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위키 기반 협력학습에서 스캐폴딩 유형이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caffolding Types in Wiki-based Collaborative Learning on Creativity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9 no.2, 2019년, pp.66 - 78  

황경양 (광주중흥초등학교) ,  김회수 (전남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67명의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위키 기반 협력학습 상황에서 스캐폴딩 유형에 따른 창의성의 차이를 검토하였다. 다변량공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스캐폴딩 유형에 따른 창의성은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세 집단에 따른 사전-사후 창의성의 효과에서는 유창성, 정교성, 성급한 종결에 대한 저항, 창의적 강점은 실험집단 1이 사전-사후 향상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집단 2는 독창성이 타집단에 비하여 사전-사후 향상도가 높았으며, 비교집단은 독창성, 제목의 추상성, 성급한 종결에 대한 저항, 창의적 강점은 사전보다 사후에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위키 기반 협력학습에서 메타인지적 자기 스캐폴딩은 창의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만, 실험집단 1이 독창성에서 향상도가 낮은 결과는 학습자들이 교사 스캐폴딩에는 익숙하나, 메타인지적 자기 질문 스크립트를 통한 독창성 향상에 잘 활용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위키 기반 협력학습에서 학습자의 창의성 신장을 위해서 교사 스캐폴딩 뿐만 아니라 자기 스캐폴딩도 필요하며, 학습자 개인에 따른 차별화된 자기 스캐폴딩 전략을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것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caffolding on creativity in Wiki-based collaborative learning. Wiki-based collaborative learning was implemented over three sessions among 67 sixth graders in an elementary school, and subjec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Group 1 had a teachers' sc...

주제어

표/그림 (11)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개방형 커뮤니티인 위키 기반 협력학습 환경에서 스캐폴딩 유형이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 본 연구는 위키 기반 협력학습 상황에서 스캐폴딩 유형이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위키 기반 협력학습의 장점은? 웹 2.0을 활용한 위키 기반 협력학습(wiki-based collaborative learning)은 학습자들의 흥미와 요구에 부응하여 사고력을 신장시키고, 교과에서 배운 지식과 기능을 통합하는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4-7]. 학습자 주도적인 웹 환경에서 주어지는 많은 정보와 지식을 바탕으로 학습자가 스스로 학습을 계획하고, 정보를 선택하는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기 때문에[8], 학생들의 학습활동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교수 전략으로서 스캐폴딩 제공을 고려할 수 있다[9-11].
웹 2.0을 활용한 스캐폴딩 협력학습의 특징은? 웹 2.0을 활용한 스캐폴딩 협력학습은 시공간의 제약을 벗어나 학습자들 간에 다양한 상호작용 활동을 가능하게 해주며, 최신의 정보들을 검색, 수집하여 주제를 효과적으로 탐구할 수 있도록 스캐폴딩이 가능하게 되었다 [14]. 위키 기반 온라인 협력학습 환경에서는 스캐폴딩을 제공할 때 협력학습을 성공적으로 수행하며[15][16], 동적이고 협력적인 스캐폴딩은 협력학습, 집단 내 대화, 문제해결학습을 지원해 준다[17].
창의적인 목표를 달성하는데에 메타인지 능력이 요구되는 이유는? 위키 기반 협력학습에 참여하는 학습자는 인지 능력 뿐 아니라, 자신의 사고과정을 인식하여 학습의 전 과정을 계속 점검하기 때문에 많은 메타인지 능력이 요구된다[26]. 메타인지는 학습 과정을 계획, 점검 및 평가, 조절하는 것으로[27], 특히 창의적인 목표를 달성하는 과정에서 필요하다[2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6)

  1. S. Moran and V. John-Steiner, Creativity in the making: Vygotsky's contemporary contribution to the dialectic of development and creativity, In R. K. Sawyer, V. John-Steiner, S. Moran, R. J. Sternberg, D. H. Feldman, J. Nakamura, & M. Csikszentmihalyi. Creativity and development, (pp.61-90),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003. 

  2. K. R. Parker and J. T. Chao, "Wiki as a teaching Tool," Interdisciplinary Journal of Knowledge and Learning Objects, Vol.3, pp.57-72, 2007. 

  3. K. A. Peppler and M. Solomou, "Building creativity: collaborative learning and creativity in social media environments," On the Horizon, Vol.19, No.1, pp.13-23, 2011. 

  4. U. Cress and J. Kimmerle, "A systemic and cognitive view on collaborative knowledge building with wikis," International Society of the Learning Sciences, Vol.3, No.2, pp.105-122, 2008. 

  5. J. Larusson and R. Alterman, "Wikis to support the collaborative part of collaborative learning,"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Supported Collaborative Learning, Vol.4, No.4, pp.371-402, 2009. 

