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청소년의 건강행위와 과체중 및 비만과의 관련성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Behaviors and Overweight and Obesity in Korean Adolescents 원문보기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School & Community Health Education, v.22 no.3, 2021년, pp.1 - 15  

윤병준 (한국방송통신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demographic and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health behaviors are related overweight and obesity in Korean adolescents. Methods: Data from the 15th Korea Youth Risk Behaviors web-based Survey(KYRBWS) administered in 2019 were analyzed: ...

주제어

참고문헌 (44)

  1. 계승희. (2019). 한국 청소년의 아침결식과 체질량지수 및 건강관련 요인: 2018년 청소년건강행태조사 자료분석. 학습자 중심 교과교육연구, 19(15), 1263-1281. 

  2. 구혜자. (2019). 한국 청소년의 인지된 스트레스가 비만에 미치는 영향: 제13차(2017년) 청소년 건강행태온라인조사 활용.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36(1), 29-41. 

  3. 권정대 외 7명. (2010). 청소년에서 흡연과 비만의 관련성. 대한가정의학회지, 31, 369-376. 

  4. 김관옥, 전윤희, 김윤신. (2014). 한국 청소년의 정신건강이 비만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융복합학회지, 12(10), 467-476. 

  5. 김아영, 김진희, 계승희. (2018). 한국 청소년의 가당음료 섭취실태 및 영향요인: 2017년 청소년 건강행태 온라인조사 이용. 한국영양학회지, 51(5), 465-479. 

  6. 김혜경, 김진희. (2011). 일부 저체중과 과체중 청소년의 생활습관, 학업성취도 및 간식섭취 행동의 비교. 한국영양학회지, 44(2), 131-139. 

  7. 김혜신, 장준환, 이근미, 정승필, 금신호. (2015). 한국 청소년에서 실제 비만도 및 주관적인 체형인식과 정신건강 문제와의 관련성.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 15(3), 129-135. 

  8. 대한가정의학회 (2004). 한국인의 건강증진. 서울: 계축문화사. 

  9. 박민희, 송혜영. (2019). 청소년의 건강행태 및 스마트폰 사용 특성과 비만과의 관련성. 한국보건간호학회지, 33(1), 47-58. 

  10. 박은식. (2019). 청소년 비만율 조사결과의 차이 및 원인에 관한 고찰. 한국 데이터정보과학회지, 30(6), 1319-1328. 

  11. 박혜숙, 주현옥, 이화자. (2000). 비만 청소년의 성별에 따른 식생활 태도, 식습관 및 우울감에 관한 연구. 아동간호학회지, 6(1), 18-31. 

  12.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대한소아과학회. (2017). 2017 소아청소년 성장도표 이용 지침서. 

  13. 서정완. (2009). 소아.청소년 비만. 대한소아과학회지, 52(12), 1311-1320. 

  14. 양혜경, 김진영. (2014). 학생 비만도 결정요인과 비만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응용경제, 16(1), 35-64. 

  15. 오상우. (2009). 음주가 비만 및 대사증후군에 미치는 영향. 대한비만학회지, 18(1), 1-7. 

  16. 이재연 외 5명. (2019). 도시와 농촌 청소년의 비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2013 청소년 건강행태조사 결과를 중심으로. 한국보건간호학회지, 33(1), 73-84. 

  17. 임여진, 오원옥, 석민현. (2017). 청소년의 비만도에 따른 건강행태. 아동간호학회지, 23(1), 1-9. 

  18. 장진영 외 6명. (2018). 가정의 사회경제적 수준에 따른 한국 청소년의 체중상태 분포: 청소년 건강행태온라인조사 2016. 대한임상건강증진학지, 18(1), 23-31. 

  19. 정명희, 이지선, 정혜선. (2016). 우리나라 청소년의 비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한국학교보건학회지, 29(1), 11-21. 

  20. 정영호, 고숙자, 임희진. (2010). 청소년 비만의 사회경제적 비용. 보건사회연구, 30(1), 195-219. 

  21. 조정민, (2014). 한국 청소년의 비만과 식습관 환경요인 변화 추이 분석. 한국생활환경학회지, 21(1), 97-107. 

