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시민옹호인의 역할인식에 관한 연구 - 발달장애인 옹호경험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itizen Advocates' Perception of Their Role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9 no.3, 2019년, pp.112 - 119  

전지혜 (인천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이세희 (가톨릭대학교, 인천장애인종합복지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시민옹호인이 발달장애인과 만남 속에서 어떠한 옹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고 인식하는지 살펴보았다. 시민옹호란 사회적으로 취약한 이들을 대신하여 시민이 옹호하고 대변하는 활동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발달장애인과 함께한 시민옹호인 13인을 4개 그룹으로 나누어 포커스집단면접을 실시하였고 시민옹호인의 역할 개념을 분석하였다. 4개의 대주제와 9개의 하위주제로 구분되었는데, '당사자의 자기변화 이끌기', '당사자의 권한회복하기', '당사자와 한편 되어주기', '당사자의 세상크기 넓히기'의 대주제와 "자기(욕구)문제 인식하고 해결하게 하기', '말하는 역할 부여하기', '서비스 이용관계 주도권 회복하기', '기존(가족, 이웃)관계 속 권한 회복하기', '금전피해 방지하기', '대신 말하기', '공감하고 탄원하기', '지역사회 변화 촉진하기', '당사자의 세상 크기 조금 넓히기' 의 소주제가 도출되었다. 이를 토대로 예방적 옹호로서의 시민옹호, 시민옹호와 전문적 옹호체계의 상보적 관계, 자원봉사 및 활동지원과 시민옹호의 차이점, 시민옹호 사업을 위한 고려사항을 논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role of citizen advocates in advocating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Citizen advocacy refers to activities that advocate and represent citizens on behalf of those who are socially vulnerabl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ole concept of citizen a...

주제어

표/그림 (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면담내용을 녹취한 후 내용을 전사하였고 반복적으로 읽으면서 ‘옹호활동에 대한 역할 인식’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면담내용 중 옹호개념과 관련된 의미 있는 단어나 구절들을 확인하고 이를 추출하여 코드화하면서 의미를 명확히 하고자 하였다. 이에 비슷한 개념을 범주화 하였으며, 1차 분석된 자료를 가지고 두 연구자가 재범주화하며, 상위개념과 하위개념 간 설정을 수차례 논의하며 결과를 도출하였다.
  • 면담내용을 녹취한 후 내용을 전사하였고 반복적으로 읽으면서 ‘옹호활동에 대한 역할 인식’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 이 시점에서 본 연구는 시민옹호인이 자신의 역할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를 알아보고자 한다. 권리옹호가 장애인복지법에서는 학대 피해자의 권리구제에만 초점을 두고 있고, 민법상에서는 장애인 후견인과 같은 한정적 역할을 강조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에서 시민옹호 사업으로 가장 먼저 시작된 것은 어떤 사업이었나? 연구가 부재한데 반하여 시민옹호는 복지사업으로 확산되고 있다. 국내에서 시민옹호 사업은 2016년 과천과 인천에서 민간재단의 지원으로 시작되었는데, 발달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지역주민 조직화 시범사업이었다. 이후 2018년 서울복지재단과 경기복지재단에서 각각 5개 지역의 장애인종합복지관을 선정하여 지역기반 장애인복지사업으로 확대 시행하면서 장애유형을 전장애영역으로 넓혔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주제분석방법의 특징은 무엇인가? 시민옹호인의 역할에 대한 인식을 탐색하기 위하여 주제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주제분석은 무정형의 질적자료를 질서짓는 과정에서 현상이나 경험속에 들어있는 주제를 찾아내는 것인데, 현상의 구조, 과정, 유형, 기제 등을 밝히기 위해 새로운 개념을 발견하거나, 기존의 개념을 재개념화한다[10].
시민옹호란 무엇인가? 시민옹호란 사회적으로 억압 또는 차별의 대상이 되는 이들을 대신하여 시민이 옹호하고 대변하는 활동을 의미한다[1,2]. 시민옹호의 개념에 관한 논의는 장애인의 지역사회참여를 강조한 울펜스버거의 오랜 논의부터 시작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S. G. Ham. & S. J. Lee. (2018). 2018 Plan for the development of citizen advocates for the disabled. Seoul Welfare Foundation(Online). http://opengov.seoul.go.kr/sanction/14629791. 

  2. R. W. Brimer. (2007). Students With Severe Disabilities: Current Perspectives and Practices. New York: McGraw-Hill College. 

  3. W. Wolfensberger. (1972). The Principle of Nomalization in Human Service. Toronto: National Institute on Mental Retardation. 

  4. O'Brien & Wolfensberger. (1980). CAPE: Standards for Citizen Advocacy Program Evaluation. Canadian Association for the Mentally Retarded. 

  5. History of Citizen Advocacy. (2019). 2019 Citizen Advocacy SA Inc. http://citizenadvocacysa.com.au/pages/history-of-citizenadvocacy 

  6. D. S. Lee. (2015). Role of Disabled Welfare Center for Advocacy for Developmental Disabled Persons. Seoul: Association of National Welfare Institutions for the Disabled. 

  7. S. Y. Jeon. (2004). Identification and Conceptual Definition of Advocacy in Social Work Practices. Korean Academy of Clinical Social Work, 1(1), 91-119. 

  8. J. H. Jeon, S. H. Lee & S. H. Cha. (2017). Regional Survey Report for Towns with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cheon: Welfare Center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9. J. Charlton. (2000). Nothing about us without us: Disability Oppression and Empowerment. Los angele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0. I. S. Kim. (2016). Qualitative Method and Analysis of Social Welfare Research. Seoul: Jipmoon Co. 

  11. H. B. Lee. (2011). Size of Communication, Size of Happiness: Speaking Mouth, Not Speaking Mouth. Journal of East Asian social thoughts. 23. 73-107. 

  12. Y. D. Kim. (2017). Independent Advocacy Practice Guide 2. Seoul: Korea Association for the Disabled. 

  13. O'Brien, J. 1987. Learning from Citizen Advocacy Program. Atlanta, GA : Georgia Advocacy Office. 

  14. J. K. Seo. & C. U. Je. & Y. Y. Choi(2016). The Issues related to the Introduction of a Protection and Advocacy System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to Korea: Focused on the Background and History of the relevant Discussions. Journal of Disability and Welfare. 32. 141-17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