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난대상록활엽수종 조림지 활착률과 영향인자
The Characteristics and Survival Rates of Evergreen Broad-Leaved Tree Plantations in Korea 원문보기

한국산림과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v.108 no.4, 2019년, pp.513 - 521  

박준형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바이오소재연구소) ,  정수영 (국립산림과학원 난대아열대산림연구소) ,  이광수 (국립산림과학원 난대아열대산림연구소) ,  이호상 (국립산림과학원 난대아열대산림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전국 난대상록활엽수종의 조림지에 대한 생육환경 및 입지환경 특성과 활착률간의 관계특성으로부터 조림적지 의사결정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1997년부터 후박나무(Machilus thunbergii), 구실잣밤나무(Castanopsis sieboldii) 등 난대상록활엽수 10종의 신규 조림지 180ha의 148개 조사구에 대한 활착률을 모니터링 한 결과 평균 활착률은 67.0±26.9%이었다. 활착률 편차가 크게 나타난 원인은 조림 적지에 관한 실증적 현지 검증이 부족한 상황에서 다양한 입지를 대상으로 시험 조림이 이루어진 결과로 판단된다. 각 조사구별 11개 생육환경 및 입지환경 특성, 조림전후 강수 등의 정성적 설명요인과 활착률의 정량적 요인 간의 관계특성으로부터 수량화 이론 I에 따른 활착률에 대한 기여도를 분석한 결과, 조림지 상층임분 울폐도, 풍노출도, 조림 전 누적 강수량, 경사도 등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ith rapid climate change and increasing global warming, the distribution of evergreen broad-leaved trees (EBLTs) is gradually expanding to the inland regions of Korea.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analyze the survival rate of 148 EBLT plantations measuring 180 ha and to determine the optimal...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특히 조림지 활착률 모니터링을 통한 기후변화에 따른 남부지역을 중심으로 난대상록활엽수의 조림 시험 규모가 점차 확대되고 있는 시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과거 조림사례지에 대한 활착률과 조림지 생육환경 특성 간의 관계로부터 성공조림지 조성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난대상록활엽수종 주요 조림지의 다양한 입지 생육환경특성 등과 활착률 간의 관계특성으로부터 난대 상록활엽수종의 활착률 추정함으로써 난대상록활엽수의 성공조림지 조성을 위한 대상지 선정에 있어 초기 의사결정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조림사례지의 생육환경 요인 특성과 활착률간의 관계특성을 파악하고자 실시하였다. 특히 조림지 활착률 모니터링을 통한 기후변화에 따른 남부지역을 중심으로 난대상록활엽수의 조림 시험 규모가 점차 확대되고 있는 시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과거 조림사례지에 대한 활착률과 조림지 생육환경 특성 간의 관계로부터 성공조림지 조성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난대상록활엽수의 성공조림지 조성을 위하여 조림 초기 활착률과 묘목특성, 기상, 입지생육환경 특성 등의 관계특성을 분석하여 해당수종의 조림기술 개발 및 조림적지에 관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난대상록활엽수의 조림시험지를 대상으로 난대상록활엽수 10종의 신규 조림지 180 ha에 대한 활착률을 모니터링 한 결과 148개 조사구의 평균 활착률은 67.
  • 입지환경요인 등의 정성적 변량을 가진 설명변수와 양적변량 활착률 종속변수간의 관계 특성을 분석하고 이들이 활착률에 미치는 영향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정성적 변량으로 구성된 입지환경 등 설명요인의 각 요인별 수량화를 거친 후 이들이 정량적 변량으로 구성된 활착률에 미치는 기여도를 추정하고자 수량화이론 I을 이용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조림사례지의 생육환경 요인 특성과 활착률간의 관계특성을 파악하고자 실시하였다. 특히 조림지 활착률 모니터링을 통한 기후변화에 따른 남부지역을 중심으로 난대상록활엽수의 조림 시험 규모가 점차 확대되고 있는 시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과거 조림사례지에 대한 활착률과 조림지 생육환경 특성 간의 관계로부터 성공조림지 조성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난대상록활엽수종 주요 조림지의 다양한 입지 생육환경특성 등과 활착률 간의 관계특성으로부터 난대 상록활엽수종의 활착률 추정함으로써 난대상록활엽수의 성공조림지 조성을 위한 대상지 선정에 있어 초기 의사결정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조림지의 경사도는 활착률과 어떤 상관관계를 가지는가? , 2011)는 본 연구에서 활착률이 완경사지에서 높게 나타난 결과와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급경사지 보다 완경사지는 토양수분 조건이 양호하고, 유효토심이 높게 나타나 조림묘의 활착에 유리한 입지 생육환경조건을 지닌 것으로 판단된다. 
난대상록활엽수종 조림지의 평균 활착률은 얼마인가? 본 연구는 전국 난대상록활엽수종의 조림지에 대한 생육환경 및 입지환경 특성과 활착률간의 관계특성으로부터 조림적지 의사결정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1997년부터 후박나무(Machilus thunbergii), 구실잣밤나무(Castanopsis sieboldii) 등 난대상록활엽수 10종의 신규 조림지 180ha의 148개 조사구에 대한 활착률을 모니터링 한 결과 평균 활착률은 67.0±26.9%이었다. 활착률 편차가 크게 나타난 원인은 조림 적지에 관한 실증적 현지 검증이 부족한 상황에서 다양한 입지를 대상으로 시험 조림이 이루어진 결과로 판단된다.
난대상록활엽수종의 조림지 활착률에 주된 영향을 주는 요인은 무엇인가? 9%이었다. 그리고 조사구별 11개 생육환경 및 입지환경 특성, 조림 전후 강수 등의 설명요인과 활착률 간의 관계특성 으로부터 수량화 이론 I의 통계적 절차를 수행한 결과, 난대상록활엽수종의 조림지 활착률에 주된 영향을 주는 요인은 조림지 상층임분 특성(개벌지, 수하식재지), 풍노 출도, 조림 전 2주 동안의 누적 강수량, 경사도 등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조림예정지 조성을 위한 상층임분 벌채 단계에서 유시에 반음수인 난대 상록활엽수의 생육환경 조성을 위하여 개벌보다는 상층 임분의 임상, 직경급, 흉고단면적, ha당 잔존본수, 수고, 임령(생육단계), 임분구조 등을 고려하여 평균 흉고단면 적을 기준으로 한 상층임분밀도 조정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Altman, J., Dolezal, J., Cerny, T. and Song, J.S. 2013. Forest response to increasing typhoon activity on the Korean peninsula: evidence from oak tree-rings. Global Change Biology 19: 498-504. 

