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사경찰의 성범죄에 대한 2차피해 인식요인 탐색
Influencing Factors of Attitude toward Secondary Victimization in Sexual Assault Cases by the Police Officer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9 no.1, 2019년, pp.671 - 681  

권혜림 (서원대학교 경찰행정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수사경찰관들은 업무 특성상 사건의 진위를 가려내기 위한 과정에서 지나친 의심을 지닐 가능성이 높고, 이는 2차피해로 이어질 우려가 있으며, 실제로 이러한 우려가 종종 사회적 문제로 드러나기도 한다. 이 연구는 '성폭력수사를 담당하는 경찰관들이 2차피해를 유발하는 요인은 무엇인가?'라는 연구문제를 제시하였다. 아울러 탐색된 영향요인들에 대한 해결방안을 모색하여 수사과정에서의 성폭력 2차피해를 방지 또는 최소화하여 경찰의 신뢰회복에 긍정적으로 기여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 경찰공무원 개인적 특성 중에서 강간통념, 폭력허용도, 적대적 성차별이 의심과 편견에 영향을 미쳤으며, 민감성부족에는 강간통념과 적대적 성차별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장관련 특성 중에서는 재직기간과 성폭력 사건 담당경험이 민감성 부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성폭력사건 수사과정에서 2차피해를 감소 예방하기 위해서는 성폭력 사건 관련 법 개정과 제도 개선뿐만 아니라 담당 경찰관들의 성인지감수성을 높이는 것이 중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olice officers in charge of investigating sexual assault cases are likely to have suspicions in the process of investigation to find out the truth about the case, which leads to secondary victimization to the victims, and these concerns are often unveiled as social problems. This study suggested th...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특히, 범죄통제지향적인 경찰조직의 하위문화에 주목하고, 2차피해 태도와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이는 개인 인식에 국한된 문제가 아니라 조직전반의 문화와 관련된 문제임을 강조하고자 한다. 또한 조직문화와 관련된 개선이 함께 이루어져야만 2차피해 근절이 가능함을 강조하고자 하였다. 범죄통제 지향적 하위문화를 많이 수용하는 경찰관일수록 범죄수사 시 수사대상에 대한 적대감이 더 강할 것이라 예상되며, 이는 2차피해 태도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 애초 연구계획은 조사대상을 성폭력 사건을 전담하는 경찰공무원으로 한정하려 하였으나 순환근무의 특성을 고려하여 수사부서 경찰관들과 과거 수사경험이 있는 지구대 근무 경찰관들로 확대 실시하였다. 또한 편의표본추출에 의하여 성폭력 사건 담당경험이 없는 경찰관들을 포함하여 추후 성폭력 수사경험 여부에 따른 차이점을 살펴보았다.
  • 수사라는 업무특성상 경찰관들이 성폭력 피해여성에게 또 다른 정신적 고통을 줄 수 있는 제 2의 가해자가 될 염려가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시작된 이 연구는 ‘성 폭력수사를 담당하는 경찰관들이 2차피해를 유발하는 요인은 무엇인가?’라는 문제를 제시하였다. 아울러 탐색된 영향요인들에 대한 해결방안을 모색하여 수사과 정에서의 성폭력 2차피해를 방지 또는 최소화하여 경찰의 신뢰회복에 긍정적으로 기여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 이 연구는 수사담당 경찰관들의 성폭력 2차피해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다각적으로 탐색하고자 한다. 수사담당 경찰관들의 편견이나 고정관념에 대한 선행 연구들은 주로 문제 확인 및 개선 필요성 제기 수준의 기초적 연구에 머무르고 있다.
  • 이 연구는 피해자의 인권을 지키고 정의를 수호해야할 수사기관들이 오히려 잘못된 수사관행 및 수사태도로 인해 이중, 삼중의 고통을 강요하고 심지어 피해자를 ‘죄인’으로 만드는 부조리한 현실이 종종 언론에 보도되어지곤 한다.
  • 특히, 경찰공무원 개인의 성 인식(양가적 성차별주의, 강간통념)이 그들의 태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중점적으로 검토하고자 한다. 이는 성폭력 수사 시 경찰관이 피해자의 진실성 여부를 사정하는데 치중하는 이유가 성폭력에 대한 편견에서 나올 수 있다는 가정 하에 추후 관련 교육프로그램의 필요성이나 중요성과 연결하여 현실적인 정책적 제언이 가능하리라 판단하였기 때문이다.
  • 특히, 범죄통제지향적인 경찰조직의 하위문화에 주목하고, 2차피해 태도와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이는 개인 인식에 국한된 문제가 아니라 조직전반의 문화와 관련된 문제임을 강조하고자 한다. 또한 조직문화와 관련된 개선이 함께 이루어져야만 2차피해 근절이 가능함을 강조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성폭력 범죄의 경우 2차피해란 무엇인가? 범죄로 인해 피해자가 직접 겪게 되는 육체적ㆍ정신 적인 고통을 ‘1차 피해’라고 하며, 형사사법기관 등의 배려가 부족한 대응에 의해 재차 유발되는 범죄피해를 ‘2차피해’라고 한다. 즉, 성폭력 범죄의 경우 2차피해란 성폭력으로 인해 겪는 신체적ㆍ정신적인 직접적 후유증 이외에 성폭력에 대한 왜곡된 인식이나 잘못된 통념으로 피해자가 경험하게 되는 사회적 불이익이나 심리 적인 고통을 의미한다.
성폭력 피해자가 수사과정에서 2차피해를 경험하게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보호받아야 할 성폭력 피해자는 그 사실을 경찰에 알리고 도움을 청하는 과정에서 수사기관의 부정적 반응으로 인해 2차피해를 경험하게 된다[9].한국성폭력상담소(2002)의 수사ㆍ공판 단계별 2차피해 사례분석 결과에 의하면, 성폭력으로 인한 2차피해는 수사과정 (52.
성폭력범죄 피해자가 피해사실을 숨기려는 이유는 무엇인가? 성폭력범죄는 피해 사실이 잘 드러나지 않거나 수사기관에 신고 되지 않아 암수범죄율이 높은 범죄로 분류된다. 피해자가 피해사실을 숨기는 데는 다양한 이유가 있을 수 있지만, 일반인들이 지닌 편향된 인식을 두려워하는 피해자들이 적지 않다. 일반적으로 성폭력범죄의 피해자라고 하면 ‘평판이 나쁜’, ‘몸가짐이 바르지 못한’, ‘문제성이 농후한’ 여성이라 생각하는 경향이 존재한다. 성폭력 피해자에 대한 그릇된 편견과 고정관념이 적극적인 피해구제의 방안으로부터 점점 멀어지게 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사회적 인식은 성폭력 피해자들로 하여금 소극적 대처나 은폐를 조장하게 된다. 설사 신고하여 수사가 진행된다 하더라도 형사사법 절차 진행 중에 피해를 유발하거나 종종 가해자 보다 더 나쁜 여자로 취급받는 경우가 있기에 이중의 피해를 경험하게 되는 것이다[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권수현, "성폭력 피해생존자에 대한 2차 피해 실태 및 대책: 성폭력 수사 과정에서의 인권침해," 한국성폭력상담소 성폭력전문상담원 교육자료집, pp.178-198, 2006. 

