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기오염 인식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녹지환경 만족도의 조절효과
The Effect of the Perception of Air Pollution on Life Satisfaction and the Moderating of Said Effect with Green Spaces 원문보기

한국산림과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v.108 no.4, 2019년, pp.639 - 644  

이성은 (부산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대기오염에 대한 인식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녹지환경 만족도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2018년 사회조사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조절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총 37,461명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녹지환경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삶의 만족도가 증가하였으며, 대기오염에 대한 인식이 부정적일수록 삶의 만족도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녹지환경에 대한 만족도는 대기오염 인식과 삶의 만족도 사이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시 말해, 녹지환경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대기오염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완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삶의 만족도 저하 예방을 위해 녹지 환경이 중요한 자원으로 고려되어야 하며, 지역사회에서 녹지 환경의 확장과 개선을 위한 다양한 방안들이 개발될 필요가 있음을 보여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green space satisfa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ption of air pollution and life satisfaction. To achieve this, the current study employed data from the 2018 Social Survey, and a sample of 37,461 participants was analyzed...

주제어

표/그림 (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런데 실제로 대기오염이 인간의 정서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녹지환경이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구체적으로 검토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지역사회의 대기오염에 대한 인식이 삶의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고 이러한 관계에서 녹지환경에 대한 만족도가 조절효과를 가지는지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대기오염이 인간의 삶에 미치는 영향과 녹지환경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증진키시고 보다 쾌적한 환경조성을 위한 정책 방향 제시에 실증적인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지역사회의 대기오염에 대한 인식이 삶의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고 이러한 관계에서 녹지환경에 대한 만족도가 조절효과를 가지는지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대기오염이 인간의 삶에 미치는 영향과 녹지환경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증진키시고 보다 쾌적한 환경조성을 위한 정책 방향 제시에 실증적인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대기오염 인식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이러한 영향관계에서 녹지환경 만족도가 조절효과를 가지는지 분석하는 것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 먼저 대기오염 인식이 부정적일수록 삶의 만족도가 저해됨이 확인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기오염 완화 효과와 관련된 수목의 특징은? 한편 녹지는 공기오염을 순화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음이 제시되고 있는데 수목은 잎과 가지에 의한 먼지 저감효과와 함께 자동차 배출 물질 및 이산화탄소를 흡수함으로써 공기를 정화하는 효과를 가져 올 수 있다(Kim and Jang, 2000). 이러한 녹지의 대기오염 완화 효과는 여러 연구들에 의해 밝혀지고 있는데 녹지면적이 증가할수록 대기 중의 NO2 농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Hong et al.
대기오염이 신체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은? 경제성장과 보다 나은 삶의 질에 대한 욕구의 증가와 함께 환경문제는 중요한 화두가 되고 있으며 최근 대기오염은 큰 관심을 이끄는 사회적 이슈로 부각되고 있다 (Kim and Jin, 2018). 대기오염은 국민들의 일상생활의 다양한 영역에 많은 영향을 미칠 수 있는데 신체적 건강에 있어 아황산가스나 오존과 같은 대기오염 물질은 비염 환자 수 및 알레르기 질환의 위험을 증가시키며, 미세먼지는 천식 환자 수를 증가시키는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Kim et al., 2012; Cho et al.
녹지가 인간의 심리적 안녕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의 예시는? 또한 녹지는 인간의 심리적 안녕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구체적인 예로 산림치유 프로그램이 행복감 및 회복탄력성의 증진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제시되고 있고(Park et al., 2018), 녹지 경관을 조망하는 것만으로도 긴장 및 불안, 우울이 감소하고 스트레스가 완화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Kim et al., 20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Allison, P.D. 1999. Logistic regression using the SAS system: theory and application. SAS Institute Inc. North Carolina, U.S.A. pp. 48-51. 

  2. Cho, I.H., Ju, H.J. and Kwon, G.H. 2013. The impact analysis of air pollutants on increasing environmental disease: Focusing on allergic rhinitis and asthma in Seoul Metropolitan City. Seoul Studies 14(2): 97-114. 

