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전염성 연속종의 한약 치료에 대한 임상 연구 동향 - 2000년대 이후 발표된 임상 연구 논문을 중심으로 -
Review of Clinical Studies of Herbal Medicine Treatment for Molluscum Contagiosum 원문보기

大韓韓方小兒科學會誌 = The journal of pediatrics of Korean medicine, v.33 no.1, 2019년, pp.1 - 16  

도태윤 (경희대학교 대학원 소아과학교실) ,  박슬기 (경희대학교 대학원 소아과학교실) ,  이선행 (경희대학교 대학원 소아과학교실) ,  이진용 (경희대학교 대학원 소아과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recent clinical studies on the effect of herbal medicine in molluscum contagiosum in China, and to seek better methods to treat and study for molluscum contagiosum in Korea. Methods We searched the clinical studies from the China Academic Journa...

Keyword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비해서 중의학에서는 전염성 연속종에 한의학적 치료가 적용되고 있음을 검색을 통하여 확인하였기에, 본 연구에서는 중국에서 2000년도 이후에 진행되고 있는 전염성 연속종의 한약 치료에 대한 임상 연구를 분석하여 치료 동향 및 유효성을 평가하고, 향후 전염성 연속종에 대하여 한약 치료를 적용할 수 있는 기본적인 자료로 삼고자 한다.
  • 이러한 상황에서 전염성 연속종을 한의학적으로 치료하기 위하여 어떤 치료법이 실제로 임상에서 적용되고, 그 유효성이 어느 정도인지 알아보기 위하여 국내에서 시행된 연구를 찾아보았으나, 그 수가 많지 않았다. 따라서 이미 많은 연구가 시행된 중국의 임상 연구를 살펴보고 전염성 연속종의 치료를 위해 최근 사용되는 치료법에 대한 정보를 얻어, 그 결과를 실제 임상에 적용하기 위한 목적으로 고찰을 시행하였다. 비교적 최신의 임상 연구 동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2000년 이후에 시행된 임상 연구를 대상으로 하여 중국 전자 데이터베이스인 CNKI를 검색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전염성 연속종의 치료에 한약을 적용한 RCT, CCT, Case study를 포함한 27편의 문헌이 선정되었다.
  • 본 연구는 전염성 연속종의 다양한 한약 치료 방법을 고찰하기 위하여 전염성 연속종과 관련된 RCT, CCT, Case study를 모두 선정하였다. 이를 통하여 전염성 연속종의 한약 치료에 대한 다양한 방법을 확인하였지만, 그 대상이 되는 논문의 질이 높지 않다는 한계를 가지게 되었다.
  • 하지만 이러한 한계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한국에서 그동안 많은 연구가 진행되지 않았던 전염성 연속종의 한약 치료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꾸준한 임상 연구를 통하여 진료 영역을 넓히고 있는 중의학의 전염성 연속종 치료를 정리함으로써 그 기반을 제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바이러스 감염에 대한 치료는 특수 요법은 없고 대부분 대증요법으로 치료하게 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염성 연속종 (Molluscum contagiosum)은 무엇인가요? 전염성 연속종 (Molluscum contagiosum)은 Poxvirus에 속하는 Molluscum contagiosum virus (MCV-1,2)에 의하여 발생되는 질환으로, 만성적인 국소 감염을 일으킨다1). 임상적으로 중심부가 함몰된 직경이 2-5mm의 둥근 반구형 구진이 특징인 전염성 질환이다2) . 전염성 연속종은 전 세계적으로 보고되고 있는 질환으로, 소아에서 흔한 질환이며, 미국에서는 전체 소아의 5% 이내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3).
전염성 연속종의 서양 의학적 치료 방법에는 어떤 것들이 있나요? 전염성 연속종의 서양 의학적 치료 방법으로는 냉동요법 (Cryotherapy), 큐렛이나 작은 핀셋을 이용한 소파술을 사용하거나 국소 발포제 (Topical blistering agent)인 Cantharidin9) , 유사분열 억제제인 Podophyllotoxin10) 등이 최선의 치료법 (First-line therapy)으로 제시되고 있으며, 그 외에도 Imiquimod 등을 이용한 면역 치료11,12) 등이 시도되고 있다. 전염성 연속종에 사용되는 서양 의학적 치료 중 냉동요법이나 소파술은 효과적이긴 하지만, 국소적인 통증과 출혈을 종종 유발하며, 소아가 치료에 순응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전염성 연속종의 한의학적 치료에 대한 임상연구가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전염성 연속종의 서양 의학적 치료 방법으로는 냉동요법 (Cryotherapy), 큐렛이나 작은 핀셋을 이용한 소파술을 사용하거나 국소 발포제 (Topical blistering agent)인 Cantharidin9) , 유사분열 억제제인 Podophyllotoxin10) 등이 최선의 치료법 (First-line therapy)으로 제시되고 있으며, 그 외에도 Imiquimod 등을 이용한 면역 치료11,12) 등이 시도되고 있다. 전염성 연속종에 사용되는 서양 의학적 치료 중 냉동요법이나 소파술은 효과적이긴 하지만, 국소적인 통증과 출혈을 종종 유발하며, 소아가 치료에 순응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특히 문제가 되는 것은 통증으로, 소아에 있어서 이는 질환 자체보다 더 심각할 수 있다13). 따라서 서양 의학적 치료 외의 다른 치료법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7)

