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Lagrangian 전자부자를 이용한 수리모델 검증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validation of hydraulic model using lagrangian GPS floater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52 no.12, 2019년, pp.1047 - 1055  

이호수 (인제대학교 환경공학과) ,  이정민 (인제대학교 환경공학과) ,  한은진 (국립환경과학원 물환경평가연구과) ,  김영도 (인제대학교 환경공학과(낙동강유역환경연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수질오염사고 발생시에 다양한 수환경 조건에서의 오염물질의 거동 예측을 위해서 여러 가지 유형의 모델링 기법을 사용하고 있으며, 그 중 물의 흐름특성을 고려할 수 있는 수리모델은 가장 기초가 되면서 전체 모의결과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수리모델은 대상하천의 수리특성을 정확하게 예측하고 있는가를 판단하는 과정이 매우 중요하며, 이와 같은 모델링 결과의 검증에 있어서 실제 하천에서 직접 실측한 결과를 이용한다. 현재 하천의 유속 측정에 있어 ADCP와 FlowTracker를 많이 운영하는데 ADCP는 수심이 0.6 m 이하인 경우와 수면 부근의 측정불가역의 비율이 40% 이상일 때 정확도가 매우 떨어진다. FlowTracker의 경우 도섭을 이용한 측정방식으로 인해 고수심 및 고유속 조건에서 측정에 한계를 가진다. 이러한 방식의 실측값을 통해 검증된 모델은 수심이 낮은 저유량기 모의와 유속이 빠른 고유량기에서의 모의결과를 신뢰할 수 없다. 본 연구에서는 Eulerian 방식으로 측정되는 기존의 방법과 달리 입자의 움직임에 따라 수체의 물리량을 측정하는 Lagrangian 방식의 GPS 전자부자를 이용하였다. GPS 전자부자를 이용해 측정한 유속과 수리모델의 모의결과를 비교하여, 모델결과의 검증 방안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GPS 전자부자의 이동거리와 LPT 모델 입자의 이동거리를 비교하였을 때 평균 13.6%의 오차율을 보이며, 구간별 유속 차이에서도 정체구간을 제외하면 평균 3.2%의 오차율을 보였다. 따라서 GPS 전자부자를 이용하여 수리모델의 결과에 대한 보정 및 검증 방안으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Various types of numerical modeling techniques are used to predict the behavior of pollutants under various water environmental conditions in the event of a water pollutant accident. Among them, a hydraulic model that can consider water flow characteristics is the most basic and very important. The ...

주제어

표/그림 (1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수리 모델 검증에 있어 실측값을 이용한 검증이 대부분 이루어지지만, 현장계측을 통해 측정된 수리량은 지점에 대한 고정된 측정을 진행하는 Eulerian 방식으로 측정 되어진 자료인 경우가 많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Eulerian 방식으로 측정되는 자료와 달리 입자를 따라 그 입자의 물리량을 나타내는 방식인 Lagrangian 방식으로 측정되는 GPS 전자부자의 유하를 통한 수리량 측정을 통한 수리모델 검증방안을 연구하였다. 대상구간인 금호강이 합류하는 낙동강에서 GPS 전자부자 9개를 유하시켜 이동거리를 측정하였으며, GPS 전자부자의 총 유하 시간은 30분으로 총 이동거리는 평균 688 m로 측정되었으며, LPT 모듈의 경우 Lagrangian 입자의 총 모의시간은 30분으로 총 이동거리는 평균 547 m로 측정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Lagrangian 방식으로 측정되는 GPS 전자부자의 유하를 통한 수리량 측정을 통한 수리모델 검증결과 시간별 오차율은 어떻게 측정되었는가? 9%의 오차율을 보였다. 시간별 구간에 따른 오차율은 0~6분 구간에서 0.19%, 6~12분 구간 10.9%, 12~18분 구간 2.0%, 18~24분 구간 13.5%, 24~30분 구간은 639.5%로 측정되었다. 구간에 따른 오차율의 경우 0~6분 구간, 6~12분 구간, 12~18분 구간, 18~24분 구간의 평균 이동거리의 오차율이 낮은 반면, 이동거리의 차이가 큰 24~30분 구간에서 큰 오차율을 보이지만, 평균 이동거리의 오차율을 평균 해보면 13.
Lagrangian이란 무엇인가? , 2010). 앞서 언급한 Lagrangian과 Eulerian 방식의 가장 큰 차이는 공간상에서 지점의 이동과 물리량의 변화에 있으며, 입자에 대한 관점에서의 물리량을 표현하는 방식을 Lagrangian이라할 수 있다. 이러한 차이로 인해 Lagrangian 방식의 측정은 유류 및 부유성 오염물질의 측정을 중점적으로 연구 진행되고 있으며, 표면에서의 물리량으로 인해 표면유속과 평균유속의 방정식을 이용하지 않을 시 평균유속을 산정할 수 없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현재 하천의 유속 측정에 있어 ADCP의 단점은? 이러한 수리모델은 대상하천의 수리특성을 정확하게 예측하고 있는가를 판단하는 과정이 매우 중요하며, 이와 같은 모델링 결과의 검증에 있어서 실제 하천에서 직접 실측한 결과를 이용한다. 현재 하천의 유속 측정에 있어 ADCP와 FlowTracker를 많이 운영하는데 ADCP는 수심이 0.6 m 이하인 경우와 수면 부근의 측정불가역의 비율이 40% 이상일 때 정확도가 매우 떨어진다. FlowTracker의 경우 도섭을 이용한 측정방식으로 인해 고수심 및 고유속 조건에서 측정에 한계를 가진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ISO (1997). "ISO 748: Measurement of liquid flow in open channels-Velocity-area methods." International Standard Organization Technical Report, ISO. 

