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남부지역 논에서 봄감자와 하작물 이모작에 따른 생육기간 및 생산성 변화
Changes in Growing Period and Productivity under Double Cropping of Spring Potato and Summer Cereals in Paddy Fields of Southern Korea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韓國作物學會誌, v.64 no.4, 2019년, pp.459 - 468  

서종호 (국립식량과학원 남부작물부 논이용작물과) ,  황정동 (국립식량과학원 남부작물부 논이용작물과) ,  최원영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기술지원과) ,  배현경 (국립식량과학원 남부작물부 논이용작물과) ,  김상열 (국립식량과학원 남부작물부 논이용작물과) ,  오성환 (국립식량과학원 남부작물부 논이용작물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쌀 소비 감소 및 재고량 증가, 밭작물의 자급도 감소에 따라 남부지역 논을 활용하여 콩, 옥수수, 감자 등을 최대로 생산하는 작부체계 기술개발이 필요하다. 남부지역 논을 이용한 봄감자 - 중·만생종 벼/콩/옥수수 이모작의 작기 변화 및 생산성을 2015~2018년 4년간 밀양의 시험포장에서 조사하였다. 봄감자는 3월 초순에 파종하여 90일의 단기간에 수량성 2.1~2.3 ton/10a의 생산이 가능하였고 이모작의 중만생종 하계 곡실작물은 6월 중순 파종 시 벼는 130일 내외, 콩은 125일 내외, 옥수수는 115일 내외로 각각 616 kg/10a, 330 kg/10a 및 815 kg/10a의 높은 수량성을 얻을 수 있었다. 감자는 봄에 파종을 최대한 빨리 하는 것이 수량성 증대뿐만 아니라 후작물의 생육기간 확보에 유리하였다. 봄감자-콩/옥수수 이모작 뿐만 아니라 봄감자-벼 이모작에서는 가을에 파종이 없고 안전출수 한계기 이전에 출수가 가능하여 중만생의 하계 품종의 도입이 가능하였다. 파종기에 따라 수량과 등숙일수가 크게 영향을 받는 옥수수는 맥류이모작에 비해 6월 중 파종이 빨라 유리하였다. 생육기간이 온도의 영향을 많이 받는 옥수수는 년도별 기온의 변화에 따라 생육기간의 차이가 나타났다. 벼 대신에 콩, 옥수수 등 밭작물을 도입하면 토양의 이화학성이 단기간에 개선되어 봄감자 수량 증대에 기여하였지만 3년 이상의 연속재배 시 연작장해 발생의 위험도 보였다. 봄감자-옥수수가 전분 생산면에서 수량성이 높았고, 봄감자-콩이 소득성에서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hanges in growing periods and productivities of crops under double cropping of potato-rice, potato-soybean and potato-maize, were investigated at the Paddy Experimental Fields in Miryang City from 2015 to 2018. Spring potatoes planted in early March showed a yield of 2.1-2.3 ton/10a and a period of...

주제어

표/그림 (1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우리도 식량자급의 측면에서 이모작이 가능한 남부지역을 중심으로 벼 뿐만 아니라 자급률이 낮은콩, 옥수수 등 하계 밭작물과 연계하여 식량을 최대로 생산할 수 있는 봄감자 이모작 모델의 개발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시험에서는 논에 하작물로 벼와 더불어 콩, 곡실사료용 옥수수를 도입하여 봄감자와 각각 연계한 이모작에서 작기 변화를 구명하고 최대 생산성 확보의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본 시험을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옥수수를 알곡용으로 파종할 때 생각해야 할 점은? 논에서 재배하는 콩의 경우에는 벼에 비해 7월까지 파종이 가능하여 춘작물과 조합이 유리하여 담배, 봄감자, 봄배추와의 이모작이 증가하고 있으며(RDA, 2016). 하작물인 옥수수는 사료(사일리지)용으로 재배할 때는 5월 중하순부터 파종기간 늦어지면 식물체를 포함한 사료(TDN)수량이 감소하지만 알곡용으로 재배할 때는 6월 상순까지만 파종하면 알곡수량 확보에는 큰무리가 없다(Seo et al., 2010, 2014) 따라서 작기가 짧아 수확이 빠른 감자를 재배하고 사료용 옥수수를 파종하면 사료의 수량의 확보에는 문제가 없을 것으로 생각되어 진다.
쌀 생산을 감소시키고자 현재 정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것은? 현재 정부는 쌀 재고량 증가에 따라 쌀 생산을 감소시키고자 논에서 타작물로 콩, 사료작물 등을 위주로 타작물의 재배를 추진하고 있다(MAFRA, 2019). 남부지역의 전통적논 이모작체계는 여름에 벼를, 이어서 겨울에 답리작으로 보리를 많이 재배하였으나 수입곡물 및 육류소비량 증가에 따라 보리 재배면적이 현저히 감소하였고 대신 소득성이 높은 양념채소인 마늘과 양파 등의 답리작이 증가하여 왔다(RDA, 2002).
춘작-하작의 작부체계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이 봄소득작물-벼 이모작에서는 소득이 높은 봄작물이 주작물이 되고 벼는 보조작으로 바뀌기도 하는데이 춘작-하작의 작부체계는 가을에 파종작업이 없기 때문에 수확 등 작업에 여유가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봄에 파종하기 때문에 작물에 따라서는 추파작물에 비해 성숙 및 수확기가 늦어질 수 있는데, 작기가 상대적으로 길어 6 월에 이앙을 완료해야 하는 벼는 적정 파종기간이 한정되어 이모작에 지장을 줄 수 있다. 논에서 재배하는 콩의 경우에는 벼에 비해 7월까지 파종이 가능하여 춘작물과 조합이 유리하여 담배, 봄감자, 봄배추와의 이모작이 증가하고 있으며(RDA, 201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Aota, S. and M. Hoshino. 1978. Yearly variations of corn yield by conversion from paddy field of ill-drained clayey soil into upland field. J. Japan. Grassl. Sci. 24 : 118-122. 

