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체중 변화가 인지기능 저하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Weight Change on Decline of Cognitive Function Among Korean Adults 원문보기

한국임상약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linical pharmacy, v.29 no.4, 2019년, pp.238 - 246  

김승연 (서울대학교 약학대학) ,  신상윤 (서울대학교 약학대학) ,  유혜진 (서울대학교 약학대학) ,  박기혜 (서울대학교 약학대학) ,  이지영 (서울특별시 보라매병원 신경과) ,  이정상 (서울특별시 보라매병원 흉부외과) ,  김은경 (서울대학교 약학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In South Korea, as an aged society, an understanding of dementia and its risk factors is important from clinical and healthcare policy perspectives.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impairment and body weight or weight changes have been reported, but these were contradictory. We have eval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특히, 체중의 변화, 예를 들면 체중의 증가 또는 감소가 인지기능의 저하에 영향을 준다는 결과가 발표되면서15) 특정 시점에 환자가 갖고있는 체중, BMI 및 비만 상태보다 시간에 따른 체중의 변화에 초점을 둔 연구가 최근 들어 많이 실시되고 있다.16-17)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 국민을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를 활용하여 정상 및 경도의 인지기능 저하 상태의 중년기 및 노년기 인구에서 체중 변화와 인지기능과의 상관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45세 이상의 중년 및 노인 인구를 대상으로 체중 변화와 인지기능 저하 간 상관성을 국가차원의 데이터인 KLoSA를 활용하여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 과도한 체중 변화는 인지기능 저하의 위험과 유의한 상관성이 있음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K-MMSE 점수는 피험자의 연령, 성별, 학력 등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18) 위와 같은 다양한 영향 인자들을 함께 분석한 결과, 연령, 성별, 학력 수준, 거주지역, 우울증, 당뇨, 뇌혈관질환, 운동 유무 등 또한 인지기능 저하의 유의한 영향 인자로 평가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경도 인지기능 저하란? 치매 진행 전 단계로 간주되는 경도 인지기능 저하(mild cognitive impairments)는 기억력 및 기타 인지기능이 객관적인 검사를 통해 확연히 저하된 것이 확인 되었지만 일상생활 수행 능력은 보존되어 있는 상태를 일컫는다.5) 매년 10~15% 의 경도 인지기능 장애 환자가 치매로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며, 치매와 마찬가지로 진단 받은 후 인지기능 회복을 위한 치료법이 없는 상황이다.
우리나라에서 치매 환자가 추후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는 이유는?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의 발표에 따르면 전 세계 인구 중 4천 700만명 이상이 치매 환자이며, 매 해 9백 9십만명의 치매 환자가 늘어나 2050년에는 치매환자 숫자가 약 1억 3천 5백만명으로 늘어날 것으로 보고된다.1) 우리나라는 고령인구의 급속한 증가로 2017년에 “고령사회”로 진입하였고 2025년에는 65세 이상의 비율이 20%를 초과할 것으로 보고되며,2) 노인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노인에게 발생할 수 있는 대표적 질환인 인지기능 저하 및 치매 또한 함께 늘어날 것으로 예측된다. 국내 치매 유병률은 2016년 기준 10.
경도 인지기능 장애 환자가 치매로 전향되는 비율은 어떠한가? 치매 진행 전 단계로 간주되는 경도 인지기능 저하(mild cognitive impairments)는 기억력 및 기타 인지기능이 객관적인 검사를 통해 확연히 저하된 것이 확인 되었지만 일상생활 수행 능력은 보존되어 있는 상태를 일컫는다.5) 매년 10~15% 의 경도 인지기능 장애 환자가 치매로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며, 치매와 마찬가지로 진단 받은 후 인지기능 회복을 위한 치료법이 없는 상황이다. 따라서 치매로 진행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관련 위험 요인을 사전에 조절하여 인지기능의 손상을 예방하고 진행 속도를 늦추는 것이 중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World Health Organization. Global action plan on the public health response to dementia 2017-2025. Available from https://apps.who.int/iris/bitstream/handle/10665/259615/9789241513487-eng.pdf. Accessed October 18, 2019. 

  2. Ministry of Statistics of Republic of Korea. 2018 Statistics on the Aged. Availabe from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1/1/index.board?bmoderead&aSeq370779. Accessed October 18, 2019. 

  3. National Institute of Dementia. 2016 National Institute of Dementia Annual Report. Available from https://www.nid.or.kr/notification/notice_view.aspx?board_seq1299. Accessed September 18, 2019. 

  4. National institue of dementia. Global trends of dementia policy 2017. Available from https://www.nid.or.kr/info/dataroom_view.aspx?bid170. Accessed September 18, 2019. 

  5. Sanford AM. Mild Cognitive Impairment. Clin Geriatr Med 2017;33(3):325-37. 

  6. Eshkoor SA, Hamid TA, Mun CY, et al. 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its management in older people. Clin Interv Aging 2015;10:687-93. 

  7. Langa KM and Levine DA. The diagnosis and management of mild cognitive impairment: a clinical review. JAMA 2014;312(23):2551-61. 

  8. Pedditizi E, Peters R, Beckett N. The risk of overweight/obesity in mid-life and late life for the development of dementia: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longitudinal studies. Age Ageing 2016;45(1):14-21. 

  9. Llewellyn D. Alzheimer's Society. Risk factors and prevention. Available from https://www.alzheimers.org.uk/about-dementia/riskfactors-and-prevention. Accessed September 18, 2019 

  10. Kim S, Kim Y, Park SM. Body mass index and decline of cognitive function. PloS One 2016;11(2):e0148908. 

  11. Forny-Germano L, De Felice FG, Vieira M. The role of leptin and adiponectin in obesity-associated cognitive decline and Alzheimer's disease. Front Neurosci 2018;12:1027. 