  1. Ahmed AM, Madkan VK, Mendoza N, Tyring SK, Lowy DR. Viral diseases. In: Wolff K, Goldsmith LA, Katz SI, Gilchrest BA, Paller AS, Leffell DJ, editors. Fitzpatrick's dermatology in general medicine. 7th ed. New York: McGraw-Hill, 2008:1991-3. 

  2. Lewis EJ, Larn M, Crutchfield CE. An update on molluscum contagiosum. Cutis 1997;60(1):29-34. 

  3. Dohil MA, Lin P, Lee J, Lucky AW, Paller AS, Eichenfield LF. The epidemiology of molluscum contagiosum in children. J Am Acad Dermatol. 2006;54(1):47-54. 

  4. Zhang Q, Davis JC, Lamborn IT, Freeman AF, Jing H, Favreau AJ, Matthews HF, Davis J, Turner ML, Uzel G, Holland SM, Su HC. Combined immunodeficiency associated with DOCK8 mutations. N Engl J Med. 2009;361(21):2046-55. 

  5. Berger EM, Orlow SJ, Patel RR, Schaffer JV. Experience with molluscum contagiosum and associated inflammatory reactions in a pediatric dermatology practice: the bump that rashes. Arch Dermatol. 2012;148(11): 1257-64. 

  6. Brown J, Janniger CK, Schwartz RA, Silverberg NB. Childhood molluscum contagiosum. Int J Dermatol. 2006;45(2):93-9. 

  7. Basdag H, Rainer BM, Cohen BA. Molluscum contagiosum: to treat or not to treat? Experience with 170 children in an outpatient clinic setting in the northeastern United States. Pediatr Dermatol. 2015;32(3):353-7. 

  8. van der Wouden JC, van der Sande R, Kruithof EJ, Sollie A, van Suijlekom-Smit LW, Koning S. Interventions for cutaneous molluscum contagiosum. Cochrane Database Syst Rev. 2017;5:CD004767. 

  9. Coloe J, Morrell DS. Cantharidin use among pediatric dermatologists in the treatment of molluscum contagiosum. Pediatr Dermatol. 2009;26(4):405-8. 

  10. Syed TA, Lundin S, Ahmad M. Topical 0.3% and 0.5% podophyllotoxin cream for self-treatment of molluscum contagiosum in males. A placebo-controlled, double-blind study. Dermatology. 1994;189(1):65-8. 

  11. Liota E, Smith KJ, Buckley R, Menon P, Skelton H. Imiquimod therapy for molluscum contagiosum. J Cutan Med Surg. 2000;4(2):76-82. 

  12. Skinner RB. Treatment of molluscum contagiosum with imiquimod 5% cream. J Am Acad Dermatol. 2002;47(4 Suppl):S221-4. 

  13. Kim NS, Chun DK, Lee YS, Suh SL. Treatment of molluscum contagiosum with topical tretinoin therapy. Korean J Dermatol. 2001;39(6):666-70. 

  14. Hwang YS, Kim JH. A case report of molluscum contagiosum in an infant. J Pediatr Korean Med. 2006; 20(2):93-100. 

  15. Kim SM, Ha KS, Ha SY, Kim HY, Song IS, Park SK, Chun SC. Three cases report of molluscum contagiosum children treated by Gwakhyangjeonggisangamibang. J Pediatr Korean Med. 2006;20(3):11-22. 

