A.F., J.H. Breitbarth, J.E. Heath and M.S. Heath(2002) Temperature responses and habitat sharing in two sympatric species of Okanagana (Homoptera: Cicadoidea). Western North American Naturalist, pp. 437-450. 

  18. Shieh, B.S., S.H. Liang and Y.W. Chiu(2015) Acoustic and temporal partitioning of cicada assemblages in city and mountain environments. PloS one 10(1): e0116794. 

  19. Shimoda, Y., D. Narumi and M. Mizuno(2005) Environmental Impact of Urban Heat Island Phenomena: Cause-effect chain and evaluation in Osaka City. Journal of Life Cycle Assessment 1(2): 144-148. 

  20. Sueur, J.(2002) Cicada acoustic communication: potential sound partitioning in a multispecies community from Mexico (Hemiptera: Cicadomorpha: Cicadidae). Biological Journal of the Linnean Society 75(3): 379-394. 

  21. Villet, M.H., A.F. Sanborn and P.K. Phillips(2003) Endothermy and chorusing behaviour in the African platypleurine cicada Pycna semiclara (Germar, 1834)(Hemiptera: Cicadidae). Canadian Journal of Zoology 81(8): 1437-1444. 

  22. Yang, D.H., B.H. Kim, D.H. Jung, D.H. Jeong, W.J. Jeong and B.G. Lee(2008) The Studies on Characteristics of Home Range Size and Habitat Use of the Asiatic Black Bear Released in Jirisan.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22(4): 429-43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3. Yoon, G.S., S.J. Suh and J.G. Suh(2007) The Effect of the Cicadas' Songs on the Psychological Responses in Adolescents.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26(4): 136-14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4. Young, A.M.(1981) Temporal selection for communicatory optimization: the dawn-dusk chorus as an adaptation in tropical cicadas. The American Naturalist 117(5): 826-829. 

  25. Yu, J.P., S.D. Jin, H.S. Kim, W.K. Paek and H.K. Song(2010) Characteristics of Birds Community in Relation to Altitude, Direction of Slope and Season in Deogyusan National Park. The korean Society of Phycology 17(4): 359-385. (in korean and english abstract) 

  26. https://data.kma.go.kr 

  27. http://taebaek.knps.or.kr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