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내전형 연축성 발성장애 감별진단 문항 개발과 임상적 유용성 평가
Development of Differential Diagnosis Scale Items for Adductor Spasmodic Dysphonia and Evaluation of Clinical Availability 원문보기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Laryngology, Phoniatrics and Logopedics, v.30 no.2, 2019년, pp.112 - 117  

조재경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강북삼성병원 이비인후과학교실) ,  최성희 (대구가톨릭대학교 언어청각치료학과) ,  이상혁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강북삼성병원 이비인후과학교실) ,  진성민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강북삼성병원 이비인후과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and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differential diagnosis scale containing items from adductor spasmodic dysphonia (ADSD) to muscle tension dysphonia (MTD) and the determine clinical utility of newly developed items. Materials and Method The four parts of pitch, 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연구된 내전형 연축성 발성장애의 음성 특성을 바탕으로 우리나라 고유의 언어적 요소에 적용하여 음도, 생리적 발성, 자동구어, 유성음, 경음격음 총 5가지영역으로 나누어 문항 개발을 실시하였다. 또한 내전형 연축성 발성장애와 근긴장성 발성장애로 진단받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개발된 내전형 연축성 발성장애 감별진단 문항의 유용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를 통해 내전형 연축성 발성장애와 근긴장성 발성장애의 감별을 위한 음성 특징을 관찰했다. 개발된 검사 문항을 통해 두 질환을 변별하기에 적합하고 유용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내전형 연축성 발성장애(adductor spasmodic dysphonia, ADSD)는 무엇인가? 내전형 연축성 발성장애(adductor spasmodic dysphonia, ADSD)는 운동 유발성 근육 이상증으로 그 원인은 명확히 알려져 있지 않으나,1,2) 성대 내근의 불수의적인 수축으로 인하여 갑작스럽게 발성 일탈, 쥐어짜는 목소리, 음성 진전 등의 음성 특징이 나타난다. 통상적인 치료는 보튤리눔 독소주입술(botulinum toxin injection)이 주로 시행되며, 음성치료를 병행하여 안정된 발성을 이끌 수 있다고 보고된다.
내전형 연축성 발성장애 치료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은 무엇인가? 내전형 연축성 발성장애(adductor spasmodic dysphonia, ADSD)는 운동 유발성 근육 이상증으로 그 원인은 명확히 알려져 있지 않으나,1,2) 성대 내근의 불수의적인 수축으로 인하여 갑작스럽게 발성 일탈, 쥐어짜는 목소리, 음성 진전 등의 음성 특징이 나타난다. 통상적인 치료는 보튤리눔 독소주입술(botulinum toxin injection)이 주로 시행되며, 음성치료를 병행하여 안정된 발성을 이끌 수 있다고 보고된다.3) 근긴장성 발성장애(muscle tension dysphonia, MTD)는 후두에 뚜렷한 구조적 혹은 신경학적 이상이 없이 후두 근육의 과도한 긴장에 의해 발생하며4) 음성의 오용과 남용으로 해부학적이나 신경학적인 후두 구조는 정상이지만 지나친 근긴장으로 병리적인 음성이 나타난다.
근긴장성 발성장애(muscle tension dysphonia, MTD)의 원인은 무엇인가? 통상적인 치료는 보튤리눔 독소주입술(botulinum toxin injection)이 주로 시행되며, 음성치료를 병행하여 안정된 발성을 이끌 수 있다고 보고된다.3) 근긴장성 발성장애(muscle tension dysphonia, MTD)는 후두에 뚜렷한 구조적 혹은 신경학적 이상이 없이 후두 근육의 과도한 긴장에 의해 발생하며4) 음성의 오용과 남용으로 해부학적이나 신경학적인 후두 구조는 정상이지만 지나친 근긴장으로 병리적인 음성이 나타난다.4,5) 발성의 경우 내전형 연축성 발성장애의 음성과 유사한 특징을 보이는데 치료는 후두 마사지와 음성 치료가 근간이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Aronson AE, Brown JR, Litin EM, Pearson JS. Spastic dysphonia. II. Comparison with essential (voice) tremor and other neurologic and psychogenic dysphonias. J Speech Hear Disord 1968;33(3):219-31. 

  2. Schaefer SD. Neuropathology of spasmodic dysphonia. Laryngoscope 1983;93(9):1183-204. 

  3. Blitzer A, Brin MF, Stewart CF. Botulinum toxin management of spasmodic dysphonia (laryngeal dystonia): a 12-year experience in more than 900 patients. Laryngoscope 2015;125(8):1751-7. 

  4. Roy N, Ford CN, Bless DM. Muscle tension dysphonia and spasmodic dysphonia: the role of manual laryngeal tension reduction in diagnosis and management. Ann Otol Rhinol Laryngol 1996;105(11):851-6. 

  5. Morrison MD, Rammage LA, Belisle GM, Pullan CB, Nichol H. Muscular tension dysphonia. J Otolaryngol 1983;12(5):302-6. 

  6. Yun YS, Kim HH, Son YI. Useful speech task in the perceptual evaluation of adductor spasmodic dysphonia. Commun Sci Disord 2003;8(2):146-62. 

  7. Ludlow CL, Adler CH, Berke GS, Bielamowicz SA, Blitzer A, Bressman SB, et al. Research priorities in spasmodic dysphonia. Otolaryngol Head Neck Surg 2008;139(4):495-505. 

  8. Choi SH, Choi CH. The comparison of aerodynamic measures in korean stop consonants based on phonation types.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2014;6(4):195-203. 

  9. Hong KH, Kim HK, Niimi S. Laryngeal gestures during stop production using high-speed digital images. J Voice 2002;16(2):207-14. 

  10. Rubin JS, Sataloff RT, Korovin GS. Diagnosis and treatment of voice disorders. 4th ed. San Diego, CA: Plural Publishing;2014. 

  11. Cannito MP, Woodson GE. The spasmodic dysphonias. In: Kent RD, Ball MJ, editors. Voice Quality Measurement. San Diego, CA: Singular Publishing Group;2000. p.411-30. 

  12. Choi SH. Development of Korean standardized sentences on voice quality evaluation for dysphonia. Audiol Speech Res 2018;14(2):128-42. 

  13. Erickson ML. Effects of voicing and syntactic complexity on sign expression in adductor spasmodic dysphonia. Am J Speech Lang Pathol 2003;12(4):416-24. 

  14. Rees CJ, Blalock PD, Kemp SE, Halum SL, Koufman JA. Differentiation of adductor-type spasmodic dysphonia from muscle tension dysphonia by spectral analysis. Otolaryngol Head Neck Surg 2007;137(4):576-8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