  2. 박주상, "경찰의 성폭력 범죄피해자 보호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치안행정논집, 제4권, 제1호, pp.105-128, 2007. 

  3. 이대원, 경찰수사관의 수시인식,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9. 

  4. 김종욱, 경찰의 피해자수사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5. 이주락, 탁종연, "수사관 편견의 실증적 근거에 관한 연구: 교통사고 피조사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수사관의 편견을 중심으로," 한국경호경비학회지, 제15호, pp.285-301, 2008. 

  6. 이명신, 양난미, 김정희, 문유정, "이차피해태도, 공정성 실천, 다전문직간 관계가 연계에 미치는 영향: 성폭력관련 경찰과 상담사를 중심으로," 젠더와 문화, 제8권, 제1호, pp.43-85, 2015. 

  7. 이윤호, 범죄학, 제2판, 서울: 박영사, 2016. 

  8. 이미경, "형사사법절차상 성폭력 2차 피해의 심층구조," 여성학연구, 제23권, 제2호, pp.43-751, 2013. 

  9. J. Jordan, "Perfect Victims, Perfect Policing? Improving Rape Complainants' Experience of Police Investigations," Public Administration, Vol.86, No.3, pp.699-719, 2008. 

  10. 신성대, 성폭력 범죄 수사에 관련된 인권침해 실태분석, 영남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11. 류병관, "형사절차상 성폭력 피해자의 2차 피해자화 방지 대책," 법과 정책연구, Vol.6, No.1, pp.395-421, 2006. 

  12. 황현락, "성폭력사건 수사과정에서 여성인권 보호방안," 한국법정책학회: 법과정책연구, Vol.7, No.2, pp.375-406, 2007. 

  13. V. B. Lord and G. Rassel, "Law Enforcement's Response to Sexual Assault: A Comparative Study of Nine Counties in North Carolina," in(eds.) James F. Hodgson and Debra S. Kelley, Sexual Violence: Policies, Practices, and Challenges in U.S. and Canada, CT: Library of Congress Catalogue-in-Publication Data, pp.155-172, 2002. 

  14. K. E. Renner, "Reconceptualizing Sexual Assault from an Intractable Social Problem to a Manageable Process of Social Change," in(eds.) James F. Hodgson and Debra S. Kelley, Sexual Violence: Policies, Practices, and Challenges in U.S. and Canada, CT: Library of Congress Catalogue-in-Publication Data, pp.135-153, 2002. 

