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폐암의 조기 암검진 여부에 미치는 요인: 폐암 검진 사업대상자를 중심으로
Factors Affecting Early Cancer Screening for Lung Cancer: Focusing on Lung Cancer Screening Subjects 원문보기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School & Community Health Education, v.20 no.3, 2019년, pp.53 - 65  

김석환 (서영대학교 파주캠퍼스 보건의료행정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cancer screening among subjects in the lung cancer screening cycle and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the cancer screening of subjects in the lung cancer screening cycle. Methods: This study used the 'National Health and Nu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 2015)이 대부분이 거나 대장암(임지혜와 김선영, 2011), 유방암(이미 화와 김상현, 2014), 일반암(임지혜, 2017) 등을 대 상으로 암검진 여부를 분석한 연구는 있었지만, 발 생률과 사망률이 심각해지는 폐암의 검진주기에 해 당하는 대상자들의 암검진 여부에 관한 연구는 미 비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이 연구는 최근 폐암의 검 진주기에 해당하는 대상자들의 암검진 여부 현황을 살펴보고, 폐암의 검진주기에 해당하는 대상자들의 암검진 여부에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여 이를 사회 적으로 예방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현재 국내에서 폐암에 대한 검진사업의 검진주기는 어떻게 되는가? 그 동안 위암, 간암, 대장암, 유방암, 자궁경부암 에 대해서만 국가 암검진사업을 실시해 왔지만, 드 디어 2019년 5월 14일부터는 폐암도 추가되어 만 54세에서 74세의 남녀 중, 폐암 발생 고위험군인 30갑년 이상의 흡연력을 가진 흡연자를 대상으로 2 년마다 폐암검진을 실시하게 되었다(국가암정보센 터, 2019; 암관리법 제11조).
국내 폐암환자 수의 추세는 어떠한가? 폐암환자는 2007년 15,614명이었으나 매년 약 1,000여 명씩 증가하여, 2016년 25,276명으로 10 년간 9,662명이 추가로 폐암 진단을 받았으며, 2017년에는 29,605명으로 1년 사이에 4,329명이 나 급증하였고(KOSIS, 2019), 폐암발생률은 모든 암발생률 중 11.2%로 4위를 차지하였다(국가암정 보센터, 2019). 암발생률 중 성별로는 남자가 2위 (17,790명,  14.
폐암에 미치는 위험요인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7%)에 비하여 낮은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국가 암정보센터, 2019). 폐암에 미치는 위험요인으로 흡연이 가장 중요한 발병 요인으로 알려져 있다(국가암정보센터, 2019). 폐암 발생의 약 70%가 흡연과 연관되어 있으며, 흡 연자는 비흡연자에 비해 폐암에 걸릴 위험이 10배 이상 증가한다. 흡연 외의 위험요인을 살펴보면, 간 접흡연, 석면에 지속적으로 노출되면 10~35년 정 도의 잠복기를 거쳐 폐암이 발병하는 것으로 알려 졌다. 방사선 동위원소 역시 폐암의 원인이 되는데, 최근 문제가 되었던 라돈이 대표적이다. 디젤 연소 물, 대기오염 먼지 중에는 중금속 등 발암 물질이 함유되어 있으며, 장기간 다량의 노출이 있는 경우 폐암 발생 위험을 증가시킨다. 미세먼지 역시 1급 발암물질로 폐암의 발생률을 높인다는 보고가 있다. 만성폐쇄성폐질환(COtfD)과 폐섬유화증 등 폐질환 을 가지고 있는 경우도 폐암의 발병과 연관되며, 폐 암 가족력이 있는 경우, 즉 유전적 요인도 폐암 발 생에 관여한다(국가암정보센터, 201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국가암정보센터. (2019). https://cancer.go.kr/ 

  2. 국립암센터. (2018). https://ncc.re.kr/main.ncc?urimanage01_5 

  3. 김석환. (2018). 중증질환자의 민간의료보험 가입현황 및 관련요인.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9(1), 497-505. 

  4. 김영임, 이창현, 양수형. 정혜선. (2004). 외래내원여성의 유방암 조기검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지역사회간호학회지, 15(1), 155-164. 

  5. 보건복지부. (2002). 보도자료. "건강한 생활습관실천으로 '암'을 예방합시다". http://www.mohw.go.kr/react/al/sal0301vw.jsp?PAR_MENU_ID04&MENU_ID0403&CONT_SEQ21973 

  6. 암관리법 제11조(암검진사업) 제2항, 암관리법시행령 제7조(암검진사업의 대상자 등) 

  7. 양중기, 박민수, 이영호. (2014). PHR 서비스를 위한 암환자의 건강관리행태 및 삶의 질 영향 연구.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2(11), 249-256. 

