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여론 확산 시점과 크기에 대한 실증 사례 연구: 19대 대선 후보자 지지도를 중심으로
An Empirical Case Study of Spreading Public Opinion: Supporting Rates of 19th Presidential Election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2 no.7, 2022년, pp.116 - 125  

이도율 (단국대학교 커뮤니케이션학부) ,  김하나 (단국대학교 커뮤니케이션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여론 확산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기 위한 사례 연구로 19대 대선에 출마했던 문재인 대통령의 지지도 데이터를 활용해 여론의 크기(특정 후보자에 대한 지지도)와 여론 확산 크기(특정 후보자에 대한 지지도 상승률)의 관계에 주목했다. 구체적으로 여론이 급속하게 확산하여 '다수의 의견'이라 지칭할 수 있는 정확한 지점이 어디인지, 또 여론이 확산하는 규모가 어느 정도인지 조사했다. 연구 결과, 19대 대선 당시 문재인 후보자의 경우, 후보자에 대한 지지도 수준과 지지도 상승률은 선형관계가 아닌 비선형 관계로 나타났으며, 지지도 상승률이 높아지는 시점은 지지도 27-8%로, 기존 대비 1.4배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이 결과는 사례 연구로 도출되어 일반화하기는 어렵지만, 여론이 언제, 얼마나 확산하는지 구체적인 수치화를 시도한 점과 이를 분석하는 방법론을 제안한다는 점에서 연구의 학문적 의의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case study is to investigate an empirical analysis on how public opinion spreads, when is the effect to occur, and how much effective. Data from the 19th presidential election period, specifically supporting rates for a candidate, Moon Jae-in were used. Results indicated that a s...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과연 여론 확산이 "언제" "얼 마나" 발생하는지 실증적으로 알아보기 위해 19대 대선에 출마했던 문재인 후보자의 지지도를 활용해 분석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사례 연구로 연구 결과의 일반화에 주목하기보다는 실제 선거에 출마한 후보자의 구체적인 지지율을 통해 여론이 여론으로서 작용하기 위한 기준, 즉 특정 이슈에 대한 '지배적인 의견'이 되기 위해서는 과연 얼마나 많은 구성원의 지지를 받아야 하는지 구체적인 수치화와 이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론적 실마리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지금까지 주목하지 않았던 여론 확산이 "언제" 발생하는지와 "얼마나" 발생하는지를 19대 대선 문재인 후보자의 지지도를 통해 탐색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크게 주목하지 않았던 여론확산이 "언제", 얼마나" 진행되는지 실증적으로 연구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따라서 본 연구는 설문 응답자들이 여론조사 결과를 통해 의견 분위기를 인지했을 것이라고 가정한다. 대선 후보자 지지도 조사에 참여한 응답자들이 여론조사 결과, 즉 의견분위기를 인지해 본인의 의견을 표명했다는 가정은 다소 비현실적이다. 하지만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19대 대선의 주요 여론조사 의뢰기관이 신문사(53.
  • 침묵의 나선 이론은 집단의 의견 분위기를 구성원들이 지각하여야 한다고 전제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설문 응답자들이 여론조사 결과를 통해 의견 분위기를 인지했을 것이라고 가정한다. 대선 후보자 지지도 조사에 참여한 응답자들이 여론조사 결과, 즉 의견분위기를 인지해 본인의 의견을 표명했다는 가정은 다소 비현실적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정일권, 장병희, 남상현, "선거여론조사 방송보도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학보, 제28권, 제5호, pp.150-196, 2014. 

  2. S. Moscovici, The Phenomenon of Social Representations, In J. P. Forgas (Ed.), Social Cognition: Perspectives on Everyday Understanding. London: Academic Press, 1981. 

  3. E. Noelle-Neumann, The Spiral of Silence: Public Opinion-Our Social Skin,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4. 

  4. D. Mutz, Impersonal Influence,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8. 

  5. 김영석, 여론과 현대사회, 파주: 나남, 1996. 

  6. 양승찬, "한국의 선거 여론조사와 그 보도에 대한 이슈고찰," 커뮤니케이션이론, 제3권, 제1호, pp.83-119, 2007. 

  7. 하승태, "지지율 조사 보도에 따른 유력 대선 후보별 뉴스 보도의 분석 : 후보 인용과 보도사진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제52권, 제5호, pp.346-366, 2008. 

  8. 김춘식, "미디어 이용, 미디어 선거정보의 중요성 인식 및 미디어 역할에 대한 평가가 정치에 대한 부정적 감정과 정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언론과학연구, 제10권, 제3호, pp.157-190, 2010. 

  9. 양승목, "여론조사와 제3자 효과: 여론조사의 영향에 대한 국회의원의 제3자 지각을 중심으로," 언론과사회, 제18권, pp.6-28, 1997. 

  10. 양승찬, "사회시스템 성격을 고려한 침묵의 나선 이론 연구: 의견분위기 지각과 공개적인 의견표명과의 연계성을 중심으로," 언론과사회, 제20권, pp.72-116, 1998. 

  11. C. J. Glynn and J. M. McLeod, "Public Opinion Du Jour: An Examination of the Spiral of Silence," Public Opinion Quarterly, Vol.48, No.4, pp.731-740, 1984. 

