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고등학생들의 인구사회경제적 특성, 건강관련행위 및 주관적 건강인지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Influencing factors to Academic Achievement according to Demographic and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Health Behaviors and Health Status in Korean Adolescents 원문보기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School & Community Health Education, v.20 no.3, 2019년, pp.1 - 13  

윤병준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보건환경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demographic and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health behaviors and health status are related to academic achievement in Korean adolescents. Methods: Data from the 14th Korea Youth Risk Behaviors web-based Survey(KYRBWS) administered in 2...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중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인구사회경제적 특성, 건강관련행위 및 주관적 건강인지, 스트레스, 좌절감 경험 등의 건강상태와 학업성취도와의 관련성을 파악하고,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는 중고등학생들의 학업성취도 제고 및 건강증진 프로그램 개발에 유용한 정책적 기초자료로 활용되어질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학업성취도란? 따라서 학교교육의 가장 중요한 부분 중의 하나는 학생의 학업성취도 향상이다(정제영 등, 2009). 학업성취도는 학교교육을 통해서 학습한 지식, 기능,지적능력, 태도, 가치관 등 학교에서 학습한 결과를 총칭하는 개념이다(양애경과 조호제, 2010). 본 연구에서는 학업성적을 보다 포괄적인 개념인 학업성취도로 나타내었다.
호기심이 많은 청소년기에는 건강을 위협할수 있는 흡연, 음주, 약물사용 등과 같은 건강위험행위에 빠져 들기도 하는 이유는? 2003; Telama et al., 2005) 한편 청소년기는 급격한 신체적 성장과 더불어 정서적, 사회적 민감도가 높으며 자아정체성이 완전히 확립되지 않아 주변 환경에 쉽게 영향을 받게 된다.따라서 호기심이 많은 청소년기에는 건강을 위협할수 있는 흡연, 음주, 약물사용 등과 같은 건강위험행위에 빠져 들기도 한다.
우리나라 중고등학생들의 인구사회경제적 특성,건강관련행위, 주관적 건강인지와 학업성취도와의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인구사회경제적 특성 중에서 관련성이 있는 특성들은? 우리나라 중고등학생들의 인구사회경제적 특성,건강관련행위, 주관적 건강인지와 학업성취도와의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인구사회경제적 특성 중에서 가구의 경제상태, 부모의 교육수준, 부모와의 동거, 거주지역이 학업성취도와 관련성이 있었다. 그리고건강관련행위 중에서는 주관적 건강인지, 흡연, 음주, 아침식사, 격렬한 신체활동, 수면, 인터넷 사용,스트레스 인지, 슬픔 및 절망감이 학업성취도와 유의한 관련성이 있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고영우. (2014). 체질량지수(BMI)와 학업성취도간의 관계. 보건경제와 정책연구, 26(4), 1-26. 

  2. 구인희. (2003). 가족배경이 청소년의 교육성취에 미치는 영향-가족구조와 가족소득, 빈곤의 영향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22, 5-32. 

  3. 권현진. (2012). 한국 청소년들의 신체활동과 주관적 건강인지의 연관성. 한국체육학회지, 51(5), 253-261. 

  4. 김광혁. (2010). 아동청소년의 학업성취도에 대한 가족소득의 수준별 영향의 차이. 아동 발달 단계별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연구, 21(2), 35-65. 

  5. 김상미, 정익중, 임보람. (2011). 청소년의 인터넷 사용유형이 학업부적응과 학업성적을 매개로 우울과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성별차이를 중심으로. 학교사회복지, 20, 175-195. 

  6. 김혜경, 김진희. (2011). 일부 저체중과 과체중 청소년의 생활습관, 학업성취도 및 간식섭취 행동의 비교. 한국영양학회지, 44(2), 131-139. 

  7. 대한비만학회. 비만진료지침, 2019. http://www.kosso.or.kr/main.html 

  8. 배호중, 유비. (2015). 중학생의 비만과 학교생활, 학교적응도 및 학업성취도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연구, 26(1). 79-109. 