  2. Hattori, M., Y. Nagumo, T. Sato, Y. Fujita, Y. Higuchi, T. Ohyama, and Y. Takahashi. 2013. Effect of continuous cropping and long-term paddy-upland rotation on yield reduction of soybean in Niigata Perfecture. Jpn J. Crop Sci. 82(1) : 11-17. 

  3. Hong, S. Y., Y. K. Kang, and Y. I. Hahm. 2003. Development characteristics of potato common scab in Jeju island. Res. Plant Dis. 9(3):137-144. 

  4. Inano, I., K. Ishii, Y. Kimura, and H. Takenaka. 2017. Formulation of the process and estimating of the energy required for harvesting and drying of the shelled corn in the paddy field areas. Japanese Journal of Farm Work Research 52(4) : 167-178. 

  5. Ju, J. I., Y. G Seung, C. G. Kim, and H. B. Lee. 2010. Planting date and hybrid influence on silage corn yield and quality at paddy field in middle region. J. Kor. Grassl. Forage Sci. 30(1) : 1-8. 

  6. Kim, M. T., J. H. Seo, H. S. Cho, K. Y. Seong, J. K. Lee, S. P. Eom, W. T. Jeon, and J. Y Lee. 2007. Annul variation of soil properties and yield of soybean in paddy field. Korean J. Crop Sci. 52(4) : 370-374. 

  7. Kim, S. Y., J. H. Seo, H. K. Bae, C. D. Hwang, and J. M. Ko. 2018. Rice cultivars adaptable for rice based cropping systems in a paddy field in the Yeongnam plain area of Korea. Korean J. Agri. Sci. 45(3) : 355-363. 

  8.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China Office. 2015. Promotion of policy of main food with potato for food security. Monthly Agricultural Brief in China 2015-1 : 7-11. 

  9.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 2019. Support for cultivating crops other than rice in paddy fields. www.mafra.go.kr/subview.do 

  10. Nishda, M. 2016. Decline in fertility of paddy soils induced by paddy rice and upland soybean rotation, and measure against the decline. JARQ 50(2) : 87-94. 

  11. Oshita, T., E. Nemoto, Y. Aoki, Y. Ueda, and M. Aoki. 2016 Comparison of chemical composition, nutritive value and production yield between high moisture shelled corn and ear corn silage. Jpn. J. Grassl. Sci. 62 : 140-145. 

  12.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02. Development of cropping system for reduction of soil sickness, disease and insect pest on garlic, onion and succeeding crops. 

  13.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03. Subdivision of cropping area and developing of models of regional system. 

  14.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16. Cultivation types of crops other than rice in paddy fields. 

  15. Seo, J. H., B. Y. Son, J. E. Lee, Y. U. Kwon, G. H. Jung, S. B. Back, J. H. Sung, and W. H. Kim. 2010. Change of growth and yield of late-planted maize cultivar for double cropping with barley. Korean J. Crop Sci. 55(3) : 232-238. 

  16. Seo, J. H., J. K. Moon, G. H. Jung, M. J. Seo, J. H. Gu, C. H. Park, W. H. Bae, S. H. Shin, amd Y. U. Kwon. 2014. Change of growth stage and yield of maize according to planting time in the central districts. J. Agr. Sci. Chungbuk Nat'l Univ. 30(2) : 120-128. 

  17. Shinoto, Y., T. Matsunami, R. Otani, H. Kanmuri, and S. Maruyama. 2017. Effects of plowing on growth and grain yield of maize (Zea mays L.) in upland field converted from paddy field in Andosol. Jpn. J. Crop Sci. 86(2) : 151-159. 

  18. Sun, H. Y., X. Y. Zhang, S. Y. Chen, D. Pei, and C. M. Liu. 2007. Effect of harvest and sowing time on the performance of the rotation of winter wheat-summer maizze in the North China Plain. Industrial Crops and Products 25 : 239-24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