  3. Cho, Y.S., Lee, J.T., Kim, Y.S., Hong, S.C., Kim, H., Ha, E.H., Park, H.S. and Lee, B.E. 2003. A time-series study of ambient air pollution in relation to daily mortality in Seoul, 1998-2001.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19(6): 625-637. 

  4. Choi, T.Y., Moon, H.G., Kang, D.I. and Cha, J.G. 2018. Analysis of the seasonal concentration differences of particulate matter according to land cover of Seoul: Focusing on forest and urbanized area.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27(6): 635-646. 

  5. Gwangju Metropolitan City. 2019. Gwangju 30 million trees planting master plan released. http://www.gwangju.go.kr/BD_0000000027/boardView.do?seq297824&menuIdgwangju0303010000&boardIdBD_0000000027. (2019. 6. 30). 

  6. Hong, J.S., Kim, H.Y. and Lee, S.J. 2007. An analysis of the effects of urban characteristics on $NO_2$ concentrations in Seoul. Seoul Studies 8(3): 117-130. 

  7. Kim, D.Y. and Jin, E.A. 2018. The effects of air pollution (fine dust) on happiness and its monetary value. Journal of Korea Planning Association 53(4): 205-219. 

  8. Kim, H.M., Heo, J.A., Park, Y.H. and Lee, J.T. 2012. The effect of air pollution on allergic diseases considering meteorological factors in Metropolitan cities in Korea.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38(3): 184-194. 

  9. Kim, J.H., Kim, W.T. and Yoon, Y.H. 2013. Beneficial effect of green landscape on relieving stress of citizen in urban area.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7(4): 516-523. 

  10. Kim, M.J., Lee, D.T., Song, G.S. and Pang, S.K. 2015. Effects of short-term air pollution exposure and acute exercise on pulmonary function and physiological response in healthy young adul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Living Environmental System 22(1): 38-45. 

  11. Kim, W.S. and Jang, J.H. 2000. A study on reducing roadside PM10 concentrations for walkable streets in Seoul. Seoul Studies 1(2): 31-47. 

  12. MacKerron, G. and Mourato, S. 2009. Life satisfaction and air quality in London. Ecological Economics 68(5): 1441-1453. 

  13. National Law Information Center. 2019. Special Act on Fine Dust Reduction and Management. http://www.law.go.kr/lsInfoP.do?lsiSeq208137&efYd20190326#0000. (2019. 3. 26.). 

  14. Park, C.E., Kim, D.J., Shin, C.S. and Kim, Y.H. 2018. Effects of forest healing programs on resilience and happiness of employees- For university employees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32(6): 667-675. 

  15. Park, H.J., Woo, K.S., Chung, E.K., Kang, T.S., Kim, G.B., Yu, S.D. and Son, B.S. 2015. A time-series study of ambient air pollution in relation to daily mortality count in Yeosu.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24(1): 66-77. 

  16. Seo, M.S. and Cho, H.C. 2017. The effect of PM10 and PM2.5 on life satisfaction: Focusing on WTP. Environmental and Resource Economics Review 26(3): 417-449. 

  17. Seocho Gu. 2019. Seocho Gu Office will create eco-schools for avoiding fine dust and heat wave. http://www.seocho.go.kr/site/seocho/ex/bbs/View.do?cbIdx61&bcIdx337863. (2019. 6. 29). 

  18. Statistics Korea. 2018. 2018 social survey results.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1/6/3/index.board?bmoderead&bSeq&aSeq371501&pageNo1&rowNum10&navCount10&currPg&searchInfo&sTargettitle&sTxt. (2018. 11. 6). 

  19. Van den Berg, A.E., Maas, J., Verheij, R.A. and Groenewegen, P.P. 2010. Green space as a buffer between stressful life events, and health. Social Science & Medicine 70(8): 1203-1210. 

  20. Zhang, F. 2018. The impact of particulate matter on outdoor leisure activities. (Dissertation).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