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구급대원의 헬멧 무게에 따른 들것 들고 내릴때 근활성도에 미치는 융합 요인분석
The effects of muscle activity of ambulance workers carrying a patient on a stretcher with or without helmets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0 no.1, 2019년, pp.371 - 380  

신동민 (한국교통대학교 응급구조학과) ,  조병준 (강원대학교 응급구조학과) ,  김경용 (양평소방서)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구급대원 12명이 참여하여 나누어 근전도를 측정하였다. 헬멧을 착용하지 않는 경우, 920g 헬멧을 착용한 경우, 1310g 헬멧을 착용한 경우로 나누어 근전도를 측정하였다. 머리와 목의 좌우 움직임에서는 반대쪽(흉쇄 유돌근)는 근 활성도가 높았고, 굴곡과 과신전(흉쇄유돌근, 판상근)시 근 활성도는 유의성이 없었다. 특히 긴척추고정판에 무게를 싣고 들어올리거나 내릴때의 세모근과 척추 기립근은 헬멧 유무에 따라 근전도 활성에 다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급대원들이 긴척추고정판을 이용하여 환자를 들어올리거나 내릴때는 머리와 목의 각도를 좌우로만 움직이지 않는다면 새로 개발한 스마트 헬멧은 대원들의 목 주위의 근육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고 사료 된다. 척추기립근이나 세모긍의 경우는 각도가 커짐에 따라 허리와 등근육은 동작을 좌우하는 근육에서 근전도 활성이 높게 나타났다고 사료된다. 그렇지만 기존의 파워리프팅(들어올리는 동작)동작에서 허리를 가능한 꼿꼿히 세우는 규칙을 지킨다면 요추 주위의 근육 및 골격계 질병에 대한 대처를 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lectromygram was measured in three different cases; not wearing of a helmet, wearing of a 920g helmet, and wearing of a 1310g helmet, and it was revealed that there was a high level of muscle activities on the opposite side (sternocleidomastoid muscle) while the head and the neck were moving right ...

주제어

표/그림 (11)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구급대원들의 기존 헬멧과 스마트헬멧의 두가지 무게와 헬멧이 없을 경우 환자를 긴척추 고정판에 올려놓고 들어올리는 동작에 따른 근활성도 차이를 규명하고, 새로 제시하는 스마트 헬멧 무게가 신체 근골격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자 한다.
  • 이 헬멧의 목표는 크게 세 가지로 구분되며, 각각은 재난 상황에서 요구조자 및 구조대원의 위치 및 상태파악이 가능한 센서 융합기술 개발, 통신 및 디스플레이 개발, 현장 편리성 기술개발을 하나로 통합한 스마트 센서융합 소방헬멧 개발을 목표로하는 스마트 헬멧을 개발 하는 것이다. 무게는 1310g으로 구조, 구급대원들이 지상에서 환자 찾고 치료하는데 있으며 환자 정보와 본인의 정보를 현장본부에 전송하는 목적으로 개발하였다.
  • 신속하게 착용 및 사이즈 조절 가능하며,3방향에서 끈을 조절할 수 있어 안정성과 완벽한 고정력 있으며, 제조사는 한국/(주)산청 이다. 이 헬멧의 목표는 크게 세 가지로 구분되며, 각각은 재난 상황에서 요구조자 및 구조대원의 위치 및 상태파악이 가능한 센서 융합기술 개발, 통신 및 디스플레이 개발, 현장 편리성 기술개발을 하나로 통합한 스마트 센서융합 소방헬멧 개발을 목표로하는 스마트 헬멧을 개발 하는 것이다. 무게는 1310g으로 구조, 구급대원들이 지상에서 환자 찾고 치료하는데 있으며 환자 정보와 본인의 정보를 현장본부에 전송하는 목적으로 개발하였다.
  • 이 연구는 소방현장에서 소방관들이 상황실 및 총괄팀으로부터 실외 정보에 대한 대략적인 자료를 제공받는데 한계가 있어 현장 업무와 사고 반응에 다양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최근 소형화 경량화, 신뢰성 확보가 가능한 스마트 디바이스 분야의 요소기술과 ICT 플랫폼 기술을 이용하여 현장 소방관들에게 현장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고, 사고현장 정보를 총괄팀에 실시간 제공이 가능해짐에 따라 대량재난 및 사고현장의 고열, 방수 등의 환경을 부합하면서도 기존장비와 융합되는 형태에 모듈형 웨어러블 플랫폼 개발의 요구사항을 만족하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 새로운 헬멧을 개발 하였다. 소방관이 착용하는 보호장구류는 약 20kg에 무게의 가 중화를 시키는 반면 헬멧은 1.
  • 본 연구는 구급대원들의 기존 헬멧(920g)과 스마트 헬멧(1310g)의 두가지 무게와 헬멧이 없으때의 8가지 근육의 근활성도를 측정 하였다. 특히 환자를 긴척추고정판에 올려놓고 들어올리는 동작에 따른 근활성도 차이를 규명하고, 새로 제시하는 스마트 헬멧 무게와 기존 헬멧의 무게 차이에 따른 8개의 근육 활성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자 한다.

