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출산 후 여성들의 복합무용프로그램 실시가 신체구성, BDNF 및 Serotonin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omplex Dance Program on Body composition, BDNF & Serotonin in After Delivery Women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9 no.2, 2019년, pp.558 - 567  

황예선 (강원대학교 스포츠과학과) ,  오수일 (강원대학교 스포츠과학과) ,  조성희 (강원대학교 무용학과) ,  김상나 (상명대학교 공연예술경영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출산 후 여성 14명을 대상으로 12주간 복합무용프로그램(ballet, contemporary dance, yoga)을 실시한 후 신체구성, BDNF, Serotonin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신체구성의 결과, 시기에 따른 주효과에서는 체지방률에서 두 집단 모두 유의한 감소를 나타냈으며 제지방량에서는 출한 후 만 1년 이내 집단에서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t=-3.821, p=.009). BDNF, Serotonin에서는 집단과 시기간의 상호작용효과를 볼 수 없었으며, 주효과에서도 집단 간, 시기 간 차이를 볼 수 없었다(p>.05). BDNF와 신체구성, Serotonin과의 상관 및 회귀분석 결과, BDNF와 Serotonin이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p=.025) 단순회귀 결과 17.9%의 설명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r=.424, $r^2=.179$).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complex dance program(ballet, contemporary dance, yoga) on the body composition, BDNF, and serotonin of delivery women, by providing this program for 12 weeks to 14 women(within one year delivery: seven woman, 1-3 years after delivery: seven women). In the results ...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육아’라는 공통분모를 가진 여성들을 대상으로 하여 ‘출산 전 내 몸 갖기’의 목표를 가지고 요가, 발레, 현대무용을 접목한 복합무용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출산 후 여성들의 신체구성과 BDNF, Serotonin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봄으로서 신체, 생리적 변화를 제시하여 적절한 운동 프로그램으로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출산 후 여성 14명(출산 후 만 1년 이내 ; 7명, 출산 후 만 1-3년 ; 7명)을 대상으로 12주간 복합무용프로그램(ballet, contemporary dance, yoga)을 실시한 후 신체구성, BDNF, Serotonin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신체구성의 결과, 체지방률의 유의한 감소와 출산 후 만 1년 이내 집단에서 제지방량의 유의한 증가를 볼 수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Serotonin(5-hydroxytryptamine, 5-HT)의 역할은? 한편, 신경세포의 생성과 생존, 인지 및 기억과 관련된 단백질 생성을 자극하는 Serotonin(5-hydroxytryptamine, 5-HT)은 뇌에서 신경전달물질기능을 하는 화학물질 중 하나로 체온조절 및 기억 인지, 공격성, 통증조절 등에 관여하며[11] 수면, 식욕, 성욕, 고통 등을 활성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특히, 식욕의 중요한 조절자로서 탄수화물 섭취와 관련이 높아 음식섭취와 에너지대사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주로 식욕 억제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2].
BDNF와 Serotonin의 관계는? BDNF와 신체구성,Serotonin과의 상관 및 회귀분석 결과, BDNF와 Serotonin이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p=.025) 단순회귀 결과 17.9%의 설명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r=.424, r2=.179). BDNF와 신체구성과는 모든 항목에서 유의한 상관이 나타나지 않았다(p>.
Serotonin이 비만 약물치료에 활용되는 이유는? 한편, 신경세포의 생성과 생존, 인지 및 기억과 관련된 단백질 생성을 자극하는 Serotonin(5-hydroxytryptamine, 5-HT)은 뇌에서 신경전달물질기능을 하는 화학물질 중 하나로 체온조절 및 기억 인지, 공격성, 통증조절 등에 관여하며[11] 수면, 식욕, 성욕, 고통 등을 활성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특히, 식욕의 중요한 조절자로서 탄수화물 섭취와 관련이 높아 음식섭취와 에너지대사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주로 식욕 억제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2]. 이러한 이유로 비만 약물치료에도 많이 활용되고 있는데 Serotonin 작용제의 말초 또는 중추적 투여 후 당질 섭취 비율이 줄어들어 결과적으로 섭취행동 억제에 도움을 준다고 한다[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A. Ohlin and S. Rossner, "Maternal body weight development after pregnancy," International Journal of Obesity, Vol.14, No.2, pp.159-173, 1990. 

  2. Y. Linne, B. Barkiling, and S. Rossner, "Long-term weight development after pregnancy," Obesity Review, Vol.3, No.2, pp.75-83, 2002. 

  3. C. W. Schauberger, B. L. Rooney, and L. M. Brimer, "Factors that influence weight loss in the puerperium," Obesity Gynecol, Vol.79, pp.424-429, 1992. 

  4. 공경민, 김기진, "폐경 후 여성의 운동참여 여부에 따른 체지방 분포 및 혈중 염증관련 지표의 비교," 한국체육학회지, 제46권, 제2호, pp.473-484, 2007. 

  5. 통계청, 2014년 사망원인통계, 2015. 

  6. S. Mc Lenachan, M. G. Lum, M. J. Waters, and A. M. Turnley, "Growth hormone promotes proliferation of adult neurosphere cultures," Growth Hormone and IGF Research, Vol.19, No.3, pp.212-218, 2009. 

  7. V. Pencea, K. D. Bingaman, S. J. Wiegand, and M. B. Luskin, "Infusion of 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 into the lateral ventricle of the adult rat leads to new neurons in the parenchma of the striatum, septum, thalamus, and hypothalamus," The Journal of Neuroscience, Vol.21, No.17, pp.6706-6717, 2001. 

