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재생에너지 탄소인증제도의 개발 방향성에 관한 연구 : 국제무역규범 및 환경라벨링 관련 무역 분쟁사례분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Renewable Energy Carbon Certification System: Focused on Analysis of International Trade Policy and the Dispute Cases Related to Environmental Labeling 원문보기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Solar Energy Society, v.39 no.6, 2019년, pp.1 - 13  

상민경 ((재)대한기계설비산업연구원) ,  한성애 ((재)대한기계설비산업연구원) ,  박선효 ((재)대한기계설비산업연구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ith the adoption of the Paris Agreement, a new climate regime is intensifying the global interest in reducing greenhouse gas emissions. In the meantime, Korea is preparing to introduce a new renewable energy carbon certification system in order to activate the use of renewable energy and to reduce ...

주제어

표/그림 (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환경라벨링과 관련한 국제 무역 분쟁사례 및 해외 유사 제도를 분석하여 환경라벨링 도입에 있어 고려해야할 시사점을 파악하고, 탄소인증과 관련한 국제규범을 살펴봄으로써 국내 탄소인증제도 설계를 위한 이론적 기반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국내 탄소인증제도 도입에 앞서 인증제도의 국제규범 합치성에 대해 파악하기 위해 환경보호를 목적으로 하는 각 국의 환경라벨링 제도 시행으로 인한 국제 무역 분쟁사례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또한 탄소인증 관련 국제규범 및 해외 인증제도 사례를 살펴봄으로써, 국제 규범에 적합한 탄소인증제도를 설계하기 위해 고려해야하는 사항을 선제적으로 파악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국내에서 개발 중인 재생에너지분야 탄소인증제도의 국제 규범 합치성에 대해 분석하기 위해 환경라벨링을 ‘민간기관 또는 공공기관이 소비자에게 환경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자발적 또는 강제적으로 수여하는 라벨 및 그 관련 제도’로 정의하고, 환경라벨링이 다양한 종류의 환경관련 라벨(인증)제도를 아우르는 넓은 개념인 것으로 정의하였다. 또한 탄소인증제도와 같은 NPR-PPMs 관련 환경라벨링으로 인한 국제 무역 분쟁사례를 분석함으로써, 환경라벨링의 일종인 탄소인증제도의 개발에 있어서 국제무역분쟁의 발생가능성을 감소시키기 위해 반드시 고려해야 하는 사항들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해보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국내 탄소인증제도 도입에 앞서 인증제도의 국제규범 합치성에 대해 파악하기 위해 환경보호를 목적으로 하는 각 국의 환경라벨링 제도 시행으로 인한 국제 무역 분쟁사례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또한 탄소인증 관련 국제규범 및 해외 인증제도 사례를 살펴봄으로써, 국제 규범에 적합한 탄소인증제도를 설계하기 위해 고려해야하는 사항을 선제적으로 파악하였다.
  • 이 외에도 본 논문에서는 환경과 관련된 실제 국제무역 분쟁에서 판정이 어떤 식으로 이루어지는지 확인하기 위해 무역분쟁 사례에 대한 연구들을 참고하였다. Lee(2007)7), Shim(2015)8)에서는 WTO 및 GATT 체제 하에서의 환경보호 관련 무역에 관한 논의에 대해 살펴보고, 미국의 참치-돌고래 사건, 미국 휘발유 사건, EU 석면 사건 등 대표적인 환경관련 무역 분쟁 사례에 대하여 분석하여 국제규범 내에 환경보호를 위한 규범적 노력의 필요성에 대해 언급하였다.
  • 또한 탄소라벨링에 대해 다룬 연구의 경우 탄소라벨과 관련한 국제 표준의 제정5 이전에 수행된 연구이기 때문에 국제 표준의 필요성 외의 다른 제안이 부족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검토의 대상을 탄소라벨링으로 한정하고, 국제 법규 및 사례 분석을 통해 국제 무역체제에 적합한 국내 탄소인증제도 설계를 위한 최소한의 요건을 도출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해외에서 시행되고 있는 탄소인증제도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가? 최근 기후변화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며 EU, 영국, 프랑스, 미국, 중국 등의 국가에서 각각 ‘Eco-label’,‘Carbon Reduction Label’, ‘Indice Carbone’, ‘Certified Carbon Free’, ‘Product carbon footprint’ 등 이름으로 탄소인증제도를 시행 하고 있다. 그러나 하단의 Table 1을 살펴보면 알 수 있듯이 탄소 인증에 있어서의 고려 범위(consideration range), 라벨 표기 사항(Lable) 등에서 국가별로 차이가 존재한다.
국내의 대표적인 탄소라벨링인 '탄소 성적표지'와 '국제통용 발자국'은 무엇을 통해 탄소 배출량을 측정 및 표시하고 있는가? 탄소성적표지제도의 방법론은 세계지속가능발전기업위원회(World Business Council for Sustainable Development, WBCSD)의 “사업자 배출량 산정 및 보고 기준” 및 ISO 14025, ISO 14040 시리즈, ISO 14064의 방식을 차용하고 있으나 국제적으로 통용되기에는 어려움이 있어, 이를 보완하기 위해 국제통용발자국제도는 ISO/TS 14067 등의 국제기준을 기반으로 설계되었다. 두 가지 탄소라벨링은 모두 LCA방법론을 통해 탄소배출량을 측정· 표시하고 있으나, 일반 제품 및 서비스를 대상으로 하고 있어 탄소인증에 있어서 재생에너지 설비만의 특성을 고려하지 못하고 있다.
국내의 대표적인 탄소라벨링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가? 국내에서 역시 환경보호를 목적으로 하는 탄소라벨링을 진행 중에 있으며, 대표적인 탄소라벨링으로는 환경부의 ‘탄소성적표지’ 및 한국생산기술연구원의 ‘국제통용발자국’이 있다. 탄소성적표지제도의 방법론은 세계지속가능발전기업위원회(World Business Council for Sustainable Development, WBCSD)의 “사업자 배출량 산정 및 보고 기준” 및 ISO 14025, ISO 14040 시리즈, ISO 14064의 방식을 차용하고 있으나 국제적으로 통용되기에는 어려움이 있어, 이를 보완하기 위해 국제통용발자국제도는 ISO/TS 14067 등의 국제기준을 기반으로 설계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Third Energy Master Plan,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2019. 

