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일 노인복지법의 비교법적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Elderly Welfare Act between the Korea and Japanese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9 no.3, 2019년, pp.429 - 440  

이도희 (충남대학교 경영학부)

초록

'고령화' 및 '고령사회'라는 표현은 20세기 말부터 우리사회에 회자되어 온 용어라 하겠다. 즉, 65세 이상의 인구가 차지하는 비율이 점점 높아짐에 따른 결과이다. 무엇보다 인구의 고령화는 사회경제적 차원의 많은 문제를 초래하기에 복지문제차원의 국가적인 문제로 대두되어 왔다. 이미 고령화를 일찍 경험한 선진국은 보건의료서비스, 소득보장 및 장기요양보호문제 등의 노후복지서비스 제공을 위한 국가 재정과 법제도적 차원의 대응방안을 모색하지 않을 수 없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노인복지법이라는 법제적 차원의 선진 일본과의 비교법적 고찰을 실시하였다. 무엇보다 노인복지를 포함한 사회복지법제의 내용은 각 국가의 사회, 정치, 경제, 문화등과 밀접한 관련을 가진다. 또한 고령사회로의 진입에 따른 우리나라의 현실에서 법제도적 차원의 노인복지법에 대한 진단이 필요하다. 즉, 노인이라는 사회적 존재 및 역할에 대한 다양한 이슈는 바로 법제도적 차원의 진단에서 출발한다 하겠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노령화의 선발국가인 일본의 노인복지법을 바탕으로 향후 우리가 당면해야 할 고령 및 초고령사회를 위한 법제도적 장치에의 시사점을 제언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roportion of people aged 65 or older in the world's major advanced nations is increasing to a significant extent. Aging population causes various socioeconomic problems. One of the most important issues is the welfare of the elderly. Advanced foreign countries that have already experienced agin...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보다 고령화의 선발국가인 일본의 노인복지법 및 관련 제도를 고찰과 더불어 고령사회에 접어든 대한민국의 노인복지법제에 대한 진단을 실시하고자 한다. 또한, 고령사회 선발국가인 일본 노인복지법제의 정책적 차원의 벤치마킹 방안을 모색함으로써, 고령사회에 부합한 노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보다 적극적인 방안을 모색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보다 고령화의 선발국가인 일본의 노인복지법 및 관련 제도를 고찰과 더불어 고령사회에 접어든 대한민국의 노인복지법제에 대한 진단을 실시하고자 한다. 또한, 고령사회 선발국가인 일본 노인복지법제의 정책적 차원의 벤치마킹 방안을 모색함으로써, 고령사회에 부합한 노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보다 적극적인 방안을 모색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 한편, 우리나라는 1981년 6월5일 처음 ‘노인복지법’을 제정하였고, 이후 50여 차례의 개정과정을 거치면서 분주하게 고령사회를 준비하여 왔다. 또한, 고령화의 선발 국가들의 대응과정을 벤치마킹함으로써 우리나라의 환경에 맞는 고령사회에 대응한 방안을 수립하고자 노력하여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해결해야할 문제와 과제는 산재해있고, 이에 따른 장치를 마련해야함은 필연적인 상황이다.
  • 그리고 방문간호스테이션은 노인보건법에 규정되어 있는 시설로서 1992년부터 설치되기 시작했다. 이 센터는 재가에서 생활하는 와상노인들을 대상으로 간호사, 보조간호사, 물리치료사, 작업치료사 등을 파견하여 노인들에게 필요로 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무를 수행한다. 거동이 불편한 재가노인들을 보살피기 위한 시설 중에는 ‘1일 서비스센터(Day Service Center)’라는 것이 있다[11].
  •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해결해야할 문제와 과제는 산재해있고[4][8], 이에 따른 장치를 마련 해야함은 필연적인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진 고령사회의 벤치마킹의 일환으로 일본의 노인정책과 관련한 법제의 고찰을 바탕으로 대한민국의 현실에 맞는 대안을 모색하고자 출발하였다.
  • 따라서 우리나라도 더 이상 고령사회에 따른 다각적인 대응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진 고령사회의 벤치마킹의 일환으로 일본의 노인정책과 관련한 법제의 고찰을 바탕으로 대한민국의 현실에 맞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출발하였다.
  • 일본의 노인복지법은 1963년 7월11일(법률 제133호)에 제정과 더불어 다차원적인 제도적 방안을 모색하면서 준비하여 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보다 고령화의 선발국가인 일본의 노인복지 및 노후생활을 고찰하면서, 과연 대한민국의 노인들의 생활은 어떠한가, 제도적 장치는 잘 마련되었는지 등에 대한 제도적 진단을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노인복지법 제정의 목적은? 이와같이 노인복지법 제정의 목적은 ‘노인의 심신의 건강유지 및 생활안정을 위하여 필요한 조치를 강구함 으로써 노인의 복지증진에 기여하기 위함’으로 두었다. 또한, 본 노인복지법의 기본이념(제2조)에서는 노인은 후손의 양육과 국가 및 사회의 발전에 기여하여 온 자로서 존경받으며, 건전하고 안정된 생활을 보장받아야 하고, 노인은 그 능력에 따라 적당한 일에 종사하고 사회적 활동에 참여할 기회를 보장받아야함을 천명하고 있다.
한일의 노인복지법의 목적과 이념의 차이는? 한일의 노인복지법은 우선 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목적과 이념에서 차이를 볼 수 있다. 즉, 한국의 노인복지 법은 노인복지증진에 기여한다는 수동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다. 그러나, 일본은 노인복지에 관한 원리를 밝힘과 동시에, 노인에 대하여 심신건강의 보전 및 생활의 안정을 위해, 필요한 조치를 강조함으로써, 노인복지를 도모하는데 있다고 규정하여, 보건에 관한 내용을 1982년 제정한 노인복지법에서 다루고 있다 [11][21-23]. 또한, 한국에서는 경로 효친사상의 영향으로 노인은 후손의 양육에 기여해온 자로, 존경받아야 한다는 선가정 후복지 개념을 찾아볼 수 있다. 반면에, 일본에서는 사는 보람을 가질 수 있는 편안한 생활이 보장되는 것으로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21][23].
급속한 인구고령화의 이유는? 이러한 고령사회 1 ) 로의 진입은 단순히 인구구조의 문제가 사회전반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2-4]. 이러한 급속한 인구고령화는 첫째, 의학기술의 발달, 생활조건의 개선 등에 기인한 사망률의 저하, 평균수명의 연장 등으로 설명할 수 있다. 둘째로는 의학기술의 발달 등에 따른 아동사망률의 저하, 사회경제적 변화에 따른 여성의 사회활동 참여 증가, 가족단위의 변화 등에 따른 저출산의 영향 등을 들 수 있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인구보건복지협회, 2017년 세계인구현황보고서, 연구보고서, 2017. 