  12. Nourhashemi F, Deschamps V, Larrieu S, Letenneur L, Dartigues JF, Barberger-Gateau P. Body mass index and incidence of dementia: the PAQUID study. Neurology 2003;60(1):117-9. 

  13. Fitzpatrick AL, Kuller LH, Lopez OL, et al. Midlife and late-life obesity and the risk of dementia: cardiovascular health study. Arch Neurol 2009;66(3):336-42. 

  14. Qizilbash N, Gregson J, Johnson ME, et al. BMI and risk of dementia in two million people over two decades: a retrospective cohort study. Lancet Diabetes Endocrinol 2015;3(6):431-6. 

  15. Buchman AS, Wilson RS, Bienias JL, Shah RC, Evans DA, Bennett DA. Change in body mass index and risk of incident Alzheimer disease. Neurology 2005;65(6):892-7. 

  16. Nam GE, Park YG, Han K, et al. BMI, weight change, and dementia risk in patients with new-onset type 2 diabetes: a nationwide cohort study. Diabetes Care 2019; 42(7):1217-24. 

  17. Park S, Jeon SM, Jung SY, Hwang J, Kwon JW. Effect of late-life weight change on dementia incidence: a 10-year cohort study using claim data in Korea. BMJ open 2019;9(5):e021739. 

  18. Escobar JI, Burnam A, Karno M, Forsythe A, Landsverk J, Golding JM. Use of th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MMSE) in a community population of mixed ethnicity. Cultural and linguistic artifacts. J Nerv Ment Dis 1986;174(10):607-14. 

  19. Atti AR, Palmer K, Volpato S, Winblad B, De Ronchi D, Fratiglioni L. Late-life body mass index and dementia incidence: nine-year follow-up data from the Kungsholmen Project. J Am Geriatr Soc 2008;56(1):111-6. 

  20. Pischon T, Boeing H, Hoffmann, K, et al. General and abdominal adiposity and risk of death in Europe. N Engl J Med 2008;359(20):2105-20. 

  21. Nguyen JCD, Killcross AS, Jenkins TA. Obesity and cognitive decline: role of inflammation and vascular changes. Front Neurosci 2014;8:375. 

  22. Greenwood CE, Winocur G. High-fat diets, insulin resistance and declining cognitive function. Neurobiol Aging 2005;26(Suppl 1):42-5. 

  23. Lathe R. Hormones and the hippocampus. J Endocrinol 2001;169(2):205-31. 

  24. Willette AA, Bendlin BB, Starks EJ, et al. Association of insulin resistance with cerebral glucose uptake in late middle-aged adults at risk for alzheimer disease. JAMA Neurol 2015; 72(9):1013-20. 

  25. Liu Y, Palanivel R, Rai E, et al. Adiponectin stimulates autophagy and reduces oxidative stress to enhance insulin sensitivity during high-fat diet feeding in mice. Diabetes 2015;64(1):36-48. 

  26. Fadel JR, Jolivalt CG, Reagan LP. Food for thought: the role of appetitive peptides in age-related cognitive decline. Ageing research reviews 2013;12(3):764-76. 

  27. Noh HM, Han J, Kim YJ, Jung JH, Roh YK, Song HJ. Sex differenc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impairment and overweight or obesity in late life: A 3-year prospective study. Medicine 2019;98(9):e14736. 

  28. Karastergiou K, Smith SR, Greenberg AS, Fried SK. Sex differences in human adipose tissues - the biology of pear shape. Biol Sex Differ 2012;3(1):13. 

  29. Galea LA, Wainwright SR, Roes MM, Duarte-Guterman P, Chow C, Hamson DK. Sex, hormones and neurogenesis in the hippocampus: Hormonal modulation of neurogenesis and potential functional implications. J Neuroendocrinol 2013;25(11):1039-61. 

  30. Gustafson D. Adiposity indices and dementia. Lancet. Neurol 2006;5(8):713-20. 

  31. Gaddey HL and Holder K. Unintentional weight loss in older adults. Am Fam Physician 2014;89(9):718-22. 

  32. Soysal P, Isik AT, Stubbs B, et al. Acetylcholinesterase inhibitors are associated with weight loss in older people with dementia: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J Neurol Neurosur Ps 2016;87(12):1368-74. 

  33. Alibhai SM, Greenwood C, Payette H. An approach to the management of unintentional weight loss in elderly people. Can Med Assoc J 2005;172(6):773-80. 

  34. Garcia-Ptacek S, Kareholt I, Farahmand B, Cuadrado ML, Religa D, Eriksdotter M. Body-mass index and mortality in incident dementia: a cohort study on 11,398 patients from SveDem, the Swedish Dementia Registry. J Am Med Dir Assoc 2014;15(6):447.e1-447.e7. 

  35. Devenney E and Hodges JR. Th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pitfalls and limitations. Pract Neurol 2017;17(1):79-80. 

  36. Spencer RJ, Wendell CR, Giggey PP, et al. Psychometric limitations of th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among nondemented older adults: an Evaluation of neurocognitive and magnetic resonance imaging correlates. Exp Aging Res 2013;39(4):382-97. 

  37. Franco-Marina F, Garcia-Gonzalez JJ, Wagner-Echeagaray F, et al. Th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revisited: ceiling and floor effects after score adjustment for educational level in an aging Mexican population. Int Psychogeriatr 2010;22(1):72-8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