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FM을 이용한 얼굴과 하박내측 각질세포 표면 특성 비교연구
Study on the Surface Properties of Corneocyte between Face and Forearm Using Atomic Force microscopy (AFM) 원문보기

大韓化粧品學會誌 = Journal of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v.45 no.4, 2019년, pp.373 - 380  

장민열 (서원대학교 바이오코스메틱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얼굴과 하박내측의 피부는 경피수분손실량(TEWL), 피부 수분량, 탄력 등에서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다. 특히, 이전 연구 결과에서 얼굴피부와 하박내측 피부는 수화(hydrating) 과정에 따른 탄력특성의 차이를 보여 주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신체부위에 따른 피부특성 차이는 각 신체부위를 구성하고 있는 각질세포 특성과 연관성이 있을 것이라는 가정하에 atomic force microscopy (AFM)을 이용하여 각질세포 표면 특성을 비교 연구하였다. 각질세포 표면의 거칠기(roughness)와 villus-like projections (VPs)을 이용하여 비교 평가 하였다. 더 나아가 얼굴피부, 하박내측, 입술 피부의 각질세포 표면을 정성적으로 비교해 보았다. 각질세포는 8명의 피험자의 얼굴과 하박내측 피부에서 tape-stripping을 이용하여 채취하여, AFM을 이용하여 40 ㎛ × 40 ㎛ 크기로 각질세포의 아랫면 표면 특성(bottom surface of corneocyte)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얼굴 각질세포 아랫면 표면 거칠기는 388.34 ± 86.189 nm이었고, 하박내측 각질세포 아랫면 표면 거칠기는 662.27 ± 224.257 nm로 하박내측 각질세포가 얼굴 각질세포보다 더 거친 표면 특성임을 확인하였다(p < 0.001). 관찰된 VPs의 양을 비교해보면, 입술 각질세포가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이 얼굴 각질세포이며, 하박내측 각질세포는 낮은 수준이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볼때, 각질세포 표면 특성이 얼굴과 하박내측 피부 사이에 보이는 특성 차이에 어느 정도 관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VPs는 부위별 피부 특성 연구에 유용한 parameter가 될 수 있는 가능성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AFM은 각질세포 표면의 미세한 구조적 차이를 비교 연구하는데 매우 유용한 기기임을 알 수 있었다. 향후 조금 더 많은 연구가 진행된다면 각질세포에 대한 새로운 화장품 효능 평가법이 개발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re are many differences in tran-epidermal water loss (TEWL), skin water contents, and skin elasticity, etc between face and forearm skin. In particular, our previous studies showed that elasticity of face skin was significantly differed from forearm depending on full hydration. So, we have studie...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각질층을 구성하는 각질세포의 표면 특성이 부위별 피부 특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라는 가정하에, AFM을 이용하여 얼굴 피부 각질세포와 하박내측 각질세포의 표면 거칠기를 비교 연구하였다. 그리고 얼굴, 하박내측, 그리고 입술 각질세포에서 VPs를 비교 연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AFM이란 무엇인가? 하지만 atomic force microscopy (AFM)을 이용한 피부 연구는 아직까지 광범위 하게 이루어지고 있지는 않다. AFM은 probe (cantilever)와 샘플 표면사이에 작용하는 힘(force)을 기본으로 샘플 표면 을 scanning하는 기기로서[6,7], 높은 해상력과 3차원 분석 [8,9], 그리고 샘플의 변형 없이 분석이 가능하다는 것이 장점이다[10]. 그래서 샘플 표면의 거칠기 등을 고해상도 로 분석이 가능하다[11].
얼굴피부를 구성하는 각질세포의 크기가 다른 이유에는 어떤것들이 있는가? 그리고 얼굴피부를 구성하는 각질세포의 크기도 하박내측 피부 각질세포보다 작으며, 각질박리 속도도 하박내측 피부보다 빠르다[3]. 이렇게 부위에 따라 피부 특성이 다른 이유로는 피부의 두께, 각질세포의 분화 정도, 그리고 각질층에서 각질세포들의 구조적인 치밀함 정도(structural integrity) 등 여러 환경에 따른 결과라고 할 수 있다[4]. 또한, 동일한 각질층 수화(hydration) 환경에 대하여 얼굴 피부의 탄성 특성은 하박내측 피부의 탄성 특성보다 더 큰 폭으로 변화되었다는 연구결과를 통해[5], 동일한 자극에 대해 얼굴 피부와 하박내측 피부의 반응이 다르게 나타남은 얼굴 피부의 각질층 구조와 하박내측 피부의 각질층 구조에 차이가 있을 것이라 생각할 수 있다.
동일한 각질층 수화(hydration) 환경에 대하여 얼굴 피부의 탄성 특성이 하박내측보다 크게 변화한 연구결과를 통해 알 수 있는것은 무엇인가? 이렇게 부위에 따라 피부 특성이 다른 이유로는 피부의 두께, 각질세포의 분화 정도, 그리고 각질층에서 각질세포들의 구조적인 치밀함 정도(structural integrity) 등 여러 환경에 따른 결과라고 할 수 있다[4]. 또한, 동일한 각질층 수화(hydration) 환경에 대하여 얼굴 피부의 탄성 특성은 하박내측 피부의 탄성 특성보다 더 큰 폭으로 변화되었다는 연구결과를 통해[5], 동일한 자극에 대해 얼굴 피부와 하박내측 피부의 반응이 다르게 나타남은 얼굴 피부의 각질층 구조와 하박내측 피부의 각질층 구조에 차이가 있을 것이라 생각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A. Boehling, S. Bielfeldt, A. Himmelmann, M. Keskin, and K. P. Wilhelm, Comparison of the stratum corneum thickness measured in vivo with confocal Raman spectroscopy and confocal reflectance microscopy, Skin Res Technol, 20(1), 50 (2014). 

