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삼계용 토종닭과 백세미 가슴살의 미량영양소 및 풍미물질 비교
Comparison of Micronutrients and Flavor Compounds in Breast Meat of Native Chicken Strains and Baeksemi for Samgyetang 원문보기

한국가금학회지 = Korean journal of poultry science, v.46 no.4, 2019년, pp.255 - 262  

이성윤 (순천대학교 동물자원과학과) ,  박지영 (순천대학교 동물자원과학과) ,  남기창 (순천대학교 동물자원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토종닭 신품종 육종사업에서 개발중인 5주령 후보라인 3계통(A, C, D)의 미량 영양성분 및 풍미성분 함량을 분석하여 상용토종닭 1계통(H)과 삼계용으로 널리 유통되고 있는 백세미(W)와 비교하였다. 계통별 100수씩(총 500수)의 수컷 병아리를 동일조건에서 사육한 뒤 도계하여 계통별 40수의 가슴살을 분석에 이용하였다. 분석된 닭가슴살의 비타민 중 토코페롤(tocopherols), 비타민 A, 콜레스테롤은 전반적으로 토종닭 계통들과 백세미간의 차이보다는, 토종닭 계통내에서 다양한 수준을 보였다. 다만 토종닭 A계통은 백세미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높은 수치의 α-tocopherol 및 α-tocotirenol 함량을 보였으며, 토종닭 계통은 백세미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함량의 vitamin B12를 지닌 것으로 나타났다. 상용토종닭 H계통은 신품종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콜레스테롤 함량을 보였으며 신품종 중에서 D는 가장 낮은 수준을 나타냈다. 닭가슴살에 함유된 미네랄의 경우 삼계용 토종닭 계통들과 백세미간의 뚜렷한 차이는 없었으나, 구리 함량은 백세미 보다 토종닭 계통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수치를 보였다. 핵산관련 풍미물질의 경우 토종닭 후보라인 A 계통은 낮은 수치의 hypoxanthine 함량을 지니고, 후보라인 D은 상대적으로 높은 함량의 IMP를 보여 시중 토종닭과 비교하여 핵산관련 풍미물질에서 장점을 지닌 것으로 나타났다. 기능성 물질인 taurine 함량에서는 토종닭 후보라인 A계통이 대조구와 다른 후보라인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토종닭은 백세미에 비해 umami 관련 유리아미노산인 glutamic acid와 aspartic acid 함량이 높았으며, 특히 후보라인 A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토종닭 후보라인 A는 높은 수준의 taurine 및 풍미 관련 유리아미노산을 함유하는 것으로 나타나 기능성 및 풍미 측면에서 시중 토종닭 및 다른 신계통에 비해 특이적 특성을 지닌 것으로 판단된다. 다만 이전 연구 결과에 의하면 A계통은 성장률이나 도체중과 같은 생산성 측면에서 다른 계통보다 불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독특한 육질 특성이나 기능적 측면을 강조한 전략적 시장을 타깃으로 A와 같은 특정 계통의 토종닭 상용화도 추진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 연구는 더 나은 기능성 및 풍미 성분을 가진 새로운 토종닭 계통을 선발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micronutrients and flavor compounds of three new native chicken strains (A, C, and D) being developed in a breeding program (Golden Seed Project) were compared with a commercial native chicken strain (H) and the Baeksemi (W, white semi broiler). After 100 male chicks in each strains were reare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Lee 등(2018)은 신품종 종계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 조사의 일환으로, 삼계탕용으로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토종닭과 백세미를 대조구로하여 골든시드프로젝트(GSP)에서 개발하고 있는 토종닭 후보 계통의 도체 및 육질 특성을 분석비교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체 및 육질특성과 더불어 소비자들이 민감하게 관심을 가지고 있는 비타민과 미네랄 등의 미량영양성분(micronutrients)과 특이적 풍미성분을 분석하여 새로운 삼계용 닭의 품질적 특이성을 알아보기 위해 비교 실험을 진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식육의 풍미에 관여하는 화합물엔 무엇이 있는가? , 2013). 일반적으로 식육의 풍미에 관여하는 화합물은 유리아미노산, 핵산, 미네랄, 펩타이드 및 휘발성 물질 등이 있는데, 그 중 유리아미노산의 정미성분과 주요 핵산관련물질인 inosine-5'-monophosphate (IMP)는 식육의 풍미에 크게 기여한다고 알려져 있다 (Yamaguchi, 1991). 
축산물에서 닭고기 소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증가하는 이유는? 축산물에서 닭고기 소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계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MAFRA, 2018). 이는 닭고기에는 상대적으로 인체에 필요한 필수아미노산이 풍부하고 지방과 콜레스테롤의 함량이 적어 건강식품으로 인식되고 있기 때문이다 (Chae et al., 2002; Choe et al., 2010). 또한, 닭고기는 기능성 화합물 및 미량영양소의 훌륭한 공급원이며(Pereira and Vicente, 2013), 생명에 필수적이면서 소비자 만족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많은 미네랄이 포함되어 있다(Alturiqi and Albedair, 2012; Ribeiro et al., 2019).
토종닭의 특징은? 토종닭은 육계와 산란계에 비해 지방이 적고 육질이 단단하며 정미 성분인 아미노산과 IMP가 다량 함유되어 있어 특징적인 관능 특성을 지닌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Choe et al., 2010), 육계에 비해 성장 속도가 느리고 소규모 사육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어 수요예측에 따른 물량공급이 어려운 단점을 지니고 있다(Sang et al., 2006; Park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Alturiqi AS, Albedair LA 2012 Evaluation of some heavy metals in certain fish, meat and meat products in Saudi Arabian markets. The Egypt J Aquat Res 38(1):45-49. 