  6. B. Mak and D. Coniam, "Using wikis to enhance and develop writing skills among secondary school students in Hong Kong," System, Vol.36, No.3, pp.437-455, 2008. 

  7. K. R. Parker and J. T. Chao, "Wiki as a teaching Tool," Interdisciplinary Journal of Knowledge and Learning Objects, Vol.3, pp.57-72, 2007. 

  8. D. H. Jonassen, Computers in the classroom: Mind tools for critical thinking,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1998. 

  9. R. Azevedo and A. F. Hadwin, "Scaffolding self-regulated learning and meta-cognition - Implications for the design of computer based scaffolds," Instructional Science, Vol.33, No.5, pp.367-379, 2005. 

  10. X. Ge and N. Er, "An online support system to scaffold real-world problem solving," Interactive Learning Environment, Vol.13, No.3, pp.139-157, 2005. 

  11. M. Schutt, "Scaffolding for online learning environment: Instructional design strategies that provide online learner support," Educational Technology, Vol.43, No.6, pp.28-35, 2003. 

  12. 임정훈, 정인성, "웹 기반 가상수업에서의 상호작용 과정에서 발생하는 학습자의 인지적.심리적 변화: 사례 연구," 교육공학연구, 제14권, 제3호, pp.331-357, 1998. 

  13. N. Dabbagh, "Scaffolding: An important teacher competency in online learning," Tech Trends, Vol.47, No.2, pp.39-44, 2003. 

  14. M. Arvaja, "Contextual perspective in analysing collaborative knowledge construction of two small groups in web-based discussion,"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Supported Collaborative Learning (ijCSCL), Vol.2, No.2-3, pp.133-158, 2007. 

  15. S. N. Demetriadis, P. M. Papadopoulos, I. G. Stamelos, and F. Fischer, "The effect of scaffolding students' context-generating cognitive activity in technology-enhanced case-based learning," Computers & Education, Vol.51, No.2, pp.939-954, 2008. 

  16. A. Raes, T. Schellens, B. D. Wever, and E. Vanderhoven, "Scaffolding Information Problem Solving in Web-based Collaborative Inquiry Learning," Computers & Education, Vol.22, No.1, pp.82-94, 2011. 

  17. C. McLoughlin, "Scaffolding: Applications to learning technology supported environments," In B. Collis & R. Oliver(Eds.), Proceedings of Ed Media 99: World Conference on Educational Multimedia and Hypermedia, pp.1827-1832, Charlottesville, VA: AACE, 1999. 

  18. 안수경, 김회수, "시각적.공간적 작동기억 수준과 스캐폴딩 유형이 수학 문장제 성취에 미치는 효과," 교육공학연구, 제29권, 제1호, pp.161-183, 2013. 

  19. C. E. Hmelo-Silver and H. S. Barrows, "Goals and strategies of a problem-based learning facilitator," Interdisciplinary Journal of Problembased Learning, Vol.1, pp.21-39, 2006. 

  20. D. Holton, J. Anderson, and B. Thomas, OPEN Plan for Teaching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Report No.587, Ministry of Education, Wellington, New Zealand, 1997. 

  21. D. Holton and D. Clarke, "Scaffolding and metacogni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Mathematical Education in Science and Technology, Vol.37, No.2, pp.127-143, 2006. 

  22. M. H. Bickhard, Scaffolding and Self Scaffolding: Central Aspects of Development, In L. T. Winegar, J. Valsiner (Eds.) Children's Development within Social Contexts: Research and Methodology, pp.33-52, Erlbaum, 1992. 

  23. 김양희, 김희승, "간호대학생 자기주도적학습 수업요구도와 교수자 스캐폴딩 적용 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17권, 제12호, pp.369-390, 2017. 

  24. 김주연, 웹 기반 문제해결학습에서 스캐폴딩 유형과 메타인지 수준이 실재감, 문제해결수행 및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25. Y. J. An and L. Cao, "Examining the effects of metacognitive scaffolding on students' design problem solving and metacognitive skills in an online environment," MERLOT Journal of Online Learning and Teaching, Vol.10, No.4, pp.552-568, 2014. 

  26. P. Pintrich, D. Smith, T. Garcia, and W. McKeachie, A manual for the use of the Motivated Strategies for Learning Questionnaire, Technical Report 91-B-004. University of Michigan, Ann Arbor, MI, 1991. 

  27. J. H. Flavell, "Metacognition and cognitive monitoring: A new area of cognitive-developmental inquiry," American Psychologist, Vol.34, pp.906-911, 1979. 

  28. M. Csikszentmihalyi, Creativity, New York: Harper Collins, 1996. 

  29. 정현숙, 유경애, "대학생의 메타인지와 학업성취도 및 온라인 노트작성 전략 사용과의 관계," 인문과학, 제46권, pp.317-343, 2010. 

  30. 이용민, "사전학습 기반의 학습자 수행 중심 수업이 창의적 인성, 문제해결,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창의력교육연구, 제15권, 제4호, pp.117-131, 2015. 

