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판 신체태도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Study on the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Grindler Body Attitude Scale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9 no.1, 2019년, pp.256 - 265  

주은선 (덕성여자대학교 심리학과) ,  임민아 (덕성여자대학교 심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Grindler(1991)가 개발한 신체태도 척도(Grindler Body Attitude Sale)을 한국어로 번안하여 한국판 신체태도 척도를 구성하고 이 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551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문항의 내용분석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공인 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문항 분석과 탐색적 요인분석의 결과 한국판 신체태도 척도는 총 3요인 모형과 35문항 구조가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각 요인은 신체에 대한 인식태도, 신체에 대한 평가태도 신체에 대한 관리 태도로 명명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3요인 모델의 적합도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척도의 공인 타당도 및 변별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관련 척도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스트레스 반응과는 부적상관, 신체 존중감, 주관적 안녕감, 신체 만족도와는 정적인 상관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제한점과 향후 연구를 위한 제안을 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the Grindler Body Attitude Sale developed by Grindler(1991) was adopted and validation to the Korean culture. 3-factors and 25 Items were constructed through item content analysis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3 factors named through the characteristic context are 'Awareness of th...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넷째, Grinder Body Attitude Scale은 본래 암 환자들에게 진행되는 심리치료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만들어졌다. 그러나 한국판 신체태도 척도는 보다 많은 대중이 쉽게 접근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특정 병명이나 시술을 지칭하는 문장을 수정, 제거하였다.
  • 본 연구는 자신의 신체를 대하는 태도를 측정할 수 있는 척도를 만들기 위해 Grindler[15]가 개발한 Body Attitude sale을 우리말로 번안하여 한국 실정에 적합한 문항을 가진 한국판 신체태도 척도 개발하고자 타당화 연구를 실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Grindler의 신체태도 척도를 토대로 한국 사회문화에서 적절하게 사용 될 수 있도록 한국판 몸태도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신체태도 척도는 무엇인가? 반면 Grindler[13]가 개발한 신체태도 척도(Grindler body attitude scale, GBAS)는 개인이 자신의 신체와 신체가 가진 능력에 대해 얼마나 긍정적인 태도 가지고 있는가를 측정한다. Grindler는 신체태도 척도는 포커싱 체험심리치료의 첫 번째 단계인 주변 정리(clearing space) 단계에서 사용하기 위해 고안 되었다.
자신의 신체를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사람은 어떤 문제가 있는가? 스트레스에 부정적으로 방식으로 대처해 나가는 경향을 보인다[5]. 또한 자신의 신체를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사람들은 우울과 불안 등의 심리적 문제를 경험하게 되며 음주와 흡연, 대인관계의 어려움, 과도한 성형수술 등에 더 많이 노출된다[1].
국내에서 사용되는 신체 인식의 한계점은 무엇인가? 그러나 자신의 신체상을 측정하기 위해 국내에서 사용되고 있는 많은 도구들은 신체 인식을 주로 외모와 몸매를 아름답게 인식하고 있는가 혹은 신체 운동 능력이 얼마나 뛰어난 가에 초점을 두는 경향이 있다[11][12]. 그리고 이러한 경향은 성장과 노화, 사고, 질병 등에 의해 변화할 수밖에 없는 신체의 기능과 구조에 대한 태도나 감정, 관련된 경험 및 개인의 인지를 반영하지 못한다는 한계점을 지닌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박소연, 부정적인 신체상을 지닌 여대생에 대한 게슈탈트 집단치료의 효과,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2. 최선희, 생활체육참가자의 외모지상주의와 체중조절행위, 운동중독 및 섭식장애의 관계, 단국대학교 스포츠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3. 김정혜, 박원모, 권선방, "비만 여고생의 신체상 만족도, 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폭식 행동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동서정신과학회지, 제8권, 제2호, pp.63-80, 2005. 

  4. 유미숙, 이세연, "한국판 유방암 환자용 신체이미지 척도 (K-BIBCQ)의 타당화 연구," 한국놀이치료학회지(놀이치료연구), 제13권, 제1호, pp.65-81, 2010. 

  5. 강정주, 신체상에 대한 만족도와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6. Linda S Baas, Theresa A Beery, Gordon Allen, Michael Wizer, and Lynne E Wagoner, "An exploratory study of body awareness in persons with heart failure treated medically or with transplantation," J Cardiovasc Nurs, Vol.19, pp.32-40, 2004. 

  7. 김완석, 심교린, 조옥경, "한국판 다차원 신체자각척도(K-MAIA)," 스트레스연구, 제24권, 제3호, pp.177-192, 2016. 

  8. L. A. Ellis, "Qualitative changes in recurrent PTSD nightmares after focusing-oriented dreamwork," Dreaming, Vol.26, No.3, pp.185-201, 2016. 

  9. 김복선, 여대생의 신체상, 우울이 음주동기에 미치는 영향, 전주대학교 상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10. S. Fisher, Development and structure of the body image, w. psychology Press. 2014. 

  11. 황규자, 배진경, "무용 전공 여대생의 신체상이 자기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 스포츠 심리학회지, 제16권, 제2호, pp.254-256, 2005. 

  12. 이미현, 김정규, "청소년의 신체상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 문화포럼, 제31권, pp.61-83, 2012. 

  13. D. Grindler Katonah and J. Flaxman, An Adjunct Treatment for adaptive recovery from cancer, Unpublished manuscript, The Illinois School od professional Psychology, 1991. 

  14. 주은선, 포커싱 체험심리치료, 학지사, 2011. 

  15. D. Grindler Katonah, "Research on Clearing a space. The Flio," A Journal for Focusig and Experiential Psychotherapy, Vol.24, No.1, pp.138-154, 2012. 

  16. 고경봉, 박중규, 김찬형, "스트레스반응척도의 개발," 신경정신의학, 제39권, 제4호, pp.707-719, 2000. 

  17. 김완석, "전반적 신체존중감 척도(KOBES),"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제12권, 제2호, pp.231-253, 2007. 

  18. E. Diener, "Assessing subjective well-being: progress and opportunities," Social indicators Research, Vol.31, pp.103-157, 1994. 

  19. 임낭연, 이화령, 서은국, "한국에서의 Diener의 삶의 만족 척도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SWLS)사용 연구 개관,"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제29권, 제1호, pp.21-47, 2016. 

  20. 김봉숙, 노화단계에 따른 장년 및 노인의 신체상과 신체적 노화 현상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7. 

  21. 홍세희,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제19권, 제1호, pp.161-177, 2000. 

  22. 김계수,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한나래아카데미, 2010. 

  23. P. M. Bentler, "Comparative fit indexes in structural models," Psychological bulletin, Vol.107, No.2, pp.238-246, 1990. 

  24. 이정숙, 중.고등학생의 성별, 비만, 타인의 평가와 신체존중감의 관계,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25. W. E. Mehling, C. Price, J. J. Daubenmier, M. Acree, E Bartmess, and A. Stewart, "The multidimensional assessment of interceptive awareness plus," ONE, Vol.7, 2012. 

  26. K. S. Vickers and N. D. Vogeltanze, "Dispositional optimism as a predictor of depressive symptoms over time," Pers Individ Dfif, Vol.28, pp.259-272, 2000. 

  27. 이우경, "한국판 비집착 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12호, pp.644-654, 201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