  2. Cha JH, Yu QM, Seo JS 2016 Vitamin A supplementation modifies the antioxidant system in rats. Nutr Res Pract 10(1):26-32. 

  3. Chae HS, Cho SH, Park BY, Yoo YM, Kim JH, Ahn CN, Lee JM, Kim YK, Choi YG 2002 Changes of the fatty acid, amino acids and collagen contents in domestic broiler chickens of different marketing standard. Korean J Food Sci An 22:1-7. 

  4. Chiang PD, Yen CT, Mau JL 2007 Non-volatile taste components of various broth cubes. Food Chem 101(3):932-937. 

  5. Cho JH, Um JS, Yu MS, Paik IK 2007 Effect of ME and crude protein content of diet on the performance and production cost of white semibroiler chickens. Korean J Poult Sci 34(1):53-56. 

  6. Choe JH, Nam KC, Jung S, Kim BN, Yun HJ, Jo C 2010 Differences i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between commercial Korean native chickens and broilers. Korean J Food Sci An 30(1):13-19. 

  7. Fukunaga T, Koga K, Maita Y, Matsuoka S 1989 Free amino acid, carnosine and 5'-inosinic acid contents in the breast and leg meats from the cross and tripe-cross chickens of Satsuma native fowl. Bull Fac Agric Kagoshima Univ 39:223-232. 

  8. Jayasena DD, Ahn DU, Nam KC, Jo C 2013 Factors affecting cooked chicken meat flavour: a review. World Poultry Sci J 69(3):515-526. 

  9. Jung S, Bae YS, Kim HJ, Jayasena DD, Lee JH, Park HB, Jo C 2013 Carnosine, anserine, creatine, and inosine 5'-monophosphate contents in breast and thigh meats from 5 lines of Korean native chicken. Poult Sci 92(12):3275-3282. 

  10. Kawamura Y, Halpern BP 1987 Recent developments in umami research. Pages 637-642 In: Umami: A Basic Taste. Kawamura Y, Kare MR eds. Marcell Deckker, New York. 

  11.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11 Korean Food standard Codex.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Cheongju, Korea. Pages 10-1-60, 61, 86, 87. 

  12. Lee SY, Park JY, Hyun JM, Jung S, Jo C, Nam KC 2018 Comparative analysis of meat quality traits of new strains of native chickens for Samgyetang. Korean J Poult Sci 45(3):175-182. 

  13. Lim DG, Kim KT, Lee KH, Seo KS, Nam KC 2013 Physicochemical traits, fatty acid and free amino acid compositions of two-way crossbred pork belly. Korean J Food Sci An 33(2):189-197. 

  14. Lombardi-Boccia G, Lanzi S, Aguzzi A 2005 Aspects of meat quality: trace elements and b vitamins in raw and cooked meats. J Food Compos Anal 18(1):39-46. 

  15. Machlin LJ 1980 In Vitamin E. A Comprehensive Treatise. Basic and Clinical Nutrition. 1. Marcel Dekker, Inc., New York, USA. 

  16.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MAFRA) 2018 Major Statistics of Agriculture, Livestock and Food. Issues 11-1543000-000128-10, 383. 

  17. Mun GJ Song WJ Park SH Jeong BG Jung GR Choi K S Kim JH Choi YM Chun JY 2017 Analysis of vitamin B12 in fresh cuts of Korean pork for update of national standard food composition table. Korean J Food Preserv 24(7):983-991. 

  18. Park MN 2010 Development of native chicken for samgyetang. Korean Poultry Journal 42(9):150-151. 

  19. Park MN, Hong EC, Kang BS, Kim HK, Seo BY, Choo HJ, Na SH, Seo OS, Han JY, Hwangbo J 2010 The study on production and performance of crossbred Korean Native Chickens (KNC). Korean J Poult Sci 37(4):347-354. 

  20. Pereira PMDCC, Vicente AFDRB 2013 Meat nutritional composition and nutritive role in the human diet. Meat Sci 93(3):586-592. 

  21. Ribeiro DM, Mourato MP, Almeida AM 2019 Assessing mineral status in edible tissues of domestic and game animals: a review with a special emphasis in tropical regions. Trop Anim Health Prod 51(5):1-14. 

  22. Sang BD, Kong HS, Kim HK, Choi CH, Kim SD, Cho YM, Sang BC, Lee JH, Jeon GJ, Lee HK 2006 Estimation of genetic parameters for economic traits in Korean native chickens. Asian-Australas J Anim Sci 19(3):319. 

  23. SAS 1995 SAS User's Guide Statistics. Statistical Analysis System, Institute, Cary, NC, USA. 

  24. Sweeney JP, Weihrauch JL 1976 Summary of available data for cholesterol in foods and methods for its determination. CRC Crit Rev Food Sci Nutr 8(2):131-159. 

  25. Terasaki M, Kajikawa M, Fujita E, Ishii K 1965 Studies on the flavor of meats Part I. Formation and degradation of inosinic acids in meats. Agr Biol Chem 29(3):208-215. 

  26. Thomas JB, Kline MC, Gill LM, Yen JH, Duewer DL, Sniegoski LT, Sharpless KE 2001 Preparation and value assignment of standard reference material 968c fat-soluble vitamins, carotenoids, and cholesterol in human serum. Clin Chim Acta 305(1-2):141-155. 

  27. Yamaguchi S 1991 Roles and efficacy of sensory evaluation in studies of taste. J Jpn Soc Food Sci 38(10):972-97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