  9. 양애경, 조호제. (2010). 자기주도적 학습과 학업성취도간의 관계. 한국교육논단, 8(3), 61-82. 

  10. 양혜경, 김진영. (2014). 학생 비만도 결정요인과 비만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응용 경제, 16(1), 35-63. 

  11. 이은아. (2010.12). 고등학생에 대한 학업성취도의 의미. 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회 논문집. 917-930. 

  12. 이중섭, 이용교. (2009). 부모의 교육수준이 자녀의 학업성취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 한국가족복지학, 26, 159-192. 

  13. 이희정. (2010).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우울, 충동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 문화포럼, 23, 143-171. 

  14. 전명순, 김태균. (2014). 청소년 활동이 학교생활적응, 학습습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문화포럼, 38, 72-90. 

  15. 정제영, 신인수. 이희숙. (2009). 학업성취도에 기반한 교육의 책무성 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교육연구, 26(1), 241-260. 

  16. 조윤경, 김영석. (2009). 청소년의 TV.인터넷이용이 학업 성적에 미치는 영향. 언론정보 연구, 45(1), 67-96. 

  17. 질병관리본부. 청소년건강행태조사, 2018. http://www.cdc.go.kr/yhs/home.jsp 

  18. 최경원. (2014). 청소년의 주관적 건강인식 관련요인: 한국 청소년 패널자료 활용.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31(3), 39-50. 

  19. 최영, 임수경. (2009). 지역사회 사회경제적 특성이 청소년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22, 227-250. 

  20. 한국인터넷진흥원. 2018. 인터넷 이용 실태조사. 통계표 2017. 서울: 한국인터넷진흥원. 

  21. Brooks-Gunn J, Duncan GJ, Klebanov PK. et al. (1993). Neighborhoods influence child and adolescent development. The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99(2), 353-361. 

  22. Bradley RH, Corwyn RF. (2002). Socio -economic status and child development. Annual Review of Psychology, 53, 371-544. 

  23. Kvaavik E, Tell GS, Klepp KI. (2003). Predictors and tracking of body mass index from adolescence into adulthood: follow-up of 18 to 20 years in the Oslo Youth Study. Arch Pediatr Adolesc Med, 157(12), 1212-1218. 

  24. Lars Lien. (2007). Is breakfast consumption related to mental distress and academic performance in adolescents? Public Health Nutrition, 10(4), 422-428. 

  25. Lollgen H, Bockenhoff A, Knapp G. (2009). Physical activity and all-cause mortality: an updated meta-analysis with different intensity categories. International Journal of Sports Medicine, 30(3), 213-224. 

  26. Lundberg O, Manderbacka K. (1996). Assessing reliability of a measure of selfrated health. Scandinavian Journal of Social Medicine, 24(3), 218-224. 

  27. Oh JW, Kwon HJ. (2012. 5). Physical activity and its association with academic performance in Korean adolescents. the 59th Annual meeting ACSM. San Francisco, USA. 

  28. Park IJ, Park YW. (2009). Survey on intake of snaks and self-purchased snacks due to lack of sleep in high school students in Gwangju. Korean J Food Cult, 24(3), 256-266. 

  29. Seo DI, So WY. (2014). Sleep duration and school performance in Korean adolescents. Salud Mental 2014, 37(5), 407-414. 

  30. So WY. (2012). Association between physical activity and academic performance in Korean adolescent students. BMC Public Health, 12, 258-264. 

  31. So WY. (2014). Association between cigarette consump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in Korean adolescents. Addiction Research & Theory, 22(5), 424-430. 

  32. Sung DJ, So WY, Jung TK. (2016). Association between alcohol consump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A crosssectional study. Cent Eur J Public Health, 24(1), 45-51. 

  33. Synder-Halpern AR, Varran JA. (1987). Instrumentation to describe subjective sleep characteristics in healthy subject. Res Nurs Health, 10(2), 155-163. 

  34. Telama R, Yang X, Viikari J. et al. (2005). Physical activity from childhood to adulthood a 21st-year tracking study. Americ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28(3), 267-27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