  2. H. S. Ryu, Y. H. Joo, S. O. Kim, K. C. Park, and S. W. Youn, Influence of age and regional differences on skin elasticity as measured by the $Cutometer^{(R)}$ , Skin Res Technol, 14(3), 354 (2008). 

  3. S. Marrakchi, H. I. Baibach, Biophysical parameters of skin: map of human face, regional, and age-related differences, Contact Derm, 57(1), 28 (2007). 

  4. H. Tagami, Stratum corneum cell layers. In textbook of aging skin, eds M. A. Farange, K. W. Miller, and H. I. Maibach, Springer, 377 (2010). 

  5. M. Y. Chang, Study on skin elasticity property between face and forearm according to the environmental change of stratum corneum, J. Soc. Cosmet. Sci. Korea, 44(4), 455 (2018). 

  6. A.I kai, STM and AFM of bio/organic molecules and structures, Surf. Sci. Rep, 26(8), 263 (1996). 

  7. I. Sokolov, M. Firtel, G. S. Henderson, In situ highresolution AFM imaging of biological surfaces, J Vac Sci Technol B, 14(3), 674 (1996). 

  8. D. J. Stokes, Recent advantages in electron imaging, image interpretation and applications: environmental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Philos. Trans R Soc. Lond A, 361(1813), 2771 (2003). 

  9. R. M. Henderson, H. Oberleithner, Pushing, pulling gragging, and vibrating renal epithelia by using atomic force microscopy, Am. J. Physiol. Renal Physiol., 278(5), 689 (2000). 

  10. C. Gorzelanny, T. Goerge, E. M. Schnaeker, K. Thomas, T. A. Luger, and S. W. Schneider, Atomic force microscopy as an innovative tool for nanoanalysis of native stratum corneum, Exp. Dermatol., 15(5), 387 (2006). 

  11. R. M. Gaikwad, S. I. Vasilyev, S. Datta, and I. Sokolov, Atomic force microscopy characterization of corneocytes: effect of moisturizer on their topology, rigidity, and friction, Skin Res Technol, 16(3),275 (2010). 

  12. O. Naoko, H. Satoshi, M. Fukuyoshi, and H. Mitsuyoshi, Changes in villus-like projections of corneocytes from the facial skin in normal infants with or without infantile eczema; useful parameter to assess barrier function, Skin Res Technol, 19(4), 361 (2013). 

  13. J. Fredonnet, G. Gasc, G. Serre, C. Severac, and M. Simon, Topographical and nano-mechanical characterization of native corneocytes using atomic force microscopy, J. Dermatol. Sci., 75(1), 63 (2014). 

  14. C. S. King, S. P. Barton, S. Nicholls, and R. Marks, The change in properties of the stratum corneum as a function of depth, Br. J. Dermatol., 100(2), 165 (1979). 

  15. Y. Naoe, T. Hata, K. Tanigawa, H. Kimura, and T. Masunaga, Bidimensional analysis of desmoglein 1 distribution on the outermost corneocytes provides the structural and functional information of the stratum corneum, J. Dermatol. Sci., 57(3), 192 (2010). 

  16. J. Franz, M. Beutel, K. Gevers, A. Kramer, J. P. Thyssen, S. Kezic, and C. Riethmuller, Nanoscale alterations of corneocytes indicate skin disease, Skin Res Technol, 22(2), 174 (2016). 

  17. C. Riethmuller, Assessing the skin barrier via corneocyte morphometry, Exp. Dermatol., 27(8), 923 (2018). 

  18. M. Gorcea, M. E. Lane, D. J. Moore, A proof of principle study comparing barrier function and cell morphology in face and body skin, Int. J. Cosmet. Sci., 41(6), 613 (2019). 

  19. S. Michel, R. Schmidt, B. Shroot, and U. Reichert, Morphological and biochemical characterization of the cornified envelopes from human epidermal keratinocytes of different origin, J Invest Dermatol, 91(1), 11 (1988). 

  20. C. Riethmuller, M. A. McAleer, S. A. Koppes, R. Abdayem, J. Franz, M. Haftek, L. E. Campbell, S. F. MacCallum, W. H. I. McLean, A. D. Irvine, S. Kezic, Filaggrin breakdown products determine corneocyte conformation in patients with atopic dermatitis, J. Allergy Clin. Immunol., 136(6), 1573 (2015).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