  31. L. K. Michaelsen, A. B. Knight, and L. D. Fink, 팀기반 학습[이영민, 전도근 역], 서울: 학지사, 2009. 

  32. D. Kember, "Promoting student-centred forms of learning across an entire university," Higher Education, Vol.58, No.1, pp.1-13, 2009. 

  33. Y. C. Lai and E. M. W. Ng, "Using wikis to develop student teachers' learning, teaching, and assessment capabilities," Internet and Higher Education, Vol.23, pp.1-12, 2010. 

  34. M. C. Clark, H. T. Nguyen, C. Bray, and R. E. Levine, "Team-based learning in a undergraduate nursing course,"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Vol.47, No.3, pp.111-117, 2008. 

  35. R. K. Sawyer, "Group creativity: musical performance and collaboration," Psychology of Music, Vol.34, No.2, pp.148-165, 2006. 

  36. R. W. Woodman, J. S. Sawyer, and R. W. Griffin, "Toward a theory of organizational creativity,"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18, pp.293-321, 1993. 

  37. 김동식, 김수현, 선종삼, "위키기반 협력학습 환경에서 지식 외현화를 지원하는 의미협상 도구의 개발 및 효과 분석," 교육정보미디어연구, 제14권, 제4호, pp.53-83, 2008. 

  38. D. F. Donnelly and S. Boniface, "Consuming and creating: Early-adopting science teachers' perceptions and use of a wiki to support professional development," Computers & Education, Vol.68, pp.9-20, 2013. 

  39. D. Wood, J. Bruner, and G. Ross, "The role of tutoring in problem solving.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Vol.17, pp.89-100, 1976. 

  40. A. S. Palincsar, "Social constructivist perspectives on teaching and learning," Annual Review of Psychology, Vol.49, pp.345-375, 1998. 

  41. 신재한, "스캐폴딩(scaffolding) 전략을 활용한 수업 효과에 한 메타 분석," 초등교육연구, 제24권, 제2호, pp.25-46, 2011. 

  42. J. Bransford, A. Brown, and R. Cocking, (Eds.), How people learn: Brain, mind, experience and school, Washington D. C.: National Academy Press, 2000. 

  43. S. Puntambekar and J. L. Kolodner, "Toward implementing distributed scaffolding: Helping students learn science by design,"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Vol.42, pp.185-217, 2005. 

  44. 문승한, 정미례, "교수-학습의 사회구성주의적 관점과 수업 스캐폴딩," 한국교육, 제27권, 제2호, pp.113-138, 2000. 

  45. C. E. Hmelo-Silver and H. S. Barrows, "Goals and strategies of a problem-based learning facilitator," Interdisciplinary Journal of Problembased Learning, Vol.1, pp.21-39, 2006. 

  46. 이순주, 서현석, "시각적 매개체로 구성된 비계설정이 아동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6권, 제1호, pp.355-377, 2006. 

  47. 이순주, "제시어로 구성된 비계설정에 의한 창의성 신장 연구," 열린교육연구, 제14권, 제1호, pp.185-213, 2006. 

  48. A. S. Palincsar, "The role of dialogue in providing scaffolding instruction," Educational Psychologiest, Vol.21, pp.73-98, 1986. 

  49. 이순주, "경험의 종류를 달리한 비계설정의 효과 연구," 영재교육연구, 제17권, 제1호, pp.51-76, 2007. 

  50. 송해덕, 신서경, "멀티미디어기반 문제중심학습 환경에서 스캐폴딩 설계원리 탐색," 열린교육연구, 제18권, 제3호, pp.149-164, 2010. 

  51. K. Cho and D. H. Jonassen, "The effects of argumentation scaffolds on argumentation and problem solving,"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 Vol.50, No.3, pp.5-22, 2002. 

  52. E. A. Davis and M. C. Linn, "Scaffolding students' knowledge integration: Prompts for reflection in KIE,"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Vol.22, pp.819-837, 2000. 

  53. K. D. Simons and J. D. Klein, "The impact of scaffolding and student achievement levels in a problem-based learning environment," Instructional Science, Vol.35, pp.41-72, 2007. 

  54. R. Azevedo, J. G. Cromley, L. Thomas, D. Seibert, and M. Tron, Online process scaffolding and students' self-regulated learning with hypermedia, A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conference of the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Chicago, IL, 2003. 

  55. B. J. Reiser, "Scaffolding complex learning: The mechanism of structuring and problematizing student work," The Journal of The Learning Sciences, Vol.13, No.3, pp.273-304, 2004. 

  56. D. R. Garrison, T. Anderson, and W. Archer, "Critical thinking, cognitive presence and computer conferencing in distance education," American Journal of Distance Education, Vol.15, No.1, pp.7-23, 2001.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