  22. 지영주, 김영해. (2013). 청소년의 비만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2011년 청소년 건강행태온라인조사를 중심으로. 대한비만학회지, 22(1), 39-49. 

  23. 질병관리본부. (2019). 제15차(2019년) 청소년 건강행태조사 통계. 청주: 질병관리본부. 

  24. 한영실, 주나미. (2005). 청소년 비만에 미치는 요인분석. 한국식문화학회지, 20(2), 172-185. 

  25. 황인철 외 6명. (2011). 한국 청소년에서 자가비만 인식도와 정신건강과의 관련성. 소아청소년정신의학, 22(2), 112-119. 

  26. Barlow SE. (2007). Expert committee recommendations regarding the prevention assessment and treatment of child and adolescent overweight and obesity: summary report. pediatrics, 120(S4), 64-92. 

  27. Boutelle K, Neumark-Sztainer D, Story M, Resnick M. (2002). Weight control behaviors among obese, overweight and non overweight adolescents. Journal of Pediatric Psychology, 27, 531-540. 

  28. Buddeburg-Fisher B, Klaghofer R, Reed V. (1999). Association between body weight, Psychiatric disorders and body image in female adolescents. Psychotherapy and Psychosomatics, 68, 325-332. 

  29. Cowely MA, Brown WA, Considine RV. (2016). Endocrinology: Adult and Pediatric. Obesity. The problem and its management. Amsterdam: Elsevier. 

  30. Edwardson CL, Gorely T, Davies MJ, Gray MJ, Khunti K, Wilmot EG, Yates T, Biddle SJ. (2012). Association of secondary behaviour with metabolic syndrome: A meta-analysis. PLos one, 7(4), 1-5. 

  31. Felts WM, Parillo AV, Chenier T, Dunn P. (1996). Adolescent's perceptions of relative weight and self-reported weight-loss activities: Analysis of 1990 YRBS National Data. Journal of Adolescent Health, 18, 20-26. 

  32. Hancox RJ, Milne BJ, Poulton R. (2004). Association between child and adolescent television viewing and adult health: a longitudinal birth cohort study. Journal of Lancet, 364, 257-262. 

  33. Hanson MD, Chen E. (2007). Socioeconomic status and health behaviors in adolescence: a review of the literature. Journal of Behavioral Medicine, 30(3), 263-285. 

  34. Korean Pediatric Society, Korea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8) The 2017 Korean national growth charts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development, improvement, and prospects. Korean Journal of Pediatric, 61(5), 135-149. 

  35. Lars Lien. (2007). Is breakfast consumption related to mental distress and academic performance in adolescents? Public Health Nutrition, 10(4), 422-428. 

  36. Lowry R, Wechsler H, Galuska DA, Falton JE, Kann L. (2002). Television viewing and its associations with overweight, Sedentary lifestyle, and insufficient consump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among US high school students: differences by race, ethnicity, and gender. The Journal of School Health, 72(10), 413-421. 

  37. Perichart PO, Balas NM, Schiffman SE, Barbato DA, Vadillo OF. (2007). Obesity increases metabolic syndrome risk factors in school-aged children from an urban school in Mexico city. Journal of the American Dietetic Association, 107(1), 81-91. 

  38. Pesa JA, Syre TS, Jones E. (2000). Psychosocial differences associated with body weight among female adolescents: The importance of body image. Journal of Adolescent Health, 26, 330-337. 

  39. Sabia J. (2007). The effect of body weight on adolescent academic performance. Southern Economic Journal, 73(4), 871-900. 

  40. Taras H, Potts-Datema W. (2005). Obesity and student performance at school. Journal of School Health, (75)8, 291-295. 

  41. Theresa B and 7 others. (2019). Relation between sleep duration with overweight and academic stress-just a matter of the socioeconomic status? Sleep Health, 5(2), 208-215. 

  42. Wang Y, Lim H. (2012). The global childhood obesity epidemic and the association between socio-economic status and childhood obesity. International Review of Psychiatry, 24(3), 176-188. 

  43. WHO. (2021). Obesity and overweight. Retrieved from https://www.who.int/news-room/factsheets/detail/obesity-and-overweight 

  44. Zack PM, Harlan WR, Leaverton PE, Cornoni JC. (1979). A longitudinal study of body fatness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Journal of Pediatrics, 95, 126-13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