  2. Jang, J.H., Jong, J.H., Mun, H.S., Kim, K.H., and Seo, I.W. (2016). "Mixing analysis of oil spilled into the river by GPS-equipped drifter experiment and numerical modeling."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Vol. 32, No. 3, pp. 243-252. 

  3. Jeon, J.H., and Chung, S.W. (2012). "A sensitivity analysis on numerical grid size of a three-dimensional hydrodynamicand water quality model (EFDC) for the Saemangeum reservoir."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Vol. 28, No. 1, pp. 26-37. 

  4. Jeon, J.H., Chung, S.W., Park, H.S., and Jang, J.R. (2011). "Evaluation of EFDC for the simulations of water quality in saemangeum reservoir."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Vol. 27, No. 4, pp. 445-460. 

  5. Ji, J.Y., Park, S.Y., Lee, G.W., Park G.M., Hwang, S.H., Kim, D.H., and Lee, Y.j. (2013). "Analysis and comparison of flow rate measurements using various discharge measuring instrument and ADCP."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Vol. 2, No. 2, pp. 251-257. 

  6. Kim, J.M., Kim, S.J., Son, G.S., and Kim, D.S. (2015). "Accuracy analysis of ADCP stationary discharge measurement for unmeasured regions."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ociation, Vol. 34, No. 7, pp. 553-566. 

  7. Kim, W., Kim, D.G., Kim, C.Y., Park, E.H., and Lee, C.J. (2008). "ADCP Users Practical Guidance." 

  8. Lee, C.J., Kim, D.G., Kim, C.Y., and Kim, W. (2005). "Velocity and discharge measurement using ADCP."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ociation, Vol. 38, No. 10, pp. 81-824. 

  9. Lee, C.J., Kim, D.G., Kwon, S.I., and Kim, W. (2010). "Inter-comparison of acuracy of discharge measurement methods-a case study performed in the dalcheon river downstream of the goesan dam-,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 Association, KWRA, Vol. 43, No. 12, pp. 1039-1050. 

  10. Lee, D.J., and Park, Y.K. (2013). "A study on the sediment deposition height computation at gunsan port using EFDC."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ociation, Vol. 46, No. 5, pp. 531-545. 

  11. Ryu, S.S., Kim, C.Y., and Jung, S.W. (2010). "A comparative study on discharge estimation according to methods of float correction factor." Journal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2010-05, pp. 1284-1288. 

  12. Seo, I.W., Park, I.H., Kim, Y.D., Han, E.J., Choo, M.H., and Mun, H.S. (2013). "Mixing analysis of floating pollutant using lagrangian particle tracking model."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Vol. 29, No. 3, pp. 383-392. 

  13. Shin, Y.R., Jang, J.R., Choi, J.H., and Cho, Y.K. (2012). "The comparison of grid resolutions using EFDC in saemangeum reservoir."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KSWE, Vol. 28, No. 5. pp. 646-65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