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9 no.2, 2019년, pp.85 - 93
고영준 (한국승강기대학교) , 김병익 ((주)모두솔루션) , 한관희 (국립경상대학교 산업시스템공학부)
There is currently no recognized standard for the size of lifts. Each elevator manufacturer sets the maximum allowable floor area that meets the capacity calculation standard of the elevator using the maximum used car floor area, which is defined by EN-CODE and the domestic inspection standard, and ...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승객 당 평균 공간이란? | 19m2)까지 밀집될수도 있다고 제시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산출된 승객 당 평균 공간이란 승강기 용량 즉 카가 만차 될 경우 정격하중을 초과하지 않도록 파운드 또는 킬로그램으로 표현되고 평방피트로 환산된, 사람의 형태를 수용할 수 있는 최적의 공간으로 표현되고 있다. Fig. | |
승강기와 관련하여서는 우리나라를 비롯한 여러 나라들의 승강기 표준 규격과 안전 기준이 무엇으로 통합되고 있는가? | 오늘날 대부분의 기술들은 ISO (국제 표준화 기구),IEC(국제전기기술위원회) 등 표준화 기구에 의해 표준화가 이루어진다. 승강기와 관련하여서는 우리나라를 비롯한 여러 나라들의 승강기 표준 규격과 안전 기준이 유럽 기준인 EN-CODE로 통합되고 있다[1]. 승강기에 관련된 표준은 ISO TC 178(IOC 승강기 분과위원회)에서 다루어지고 있으며 ASME(미국공업규격)과 JIS(일본 산업 표준) 등도 국제회의를 거쳐 EN-CODE의 부록으로 첨가되고 추후에는 모두 단일한 코드로 통합되어가는 수순을 밟고 있다. | |
승강기설치에 있어서 빠른 의사결정을 할 수 없는 요인은? | 따라서 승강로의 치수 역시각 승강기 회사별 최소치만을 규정하고 있으므로 역시표준화 되었다고는 보기 힘들다. 이렇게 표준화 되지 않은(비표준) 승강로에 대한 승강기의 크기 결정은 승강기의 용도와 이용량 평가에 의해 결정된다. 이는 승강기설치에 있어서 빠른 의사결정을 할 수 없는 요인이 된다. |
British Standards Institution (2015). BS EN 81-1:1998+A3:2009 Safety Rules for the Construction and Installation of Lifts: Electric. British : British Standards Institution.
G. R. Strakosch & R. S. Caporale. (2010). The vertical transportation handbook 4th edition. Hobokon, NJ US : John Wiley & Sons, Inc.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2018). Elevator Safety Inspection Standard,. Jinju Korea : Korea Elevator Safety Agency.
Korea Elevator Business Design. (2007). Guide to standards for elevator inspection. Jinju Korea : Korea Elevator Safety Agency.
J. P. Choi, J. K. Kang, D. Y. Kim, E .S. Jeong & J. W. Lee. (2012). A Study on Estimation of Coverage Area Per Elevator for High-rise Office Buildings.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28(10), 131-138.
J. P. Choi, J. W. Lee, J. K. Kang, D. Y. Kim & E. S. Jeong. (2011). A Study on Deriving the Optimal Elevator Vertical Zoning Method for Office Use of High-rise Buildings.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27(12), 181-188.
Y. G. Hyun & J. Y. Lee. (2018). Trands Analysis and Future Direction of Business Process Automation, RPA(Robotic Process Automation)in the Times of Convergence.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6(11), 313-327.
W. Y. Kim & S. G. Park. (2013). A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Integrated Framework linked Manufacturer-Specifications of the Elevators based on Android System, The Korea Navigation Institute, 17(6), 785-791.
H. J. Kim. (2012).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Estimation for the Flow Coefficient of Elevator Hoistway.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26(1), 43-48.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