  16. Park SH, Lee JY, Kwon KR. Clinical report on treating molluscum contagiosum using Bee venom pharmacopuncture. J Pharmacopuncture. 2007;10(3):127-35. 

  17. Park SH, Kim TS, Hur YJ, Kwon KR. Clinical report on the treatment of 70 molluscum contagiosum cases using Sweet bee venom pharmacopuncture. J Pharmacopuncture. 2008;11(2):111-6. 

  18. Lu QY, Tian DD. Efficacy of Longzhu ointment on molluscum contagiosum in children. World J Integr Tradit West Med. 2018;13(7):1016-8. 

  19. Li YF, Liu QY, Wang JJ, Chi HY, Qu Y, Gao Y, Yao CH. Clinical observation on the treatment of molluscum contagiosum with external application of self-made wart removal tincture. Nei Mongol J Tradit Chin Med. 2017;10(19):107. 

  20. Peng SY, He YC. Clinical observation on 58 cases of molluscum contagiosum treated with modified Niuqi Jieji decoction. Chin J Ethnomed Ethnopharm. 2016; 25(24):105-6. 

  21. Ni JP, Qin Y, Yin SZ, Yu FH. Treatment of 60 cases of molluscum contagiosum with external application of purple-blue silver surface anesthetic solution. Pharmacol Clin Chin Mater Med. 2016;31(1):288-9. 

  22. Wang XL, Zhang YY, Qiu SG. Clinical efficacy of Chinese medicine washing in treatment of molluscum contagiosum and in prevention of nosocomial infections. Chin J Nosocomiol. 2014;24(14):3594-6. 

  23. Qin L, Wang XG, Lu YQ, Zhang P. Clinical observation on 100 cases of molluscum contagiosum treated by drying dampness and resolving phlegm. Hebei J Tradit Chin Med. 2012;35(1):37. 

  24. Liu GR, Huang SX. Treatment of 49 cases of molluscum contagiosum with brewing wild chrysanthemum. Chin Naturopathy. 2005;13(3):45-6. 

  25. Kong Y. Therapeutic effect of compound Brucea javanica solution on molluscum contagiosum. Chin J Prim Med Pharm. 2004;11(11):1374. 

  26. Shu YL, Wei WH, Sun GL. Analysis of 91 cases of molluscum contagiosum treated with wild chrysanthemum. J Pract Chin Intern Med. 2003;17(4):320. 

  27. Miao YF. Clinical observation on the use of superficial anaesthesia solution in Chinese herbal medicine in the treatment of 60 cases of molluscum contagiosum. J Heze Med Coll. 2004;16(3):70. 

  28. Jiang DM. Chinese medicine Brucea javanica liquid for the treatment of molluscum contagiosum. Shanxi Med J. 2001;30(2):122. 

  29. Qin L, Cui ZY, Sun SZ. Treatment of 76 cases of molluscum contagiosum in children with Erchen decoction. Jiangsu J Tradit Chin Med. 2012;44(5):39. 

  30. Liu CH. Treatment of 56 cases of molluscum contagiosum with self-made Xiaoyu decoction. Chin Naturopathy. 2012;20(11):23. 

  31. Sun ZA, Li XZ. Clinical research of nagging method with the soup to disappear warts treatment of molluscum contagiosum. Chin J Chin Med. 2012;27(164):129-30. 

  32. Yan AL. Clinical observation on 79 cases of molluscum contagiosum by external washing with Chinese medicine. Chin Mod Med. 2010;17(8):63. 

  33. Niu CZ. Treatment of 32 cases of facial molluscum contagiosum with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J Anhui Tradit Chin Med Coll. 2009;28(6):27. 

  34. Pu HP. Treatment of 166 cases of molluscum contagiosum by self-made Xiaoyu prescription. Chin J Mod Drug Appl. 2009;3(7):135. 

  35. Han LQ. Applying Chinese medicine for the treatment of molluscum contagiosum. Nei Mongol J Tradit Chin Med. 2005;(1):25-6. 

  36. Sun GH, Fu LX, Liu CH. Treatment of 40 cases of molluscum contagiosum with Chinese herbal medicine and external washing. Chin Med Ind. 2005;(5):114. 