  8. 이단, 조수영. (2018). 중국 여성들의 유방암 검진 행위 및 검진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앤더슨 의료 서비스 이용 예측 모델 및 건강 신념모델을 중심으로. 홍보학연구, 22(1), 50-85. 

  9. 이미화, 김상현. (2014). 지역 환경적 요인이 한국 여성의 유방암 조기검진 수검률에 미치는 영향 : 국민건강영양조사 제 4기를 중심으로. 디지털융복합연구, 12(11), 437-449. 

  10. 임지혜. (2017). 소득수준에 따른 암 검진 이용현황 분석 : 2014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중심으로. 디지털융복합연구, 15(1), 329-338. 

  11. 임지혜, 김선영. (2011). 대장암 조기 검진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제4차 2기(2008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중심으로.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28(1), 69-80. 

  12. 전은미. (2005). 여성의 스트레스 증상, 암 예방행위와 삶의 질과의 관계. 여성건강간호학회지, 11(2), 156-162. 

  13. 정영일, 김홍수, 최대성. (2010). 한국 성인의 암수검 관련 요인에 대한 선행 연구 고찰.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10(4), 185-194. 

  14. 조정아. (2010). 전이가 있는 원발성폐암환자의 생존율[석사학위논문]. 서울: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15. 최귀선, 박은철, 신해림, 김창민, 오대규. (2004). 국가 암조기검진사업 현황. 대한암예방학회지, 9(2), 116-122. 

  16. 한애경, 조동숙. (2001). 경기지역 일부성인의 생리적 지표와 건강지각, 건강행위에 관한 연구.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1(4):631-640. 

  17. 허종호, 황종남. (2014). 소득 수준에 따른 암검진 이용 형평성 연구: 집중지수와 집중지수 분해방법을 이용하여. 보건사회연구, 34(3), 59-81. 

  18. Choi EJ, Jung BJ, Lee SH, Yoo HS, Shin EA, Ko HJ, Chang S, Kim SY, Jeon SM. (2017). A clinical drug library screen identifies clobetasol propionate as an NRF2 inhibitor with potential therapeutic efficacy in KEAP1 mutant lung cancer. Oncogene, 36(37), 5285-5295. 

  19. Danaei G, Vander Hoorn S, Lopez AD, Murray CJ, Ezzati M. (2005). Causes of cancer in the world: comparative risk assessment of nine behavioural and environmental risk factors. THE LANCET, 366(9499), 1784-93. 

  20. Han KS. (2000). A study of Stress Reaction, Symptoms of Stress, Health Promoting Behavior, and Quality of Life in Korean Immigrant Middle Aged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0(3), 606-618. 

  21. Jeon JH, Kim MS, Moon DH, Yang HC, Hwangbo B, Kim HY, Lee JM, Lee GK. (2016). Prognostic Differences in Subgroups of Patients With Surgically Resected T3 Non-Small Cell Lung Cancer.. Annals of Thoracic Surgery, 102(5), 1630-1637. 

  22. Kim EJ, Moon IO. (1987). A study on middle aged peoples compliance for preventive health behavior of cancer,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4(2), 9-31. 

  23. Kim SH, Hyun JW, Kim HJ, Gwak HS, Lee SH, Hong EK, Lee Y. (2017). De novo cystic brain lesions mimicking neurocysticercosis in ALK-positive lung cancer. Lung Cancer, 110, 53-55. 

  24. KOSIS. (2019). 시도별 신규 중증(암)등록환자 의 암유형별 진료인원 현황.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350&tblIdTX_35001_A058&vw_cdMT_ZTITLE&list_id350_35001_6&seqNo&lang_modeko&languagekor&obj_var_id&itm_id&conn_pathMT_ZTITLE 

  25. Lee RL, Loke AJ. (2005). Health-promoting behaviors and psychosocial well-being of university students in Hong Kong. Public Health Nursing, 22(3), 209-220. 

  26. Oh TK, Jeon JH, Lee JM, Kim MS, Kim JH, Cho H, Kim SE, Eom W. (2017). Investigation of opioid use and long-term oncologic outcomes for non-small cell lung cancer patients treated with surgery. PLoS One, 12(7):e0181672. 

  27. Seeff LC, Nadel MR, Klabunde CN, Thompson T, Shapiro JA, Vernon SW, Coates RJ. (2004). Patterns and predictors of colorectal cancer test use in the adult U.S. population. Cancer, 100(10), 2093-10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