  2. Burdett, A.N., Herring, L.J. and Thompson, C.F. 1984. Early growth of planted spruce. Canadian Journal of Forest Research 14(5): 644-651. 

  3. Chung, Y.G., Kim, D.H. and Kim, C.M. 2010. Development of stem profile and taper equation for Quercus acuta in Jeju experiment forests.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99(1): 57-61. 

  4. Jung, S.Y., Lee, K.S., Yoo, B.O., Park, Y.B., Ju, N.G., Kim, H.H. and Park, J.H. 2014. Freezing injury characteristics of evergreen broad-leaved trees in southern urban area. Korea.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103(4): 528-536. 

  5. Korea Forest Service (KFS). 1989. Forest site survey manual. pp. 58. 

  6. Korea Forest Service (KFS). 2002. Restoration and development for bio-technology in warm temperate forest; Industry, academy, and government cooperative study IV. Korea. Korea Forest Service, Korea. pp. 164. 

  7. Korea Forest Service (KFS). 2018. Annual Action Plan of Forest Resources. Korea Forest Service, Korea. pp. 338. 

  8. Komatsu, H., Kume, T. and Otsuki, K. 2008. The effect of converting a native broad-leaved forest to a coniferous plantation forest on annual water yield: A paired catchment study in northern Japan.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255(3-4):880-886. 

  9.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NIFoS). 2014. Resource evaluation and distribution of warm forest species in southern Korea. Korea. Korea Forest Service, Korea. pp. 23. 

  10. Park, J.H., Ju, N.G., Yoo, B.O., Lee, K.S., Yoo, S.B. and Jung, S.Y. 2016. Development of vegetation structure by thinning intensity of Quercus acuta stands in Wando region. Korea.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50(1): 73-81. 

  11. Park, N.C., Lee, K.S. and Jung, S.Y. 2009. Estimation of site productivity of Pinus densiflora by the soil physicochemical properties.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42(3): 160-166. 

  12. Park, S.U., Koo, K.A. and Kong, W.S. 2016. Potential Impact of Climate Change on Distribution of Warm Temperate Evergreen Broad-leaved Trees in the Korean Peninsula.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51(2): 201-217. 

  13. SAS Institute Inc. 2003. SAS/STAT Statistical software, Version 9.1. SAS publishing Cary, NC. 

  14. Seo, U.K., Baek, G., Jo, C., Yoo, B.O., Lee, K.S. Jeong, J. and Kim, C. 2017. Allometric equations for biomass estimation and biomass expansion factors in a Machilus thunbergii plantation. Journal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 51(2): 17-27. 

  15. Song, K.S., Jeon, K.S., Choi, K.S. Choi, J.Y., Sung, H.I. and Kim J.J. 2014. Growth characteristics of Daphniphyllum macropodum seedlings of Warm-temperate landscape tree by shading and fertilization treatment: Research on seedling production of D. macropodum by container nursery for meteorological disasters. Journal of Climate Research 9(1):65-76. 

  16. Wang, X.H., Kent M. and Fang X.F. 2007.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in Eastern China: Its ecology and conservation and the importance of resprouting in forest restoration.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245(2007): 76-87. 

  17. Wang, S., Fu, B.J., Yao, X.L. and Zhou, J. 2012. Soil moisture and evapotranspiration of different land cover types in the Loess Plateau. Hydrology and Earth System Sciences 16: 2883-2892. 

  18. Yoo, B.O., Park, J.H., Park, Y.B., Jung, S.Y. and Lee, K.S. 2016. Assessment of the distributional probability for evergreen broad-leaved forests (EBLFs) using a Logistic Regression model.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9(1): 94-105. 

  19. Yun, J.H., Nakao K., Park, C.H., Lee, B.Y. and Oh, K.H. 2011. Change Prediction for Potential Habitats of Warm-temperate Evergreen Broad-leaved Trees in Korea by Climate Change 25(4): 590-600. 

  20. Yang, A.R., Hwang, J.H., and Cho, M.S. 2014. Regional early growth performances of planted Chamaecyparis obtusa seedlings in relation to site properties. Korea.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103(3): 375-38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