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내성천의 수문, 하도 형태, 경관 및 식생 특성에 관한 장기모니터링 자료 (II)
Dataset of Long-term Investigation on Change in Hydrology, Channel Morphology, Landscape and Vegetation Along the Naeseong Stream (II) 원문보기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v.6 no.1, 2019년, pp.34 - 48  

이찬주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국토보전연구본부) ,  김동구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국토보전연구본부) ,  황승용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국토보전연구본부) ,  김용전 (과학기술일자리진흥원 BM개발팀) ,  정상준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남북한인프라특별위원회) ,  김시내 ((주)이산 수자원부) ,  조형진 (수생태공간정보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내성천은 경북 북부의 산지 및 농경지를 관류하는 자연성이 높은 사질 하상 하천으로 2010년대 이전에는 백사장이 발달한 경관적 특징을 유지하였다. 하지만 영주댐이 건설되기 시작하고 2015년 전후로 식생이 광범위하게 활착하는 등 하천 변화가 발생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변화를 객관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영주댐 하류 내성천을 대상으로 장기 모니터링을 실시하였으며, 이 논문의 목적은 2012~2018년 기간에 대해 하천 지형 및 식생 등에 대한 조사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조사 방법으로 드론/지상 사진 촬영, LiDAR 항공측량, 현장 조사 등이 포함되었다. 장기 모니터링을 통해 발견한 주요한 사실들은 다음과 같다. 내성천 하도의 식생 활착은 1987년부터 시작되었으며, 2013년 이전에는 하류 구간에서, 그 이후로는 전체 구간에서 식생 활착이 발생하였다. 그 중 일부 지점은 홍수로 인해 재나지화 되었으나 여러 구간은 목본이 활착하였고, 퇴적으로 인해 하도의 형태 변화가 발생하기도 하였다. 내성천은 모래 하상의 본질적 특성을 유지해 왔지만, 최근 약간의 조립화 경향이 나타났으며, 조사 단면에서 최심하상의 저하가 관찰되었다. 본 연구의 조사 결과를 I편에서 분석한 수문학적 특성과 함께 종합하여 볼 때, 내성천에 나타난 식생 및 경관상의 변화는 주로 유량 감소 의한 것으로 생각된다. 이와 함께 영주댐이 하상 저하에 미친 영향을 간략하게 고찰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Naeseong Stream is a natural sand-bed river that flows through mountainous and cultivated area in northern part of Gyeongbuk province. It had maintained its inherent landscape characterized by white sandbars before 2010s. However, since then changes occurred, which include construction of Yeongju Da...