  37. Cheng C, Feng XJ. Treatment of 729 cases of generalized molluscum contagiosum with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Mod J Integr Tradit Chin West Med. 2003; 12(5):520. 

  38. Zhang XP, Han YS. Treatment of 200 cases of molluscum contagiosum with Langdusan. Xinjiang J Tradit Chin Med. 2003;(6):48. 

  39. Wang X, Zhang YM. Treatment of 90 cases of molluscum contagiosum with Pingyou decoction. J Pract Chin Intern Med. 2002;18(1):23. 

  40. Shi ZF, Niu CP, Cao C. Treatment of 90 cases of flat wart, molluscum contagiosum and condyloma acuminatum by self-made wart flat scrub. Acta Chin Med Pharm. 2002;30(4):38. 

  41. Tong X. Discussion on the treatment of molluscum contagiosum with Wuling San He Yi Yi Ren decoction. Int J Tradit Chin Med. 2001;23(6):335. 

  42. Zheng XL, Gao YF, Li SQ. Therapeutic effect of Brucea javanica on molluscum contagiosum. J Ext Ther Tradit Chin Med. 2001;10(3):56. 

  43. Ma H, Ma SC. Treatment of 52 cases of molluscum contagiosum with Jiedu Qingyu decoction. Chin Naturopathy. 2001;9(2):47-8. 

  44. Ji JQ. Treatment of 36 cases of molluscum contagiosum with Jiedu Xiaoyu decoction. Henan Tradit Chin Med. 2001;21(4):43-4. 

  45. Zhao Z. Clinical dermatology. 3rd ed. Nanjing: Jiangsu Science and Technology Press. 2001:935. 

  46. Damon I, Murphy PM, Moss B. Broad spectrum chemokine antagonistic activity of a human poxvirus chemokine homolog. Proc Natl Acad Sci USA. 1998;95(11):6403-7. 

  47. Senkevich TG, Moss B. Domain structure, intracellular trafficking, and beta2-microglobulin binding of a major histocompatibility complex class I homolog encoded by molluscum contagiosum virus. Virology. 1998;250 (2):397-407. 

  48. Shisler JL, Senkevich TG, Berry MJ, Moss B. Ultravioletinduced cell death blocked by a selenoprotein from a human dermatotropic poxvirus. Science. 1998;279(5347): 102-5. 

  49. Chen X, Anstey AV, Bugert JJ. Molluscum contagiosum virus infection. Lancet Infect Dis. 2013;13(10):877-88. 

  50. Schornack MM, Siemsen DW, Bradley EA, Salomao DR, Lee HB. Ocular manifestations of molluscum contagiosum. Clin Exp Optom. 2006;89(6):390-3. 

  51. Braue A, Ross G, Varigos G, Kelly H. Epidemiology and impact of childhood molluscum contagiosum: a case series and critical review of the literature. Pediatr Dermatol. 2005;22(4):287-94. 

  52. Butala N, Siegfried E, Weissler A. Molluscum BOTE sign: a predictor of imminent resolution. Pediatrics. 2013;131(5):e1650-3. 

  53. Lee R, Schwartz RA. Pediatric molluscum contagiosum: reflections on the last challenging poxvirus infection, Part 1. Cutis. 2010;86(5):230-6. 

  54. Al-Mutairi N, Al-Doukhi A, Al-Farag S, Al-Haddad A. Comparative study on the efficacy, safety, and acceptability of imiquimod 5% cream versus cryotherapy for molluscum contagiosum in children. Pediatr Dermatol. 2010;27(4):388-94. 

  55. Silverberg NB, Sidbury R, Mancini AJ. Childhood molluscum contagiosum: experience with cantharidin therapy in 300 patients. J Am Acad Dermatol. 2000; 43(3):503-7. 

  56. Kim IR, Kim HC, Kuk YB, Park SJ, Park YG, Park JH, Seo BI, Seo YB, Song HJ, Shin MK, Lee YJ, Lee YC, Lee JH, Lim GH, Jo SI, Jung JG, Joo US, Choi HY. Bonchohak. Seoul: Young Lim Publishing Co. 2010:246-7. 

  57. Kang MS, Chang GT. A literature study on Hand-Foot-Mouth disease. J Pediatr Korean Med. 2004;18(2): 225-32.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