가설 설정

  • 연구의 대상자가 12명으로 한정하였기 때문에 일반화하기에는 한계가 있으며, 둘째. 실제 상황이 아닌 실험상황을 가정했다는 것, 셋째. 근활성도를 한정했다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구 조헬멧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 진압헬멧은 화재진압·구급·화재조사시 소방관이 착용하는 형태고 구 조헬멧은 화재진압·구조 등 모든 현장에서 사용가능한 Type 1형태의 헬멧과 화재교육 및 화재가 동시에 발생되지 않는 일반구조업무현장에서 이용 가능한 Type 2형태가 있다[4].
소방공무원에게 헬멧의 역할은 무엇인가? 재난과 소방 용역 사업에는 큰 비용이 들어 가고 있으며, 스마트 헬멧에 관한 용역사업도 진행되고 있다[2]. 헬멧은 머리부분을 물건의 충돌로부터 충격, 높은 건물에서 넘어질 경우로부터 발생하는 충격, 화재사고 등,다양한 오염물질 등으로부터 방어해준다[3].
응급구조사의 목, 어깨 등 근골격계 증상에 주목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매 순간 작업 시 헬멧을 사용해야하는 응급구조사에게 목, 어깨 등 근골격계 증상도 대두되고 있다. 구조 및 구급대원의 헬멧의 무게는 약 500g - 1200g 정도로 다양하지만 목, 어깨 주위의 소근육으로 머리뿐만 아니라 헬멧을 지탱하기에는 적지 않은 무리가 따르게 된다. 또한 응급구조사 특성상 헬멧을 착용한 뒤 정적인 동작보다는 구보, 들어 나르기 등 동적인 동작이 많이 요구되기 때문에 헬멧의 무게보다 더 큰 부하가 발생하게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Y. J. Ahn, MC, Kang, TG Lee,(2016). "Study on Remedies of Convergence Design for Personalized Fire Helmets", J. Korean Soc. Precis. Eng. 33, 5, 371-376. DOI10.7736/KSPE.2016.33.5.371 

  2. S. H. Cho(2008), "A Study on the Optimized Design of the Helmets for Fire and Gas Safety,"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Gas, Vol. 12, No. 3, 1-3. 

  3. Y. T. Han, JH Jung, MJ Park,(2017). Trend analysis on the development of rescue helmets for fire-fighters.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 conference. 11, 237-238. 

  4. P. G. Park, R Kim, HS Ro, BS Yoon(2018). A Study on Impact Analysis of Smart Structural Helmet for Firefighters. Korean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5, 2. 111-117. 

  5. KFIS 043, "The Standard of Firefighting Rescue Helmet", 2014. 

  6. H. K. Kim, J. H. Sim, C. K. Kim(2008). "A Study on the Strength Analysis of the Helmets for Fire and Gas Safety", J. of the Korean Insti. of Gas, 12, 3, 31-37. 

  7. J. H. Weon, J. S. Oh, and H. S. Cynn HS(2010). "Influence of forward head posture on scapular upward rotators during isometric shoulder flexion", Jour. of Body Mov Ther, 14, 367-374. DOI10.1016/j.jbmt.2009.06.006 

  8. D. M. Shin and I. S. Lee(2006). "Dynamic Model during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Lifting Postures", Kor. Soci. of sport and leisure studies, 27, 203-214. 

  9. D. M. Shin, E. J. Hong, K. Y. Kim, J. H. Kim and T. Y. Moon(2013). "Musculoskeletal Diseases in 119 Rescuers", Jour. of Digi. Policy & Management, 11, 9, 209-219. 

  10. S. H. Hwang(2017). "Design and Evaluation of Intelligent Helmet Display System".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and Space Sciences, 45, 5, 417-428. 

  11. K. S. Lee and H. J. Ji(2012). "A Study of Overexertion of Neck and Arm Muscles when Working on Objects Overhead at Orchards", Proceeding of Ergo. Soci. of Korea, 67-76. 

  12. K. S. Lee and J. W. Park(2012). "A Study of Loadings of Neck Muscles when Bent Backward", Kor. Soci. of Safety, 27, .1, 111-116. 

  13. J. Kim, Koo SE, Lim JY, Jin MW, Choi JM,(2016). "Smart Helmet,"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Society, 5 357-358. 

  14. H. S. Kang, T. G. Lee, Y.J. Ahn(2016). "Necessary and Application Plan of Wearable Device in an Emergency,"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5, 38-39. 

  15. M. O. Oh, Shin J. K., Kang M. C., Shin B. S., and Moon M. K.(2016).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for Developing Convergence Firefighter Helmets" J. of Korean Society of Manufacturing Process Engineers, 15. (6). 114-119. 

  16. Y. J. Ahn, Lee T. G, Jeong YY, Son MA, Yu, BJ(2017). "A Study on the Design of Next-Generation Korean Bulletproof Helmet - Focusing on the Bulletproof helmet shell shape design". Journal of Video culture contents. 12, 1, 179-192. 

  17. KOSHA 2014-46, "Standard Safety Certification of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2014. 

  18. EN 443, "Helmets for Fire Fighting in Buildings and Ohter Structures", 2008. 

  19. NFPA standard 1971-2013, National Fire Protection Association, 201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