  2. Lee, E. S. and Park, E. J., Environmental Labeling Programs for Harmonization between Trade and Environment, International trade law, No. 77, pp. 9-38, 2007. 

  3. Lee, M. A., Environmental Labelling Schemes and the TBT Agreement :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Schemes of WTO Members, Graduate School of Korea University, pp. 1-109, 2011. 

  4. Kim, H. J., Some Legal Questions Regarding the Labelling under TBT Agreement- With a Focus on the Labelling for Fisheries -, Ewha Law Journal, Vol. 18, No. 1, pp. 387- 419, 2013. 

  5. Lee, L. R., A Legal Study on the Carbon labelling from the Perspective of International Trade Law, International trade law, No. 100, pp. 73-98, 2011. 

  6. Lee, S. Y., The Compatibility of Carbon Labelling Schemes with WTO Norms, The Korean Journal of International Law, Vol. 56, No. 4, pp. 167-193, 2011. 

  7. Lee, J. S., The case study on Trade and Environment under GATT/WTO, Graduate School of Myongji University, pp. 1-133, 2008. 

  8. Shim, Y. G., A Normative Effectiveness of Environmental Protection in the WTO Multilateral Trading System - With Special Reference on the Settlement Cases of Environment-related Trade Disputes of GATT Article 20 -, Korean Journal of International Economic Law, Vol. 13, No. 2, pp. 77-99, 2015. 

  9. Feng, Y., A Study on the Labeling System: with reference to WTO TBT recent cases, The Graduate School of Yonsei University, pp. 1-99, 2018. 

  10. Agreement On Technical Barriers To Trade, WTO, 1995. 

  11. GATT 1994, GATT, 1994. 

  12. ISO 14040:2006, Environmental management - Life cycle assessment - Principles and framework,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 2006. 

  13. ISO 14044:2006, Environmental management - Life cycle assessment - Requirements and guidelines,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 2006. 

  14. ISO 14064:2018, Greenhouse gases,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 2018. 

  15. ISO 14065:2013, Greenhouse gases - Requirements for greenhouse gas validation and verification bodies for use in accreditation or other forms of recognition,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 2013. 

  16. ISO 14066:2011, Greenhouse gases - Competence requirements for greenhouse gas validation teams and verification teams,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 2011. 

  17. ISO 14067:2018, Greenhouse gases - Carbon footprint of products - Requirements and guidelines for quantification,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 2018. 

  18. ISO/IEC 17011:2017, Conformity assessment - Requirements for accreditation bodies accrediting conformity assessment bodies,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 2017. 

  19. ISO/IEC 17020:2012, Conformity assessment - Requirements for the operation of various types of bodies performing inspection,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 2012. 

  20. ISO 17029:2018, Conformity assessment - General principles and requirements for validation and verification bodies,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 2018. 

  21. Kim, M. J., Analysis on WTO Adjudication of US-Mexico Tuna Dispute II, Korean Journal of International Economic Law, Vol. 10, No. 2, pp. 117-166, 2012. 

  22. Kim, J. S., The WTO's Competency in Handling EU-US GMOs Trade Disputes, Journal of International Area Studies, Vol. 10, No. 1, pp. 365-387, 2006.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