  15. J. F. Hodgson, "Policing Sexual Violence: A Case Study of Jane Doe v. the Metropolitan Toronto Police," in(eds.) James F. Hodgson and Debra S. Kelley, Sexual Violence: Policies, Practices, and Challenges in U.S. and Canada, CT: Library of Congress Catalogue-in-Publication Data, pp.173-189, 2002. 

  16. J. Du Mont, K. L. Miller, and J. L. Myhr, "The Role of Real Rape and Real Victim Stereotypes in The Police Reporting Practices of Sexually Assaulted Women," Violence Against Women, Vol.9, No.4, pp.466-486, 2003. 

  17. 김엘림, 윤덕경, 박현미, 성폭력.가정폭력 관련법의 시행실태와 과제, 서울: 한국여성개발원, 2000. 

  18. 이명신, 양난미, "남성경찰관의 성폭력 수사행동(적극적 수사와 이차폭력) 결정요인: 성폭력에 대한 편견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 Vol.63, No.1, pp.159-185, 2011. 

  19. 최인숙, 김정인, "성폭력 통념수용, 대인폭력수용 및 성역할-관련 태도가 공격적 성행동에 미치는 영향: 대학생들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Vol.20, No.3, pp.277-300, 2015. 

  20. 김애리, 박정열, "성역할 관련 태도가 강간통념수용에 미치는 영향," 기본간호학회지, Vol.15, No.1, pp.98-106, 2008. 

  21. 권주희, "성폭력 피해생존자에 대한 2차 피해 실태 및 대책: 형사사법절차.보도과정을 중심으로," 한국성폭력상담소 성폭력전문상담원 교육자료집, pp.200-207, 2006. 

  22. G. D. Bove and L. Stemac, "Psychological Evidence in Sexual Assault Court Cases: The Use of Expert Testimony and Third-Party Records by Trial Court Judges," in(eds.) James F. Hodgson and Debra S. Kelley, Sexual Violence: Policies, Practices, and Challenges in U.S. and Canada, CT: Library of Congress Catalogue-in-Publication Data, pp.119-134, 2002. 

  23. 김선영, 강간에 대한 통념의 수용에 관한 연구: 경찰, 의사, 교사, 법조인, 상담원, 언론인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9. 

  24. D. Abrams, G. T. N. Viki, B. Masser, and G. Bohner, "Perceptions of Stranger and Acquaintance Rape: The Role of Benevolent and Hostile Sexism in Victim Blame and Rape Proclivit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84, pp.111-125, 2003. 

  25. 신현기, 이상열, "우리나라 성폭력범죄의 실태분석에 관한 연구," 한.독사회과학논총, 제16권, 제1호, pp.249-274, 2006. 

  26. 박지선, 김정희, "성폭력 피해자에 대한 경찰의 인식이 가해자 처벌 판단에 미치는 영향," 피해자학연구, Vol.19, No.2, pp.77-96, 2011. 

  27. 김동기, "가정폭력경험이 대학생의 데이트폭력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 폭력허용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Vol.16, pp.135-159, 2009. 

  28. 문지혜, 정혜정, "대학생이 지각하는 성장기 폭력 경험과 폭력허용도 및 데이팅 폭력의 관계," 가족과 가족치료, Vol.23, No.4, pp.627-653, 2015. 

  29. 이윤호, 경찰학, 서울: 박영사, 2006. 

  30. 안상수, 김혜숙, 안미영, "한국형 양가적 성차별주의 척도(K-ASI)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Vol.19, No.2, pp.39-66, 2005. 

  31. 우양호, "공직사회 성차별의 양가적 차원과 요인 검증: 지방공무원을 중심으로," 지방행정연구, Vol.27, No.1, pp.173-202, 2013. 

  32. 장미정, 조은경, "성폭력 피해자 조사시 2차 피해유발 질문의 사용과 수사관의 성역할 고정관념 및 강간통념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 학술발표 논문집, Vol.2, pp.129-137, 2004. 

  33. 김재엽, 이효정, 송아영, "가정폭력 경험이 남자 청소년의 성폭력 가해행위에 미치는 영향: 폭력허용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Vol.17, pp.27-52, 2007. 

  34. 김은주, "강간에 대한 경찰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피해자학연구, Vol.9, No.2, pp.105-128, 2001. 

  35. S. L. Maier, "I Have Heard Horrible Stories...: Rape Victim Advocates' Perceptions of the Revictimization of Rape Victims by the Police and Medical System," Violence Against Women, Vol.14, No.7, pp.786-808, 2008. 

  36. O. Barnett, C. L. Miller-Perrin, and R. D. Perrin, Family Violence across the Life Span, 2nd ed., Sage Publications. 2005. 

  37. S. Nickerson Raymond, "Confirmation Bias: A Ubiquitous Phenomenon in Many Guises," Review of General Psychology, Vol.2, No.2, pp.175-230, 199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