  8. C. L. Roth, C. Elfers, U. Gebhardt, H. L. Muller, and T. Reinehr, "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 and its relation to leptin in obese children before and after weight loss," Metabolism: Clinical and Experimental, Vol.62, No.2, pp.226-234, 2013. 

  9. S. Araki, Y. Yamamoto, K. Dobashi, K. Asayama, and K. Kusuhara, "Decreased plasma levels of 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 and its relationship with obesity and birth weight in obese Japanese children," Obesity Research and Clinical, Vol.8, No.1, pp.63-69, 2014. 

  10. A. H. El-Gharbawy, D. C. Adler-Wailes, M. C. Mirch, K. R. Theim, L. Ranzenhofer, M. Tanofsky-Kraff, and J. A. Yanovski, "Serum 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 concentrations in lean and overweight children and adolescents," The Journal of Clinical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Vol.91, No.9, pp.3548-3552, 2006. 

  11. M. P. Mattson, S. Maudsley, and B. Martin, "BDNF and 5-HT: A Dynamic Duo in Age-related Neuronal Plasticity and Neuro degenerative Disorders," Trends in Neurosciences, Vol.27, No.4, pp.589-594, 2004. 

  12. 김회원, 걷기운동 유형이 복부비만 중년여성의 신체구성과 비만관련 호르몬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13. 박상은, 항비만작용을 갖는 세로토닌 수용체(5-HT2c)항진제의 Isoxazole 유도체 합성과 생물학적 평가, 상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14. M. J. Chen, T. V. Nguyen, C. J. Pike, and A. A. Russo-Neustdt, "Norepinephrine Induces BDNF and Activates the PI-3K and MAPK Cascades in Embryonic Hippocampal Neurons," Cellular Signalling, Vol.19, No.1, pp.114-128, 2007. 

  15. W. S. Charles, L. R. Brenda, and M. B. Loraine, "Factors that Influence Weight Loss in The Puerperium," Obe & Gyn, Vol.79, No.3, pp.424-429, 1992. 

  16. R. Michael, L. Rudolph, and H. Jules, "Obesity," NEJM, Vol.337, No.6, pp.396-405, 1997. 

  17. 임정한, 이수림, 최은미, 강명자, "산후체성분 변화 및 체지방과 BMI의 변화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한 고찰," 한방부인과학회지, 제15권, 제1호, pp.175-184, 2002. 

  18. D. T. Crowell, "Weight Change in The Postpartum Period: A Review of The Literature. Journal Nurse Midwifery, Vol.40, pp.418-423, 1995. 

  19. 김상만, "임신과 출산 후 체중증가 관리," 한국모자보건학회 학술대회 연제집, pp.79-82, 2005. 

  20. 문세희, 한방산후조리를 수행한 여성의 건강상태 및 체성분 변하에 대한 연구, 우석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21. B. L. Rooney and C. W. Schauberger, "Excess pregnancy weight gain and long-term obesity: one decade later," Obesity, Gynecol, Vol.100, No.2, pp.245-252, 2002. 

  22. 전미애, 산후 운동프로그램이 산모의 신체조성과 우울증에 미치는 영향, 충남대학교 사회체육학과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23. 이선옥, 산후운동프로그램이 산욕부의 신체회복과 신체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2. 

  24. 임은숙, 산후운동프로그램이 산모의 산후기능, 신체조성, 산후피로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6. 

  25. E. T. Ang, G. S. Dawe, P. T. Wong, S. Moochhala, and K. Ng, "Alterations in Spatial Learning and Memory after Forced Exercise," Brian Research, Vol.1113, No.1, pp.186-193, 2006. 

  26. C. L. Roth, C. Elfers, U. Gebhardt, H. L. Muller, and T. Reinehr, "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 and its Relation to Leptin in Obese Children Before and After Weight Loss," Metabolism, Vol.62, No.2, pp.226-234, 2013. 

  27. T. Seifert, P. Brassard, M. Wissenberg, P. Rasmussen, P. Nordby, B. Stallknecht, H. Adser, A. H. Secher, "Endurance training engances BDNF release from the human brain," American Journal of Physiology, Regulatory, Interative and Comparative Physiology, Vol.298, No.2, pp.372-377, 2010. 

  28. B. Lebrun, B. Bariohay, E. Moyse, and A. Jean, "Brain - derived - neurotrophic factor(BDNF) and Food Intake Regulation: A Minireview," Auton Neurosci, Vol.126-127, pp.30-38, 2006. 

  29. 김진선, 유산소운동이 월경통증 및 프로스타그란딘, 세로토닌, 베타 엔돌핀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30. 남상남, 김현, 박성진, "장기간 태권도 수련이 중년여성의 도파민, 세로토닌과 스트레스 호르몬 수준에 미치는 영향," 운동과학, 제18권, 제2호, pp.247-256, 2009. 

  31. A. Adell, J. M. Casanovas, and F. Artigas, "Comparative study in the rat of the actions of different types of stress on the release of 5-HT in raphe nuclei and forebrain areas," Neuropharmacology, Vol.36, No.3, pp.735-741, 1997. 

  32. S. Rojas Vega, H. K. Struer, B. Vera Wahrmann, A. Schmidt, W. Bloch, and W. Hollmann, "Acute BDNF and cortisol response to low intensity exercise and following ramp incremental exercise to exhaustion in humans," Brain Research, Vol.1121, No.1, pp.59-65, 200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