  12. D. A. Scheufele and P. Moy, "Twenty-five Years of the Spiral of Silence: A Conceptual Review and Empirical Outlook," International Journal of Public Opinion Research, Vol.12, pp.3-28, 2000. 

  13. 양승찬, 이미나, 신지희, "미디어 이용과 TV 토론 이용의 효과 연구: 후보자 평가, 정치지식, 정치효능감과 여론 인식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제30권, 제2호, pp.41-71, 2018. 

  14. 김경모, "온라인 뉴스 확산과 여론 형성: '박경신 블로그 논란' 사례 분석," 언론과학연구, 제12권, 제4호, pp.35-72, 2012. 

  15. 김용희, "트위터에서 선거 여론 확산구조 예측: 10.26 서울시장 재보선을 중심으로," 정치커뮤니케이션연구, 제23권, pp.103-139, 2011. 

  16. 홍원식, "대통령 지지도와 언론의 관계를 통해 살펴본 여론의 순환적 형성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보, 제51권, 제6호, pp.33-61, 2007. 

  17. G. Meyer, "Diffusion Methodology: Time to Innovate?," Journal of Health Communication, Vol.9, pp.59-69, 2004. 

  18. H. D. Wu, R. L. Stevenson, H. Chen, and Z. N. Guner, "The Conditional Impact of Recession News: A Time-series Analysis of Economic Communication in the United States, 1987-1996," International Journal of Public Opinion Research, Vol.14, pp.19-36, 2002. 

  19. E. Rogers, "Reflections on News Event Diffusion Research," Journalism & Mass Communication Quarterly, Vol.77, pp.561-576, 2000. 

  20. 홍성철, "문화적 차이에 따른 침묵의 나선 효과 검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20권, 제3호, pp.286-297, 2020. 

  21. M. Clemente and T. J. Roulet, "Public Opinion as a Source of Deinstitutionalization: a "Spiral of Silence" Approach,"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40, No.1, pp.96-114, 2015. 

  22. 양승찬, 여론과 미디어, 서울: 한국언론진흥재단, 2010. 

  23. D. R. Kiewiet, Macroeconomics and Micropolitics: The Electoral Effects of Economic Issues, Chicago :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3. 

  24. S. Rothenberg, "Election Forecasting and Public Opinion," Political Science & Politics, Vol.47, No.2, pp.336-338, 2014. 

  25. H. Mendelsohn, and I. Crespi, Polls, Television, and the New Politics, Scranton, PA: Chandler Publishing Company, 1970. 

  26. S. Ansolabehere and S. Iyengar, "Of Horseshoes and Horse Races: Experimental Studies of the Impact of Poll Results on Electoral Behavior," Political Communication, Vol.11, No.4, pp.413-430, 1994. 

  27. S. Hardmeier, "The Effects of Published Polls on Citizens," The SAGE Handbook of Public Opinion Research, pp.504-513, 2008. 

  28. 윤형석, "선거 여론조사 결과 공표금지 조항의 위헌성 및 입법적 대안," 언론과법, 제18권, 제3호, pp.81-108, 2019. 

  29. 정일권, 김영석, "온라인 여론조사에 대한 수용자의 평가와 영향력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학보, 제23권, 제3호, pp.247-285, 2009. 

  30. D. P. Cushman and S. S. King, National and Organizational Cultures in Conflict Resolution: Japan, the United States, and Yugoslavia, In Gudykkunst W. B., L., Stewart and S. Ting-Toomey (Eds.), Culture, and Organizational Processes: Conflict, Negotiation and Decision-Making, Beverly Hills, CA: Sage, pp.114-133, 1985. 

  31. F. L. K. Hsu, The Self in Cross-cultural Perspective, In Marsella, A., G. DeVos and F. L. K. Hsu (Eds.), Culture and Self: Asian and Western Perspectives, Tavistock; New York, pp.24-55, 1985. 

  32. C. H. Hui and H. C. Triandis, "Individualism-collectivism: A Study of Cross-cultural Researchers," Journal of Cross-cultural Psychology, Vol.17, No.2, pp.225-248, 1986. 

  33. Y. Ito, New Directions in Communication Research from a Japanese Perspective, In P. Gaunt (Eds.), Beyond Agendas: New Directions in Communication Research Westport, CT: Greenwood Press, pp.119-135, 1993. 

  34. P. Trubinsky, S. Ting-Toomey, and S. Lin, "The Influence of Individualism, Collectivism and Self-monitoring on Conflict Styles,"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cultural Relations, Vol.15, No.1, pp.65-84, 1991. 

  35. M. Duncan, A. Pelled, D. Wise, S. Ghosh, Y. Shan, M. Zheng, and D. McLeod, "Staying Silent and Speaking Out in Online Comment Sections: The Influence of Spiral of Silence and Corrective Action in Reaction to News," Computers in Human Behavior, Vol.102, pp.192-205, 2020. 

  36. 문광수, 김슬, 오세진, "베스트 댓글의 방향성이 일반댓글의 동조효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12호, pp.201-211, 2013. 

  37. 문정현, 정성은, "선거 여론조사 결과 보도의 실제 영향과 지각된 영향의 차이," 한국언론학보, 제62권, 제3호, pp.7-36, 2018.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