주제어

표/그림 (20)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논문은 내성천 장기 모니터링 자료의 두 번째 부분으로서 영주댐 건설 기간이 포함된 2012~2018년 기간에 내성천 하도의 형태와 식생 및 경관의 변화에 대해 하도 중심의 장기 모니터링 결과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같은 연구의 선행 논문 (I편)에서는 장기간의 기초자료를 바탕으로 하천 변화의 지배요인인 기후, 유량, 유사량, 수질 등 수문학적 특성이 지난 40여년간 어떻게 변화했는지를 살펴보았다. 본 논문 (II편)은 원격 탐사 자료와 현장 조사 자료를 통해 내성천에서의 나타난 하도 형태, 경관 및 식생 변화의 양상을 살펴보고자 한다.
  • 같은 연구의 선행 논문 (I편)에서는 장기간의 기초자료를 바탕으로 하천 변화의 지배요인인 기후, 유량, 유사량, 수질 등 수문학적 특성이 지난 40여년간 어떻게 변화했는지를 살펴보았다. 본 논문 (II편)은 원격 탐사 자료와 현장 조사 자료를 통해 내성천에서의 나타난 하도 형태, 경관 및 식생 변화의 양상을 살펴보고자 한다.
  • 본 논문에서는 내성천의 하도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하도 형태, 경관 및 식생 등에 대한 장기 모니터링 결과를 요약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 (I, II 포함)는 내성천을 대상으로 수문, 지형, 식생 등 하천의 다각적인 측면을 지속적으로 조사함으로써 유수-물질-식생-지형 사이의 역동적인 상호작용을 이해하고 댐으로 인한 하천 변화를 추적하고 분석할 수 있는 과학적인 자료를 구축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 논문의 내용은 2012 - 2018년까지의 자료이며, 향후 추가적인 모니터링은 계속될 것이다.
  • 본 연구에서는 삼아항업을 통해 RIEGL사의 Full-waveform을 지원하는 LiDAR 장비를 이용하여 내성천 연구 구간 57 km에 대해 2012년부터 2017년까지는 11 - 12월 사이에 그리고 2019년은 2월에 항공 LiDAR 측량을 실시하여 하도 형태의 변화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Table 5 참조).
  • 이 논문은 2018년까지 내성천의 과거를 기록하고 그자료를 연구자들에게 제공할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보다 긴 시간 규모에서 하천 변화의 공간적 패턴, 방향성과 변동성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앞으로도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 이 논문은 내성천 장기 모니터링 자료의 두 번째 부분으로서 영주댐 건설 기간이 포함된 2012~2018년 기간에 내성천 하도의 형태와 식생 및 경관의 변화에 대해 하도 중심의 장기 모니터링 결과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같은 연구의 선행 논문 (I편)에서는 장기간의 기초자료를 바탕으로 하천 변화의 지배요인인 기후, 유량, 유사량, 수질 등 수문학적 특성이 지난 40여년간 어떻게 변화했는지를 살펴보았다.
  • 하지만 1980년대 이후로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온 골재 채취는 물론 영주 댐에 의한 유사 이송의 차단 등은 하도의 유사량을 감소시킴으로써 하상 침식을 증가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해왔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에서는 하상재료 조사를 실시하였다.
  • 이에 대한 기존의 연구는 대부분은 사후 원인 분석에 치중하였는데, 이는 하천의 변화 과정에 대한 모니터링이 이루어지지 못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댐 건설을 전후하여 내성천에 대한 장기적인 추적 조사를 함으로써 하천 변화의 과정을 체계적으로 관찰, 분석하고 이를 통해 하천의 변화 과정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자 본연구가 수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내성천이란 무엇인가? 내성천은 경북 북부의 산지 및 농경지를 관류하는 자연성이 높은 사질 하상 하천으로 2010년대 이전에는 백사장이 발달한 경관적 특징을 유지하였다. 하지만 영주댐이 건설되기 시작하고 2015년 전후로 식생이 광범위하게 활착하는 등 하천 변화가 발생하였다.
과거 내성천의 특징은 어떠했는가? 내성천은 경북 북부의 산지 및 농경지를 관류하는 자연성이 높은 사질 하상 하천으로 2010년대 이전에는 백사장이 발달한 경관적 특징을 유지하였다. 하지만 영주댐이 건설되기 시작하고 2015년 전후로 식생이 광범위하게 활착하는 등 하천 변화가 발생하였다.
내성천의 하천 변화가 발생한 이유는 무엇인가? 내성천은 모래 하상의 본질적 특성을 유지해 왔지만, 최근 약간의 조립화 경향이 나타났으며, 조사 단면에서 최심하상의 저하가 관찰되었다. 본 연구의 조사 결과를 I편에서 분석한 수문학적 특성과 함께 종합하여 볼 때, 내성천에 나타난 식생 및 경관상의 변화는 주로 유량 감소 의한 것으로 생각된다. 이와 함께 영주댐이 하상 저하에 미친 영향을 간략하게 고찰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Choi, S.U., Yoon, B.M. and Woo, H.S. 2005. Effects of dam-induced flow regime change on downstream river morphology and vegetation cover in the Hwang River, Korea, River Research and Applications 21: 313-325. 

  2. Clery, I., Pierrot-Deseilligny, M. and Vallet, B. 2014. Automatic georeferencing of a heritage of old analog aerial photographs, ISPRS Annals of Photogrammetry, Remote Sensing and Spatial Information Sciences II-3: 33-40. 

  3. JGGK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1920. Survey on flood control and water use (in Japanse). 

  4. Johnson, W.C. 1994. Woodland expansion in the Platte River, Nebraska: Patterns and causes, Ecological Monographs 64(1): 45-84. 

  5. Kondolf, G.M. 1997. Hungry Water: Effects of Dams and Gravel Mining on River Channels, Environmental Management 21(4): 533-551. 

  6. Lee C. and Kim, D. 2017. Short-term Change in Channel Morphology of the Naeseong Stream before the Operation of Yeongju Dam, Korea,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4(1): 12-23 (in Korean). 

  7. Lee C. and Kim. D. 2018. Analysis of the changes of the vegetated area in an unregulated river and their underlying causes: A case study on the Naeseong stream,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5(4): 229-245 (in Korean). 

  8. Williams, G.P. 1978. The case of the shrinking channels-the North Platte and Platte Rivers in Nebraska, Geological Survey Circular 781, 48p. 

  9. Williams, G.P. and Wolman, M.G. 1984. Downstream Effects of Dams on Alluvial Channels. USGS Professional Paper 1286, Department of the Interior, USA. 

  10. Woo, H.S., Park, M.H., Cho, K.H., Cho, H.J. and Jung, S.J. 2010 Recruitment and succession of riparian vegetation in alluvial river regulated by upstream dams - focused on the Nakdong River downstream Andong and Imha Dams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43:455-469 (in Korean). 

  11.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http://map.ngii.go.kr (in Korean). 

  12. Satellite Information Database of Korea Aerospace Research Institute. http://ksatdb.kari.re.kr (in Korean). 

  13. United State Geological Survey. http://earthexplorer.usgs.gov.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