  2. 김미숙 등, 고령화사회의 사회경제적 문제와 정책대응방안 : OECD 국가의 경험을 중심으로, 연구보고서, 2003-14, 2003. 

  3. 김호식, 정미녀, 손경숙, "고령화 사회의 노인문제에 대한 세대간 해결방안," 한국정책과학학회보, Vol.9, No.1, pp.73-93, 2005. 

  4. 이윤호, "고령화와 경제적 쟁점: 논쟁문제 수업," 시민교육연구, Vol.45, No.4, pp.203-228, 2015. 

  5. 매일경제신문사, "정년연장 안착, 양육부담 경감을 : 고령화.저출산," 매경이코노미, 제1907호, 2017.5.10. 

  6. 통계청, 우리나라 노인비율과 노인인구 현황, 연구보고서, 2018. 

  7. www.law.go.kr 

  8. 이재원, "저출산.고령화에 따른 지방재정의 영향과 향후 대책," 지방행정연구, Vol.31, No.1, pp.35-62, 2017. 

  9. 김남순 등, "고령사회 진입에 따른 노인건강 현황과 보건의료.복지서비스 제공 모형,"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경제인문사회연구회 협동연구 총서, 2017-01, 2017. 

  10. 김정순, 일본의 노인복지법제 : 고령사회 법제6, 현안분석2004-18, 한국법제연구원, 2004. 

  11. 김동환, "일본의 고령화 대책," 금융VIP시리즈, Vol.2013, No.10, pp.1-55, 2013. 

  12. 박용근, "독일과 일본의 노인복지법과 그 시사점," 법학연구, Vol.35, pp.163-195, 2012. 

  13. 日本厚生勞?省, 厚生勞?白書, 2004. 

  14. 加藤智章.前田雅子, 社會保障法(第2版), 有斐閣アルマ, 2003. 

  15. 이금자, "21세기 노인복지법의 발전방향 - 한일 노인복지법을 중심으로," 복지상담학연구, Vol.2, No.1, pp.83-108, 2007. 

  16. 조선닷컴, "노인 연령 기준, 70세로 높이려하지만...'고양이 목에 방울 달기'", 전문기자의 '뉴스 저격', 2018. 3.7기사, 

  17. 현외성, "차기정부의 노인복지정책 실천방향," 사회복지정책, Vol.15, pp.183-201, 2002. 

  18. 日本總務省, 總務省統計局勞?力調査, 2002. 

  19. 전대욱, "저출산.고령화에 따른 지역발전의 영향과 향후 대책 : 일본 로컬아베노믹스와 지방창생 전략의 시사점," 지방행정연구, Vol.31, No.1, pp.63-84, 2017. 

  20. 한국노인문제연구소, 노인보건법으로 노인문제 해결:일본, 2013. 

  21. 나용선, "독일.일본.한국의 장기요양보험제도에 관한 비교 연구," 유라시아연구, Vol.8, No.1, pp.255-281, 2011. 

  22. 이정, 고령사회의 도래와 각국의 입법적 대응 및 현황, 한국법제연구원 보고서, 2003. 

  23. 이흥재, "고령화사회에서의 법과 정책 : 논단 ; 高齡者の社會保障法的地位-國民年金法と老人福祉法を中心に," 한일법학연구, Vol.20, pp.203-214, 2001. 

  24. 박용근, "독일과 일본의 노인복지법과 그 시사점," 법학연구, Vol.12, pp.163-195, 2012. 

  25. 최봉석, "독일의 노인복지법제 연구," 토지공법연구, Vol.29, pp.413-436, 2005. 

  26. 이상은, 정찬미, 조영식, "한국에서의 노인보충급여 도입방안: 선진국의 경험과 제도도입 효과분석,"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추계학술대회, pp.41-58, 2017. 

  27. 이현민, 조문기, "노인학대의 현황 및 개입과정에 관한 한일 비교연구," 일본문화연구, Vol.64, pp.247-269, 2017. 

  28. 강동욱, "노인학대에 대한 노인복지법상 대응과 그 개선방안," 법학논총, Vol.25, No.2, pp.67-97, 2018. 

  29. 강동욱, "노인학대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안)상 노인학대범죄의 처벌에 대한 검토와 개선방안," 법과정책연구, Vol.15, No.2, pp.473-495, 2015. 

  30. 신복기, 박은앙, "한국과 일본의 노인학대 관련 법률 비교 연구," 사회복지법제연구, Vol.6, pp.149-178, 201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