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ODDMAC를 이용한 항균성 및 발수성 동시 발현이 가능한 기능성 면섬유
Antimicrobial and Water Repellency Effect of Functional Cotton Fiber with ODDMAC(octadecyl dimethyl(3-triethoxy silylpropyl) ammonium chloride) 원문보기

韓國染色加工學會誌 = Textile coloration and finishing, v.31 no.4, 2019년, pp.276 - 287  

전혜지 (영남대학교 파이버시스템공학과) ,  이재웅 (영남대학교 파이버시스템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cotton fibers were coated with a different weight percentage of octadecyl dimethyl(3-triethoxy silylpropyl) ammonium chloride(ODDMAC) to improve antimicrobial and water repellent properties. First, the ODDMAC dissolved in ethanol to prepare a solution. Then the cotton fibers were imme...

주제어

표/그림 (1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접촉각 측정 결과 ODDMAC 농도 10%일때 접촉각 121°로 측정되어 가장 super-hydrophobic 한 성질이 확인되었으며, 이를 근거로 추가적 실험에 따른 ODDMAC/ethanol 용액의 농도는 10%로 진행 하였다. 10%농도에 따른 고착처리온도를 달리하여 최적 발수조건을 확인하고자 실험을 진행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고분자 내에 4급 암모늄염과 긴 알킬체인이 함께 존재하는 Octadecyl dimethyl(3-triethoxy silylpropyl) ammonium chloride(ODDMAC) 를 활용하여 발수 및 항균 특성을 동시에 발현할 수 있는 기능성 면섬유를 개발하고, 그 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소수성 역할을 하는 octadecyl기와 항균성 효과를 띄는 4급 암모늄을 가진 ODDMAC를 이용하여 한 공정 내에서 항균성 및 발수성의 동시부여가 가능한 면섬유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16,19).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항균가공은 무엇인가? 항균가공은 섬유상 균의 증식을 억제시키는 섬유가공을 말한다. 항균가공의 목적은 일상생활환경이나 병원 등에서 전염성 질환 예방, 악취 제거, 위생보호를 향상 등의 목적으로 사용된다.
4급 암모늄염의 항균성 발현 매커니즘은 어떠한가? 4급 암모늄염 항균제는 다른 타입의 항균제에 비해서 우수한 항균성과 저독성을 가지면서 넓은 범위의 균에 효과를 발휘하여 대표적인 유기계 항균제로 사용되고 있다4,11-13) . 4급 암모늄염의 항균성 발현 매커니즘으로는 암모늄염 이온결합화합물의 양이온이 미생물 세포 표면의 음이온 부위에 정전기적으로 흡착하고, 소수성 상호작용에 의하여 세포 표층구조를 물리화학적으로 파괴하여, 세포내용물을 분출시켜 호흡기능을 정지시켜 사멸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4-17).
불소계 발수제의 사용이 제한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섬유용 발수가공제로는 크게 알킬화된 silicone계와 fluoro계 가공제가 있으며, 불소계 발수제는 불소 원자가 가지는 여러 가지 특성 때문에 비접착성, 발수·발유성 등 섬유용 발수제에서 가장 우수한 발수제로 알려져 있다15,18-20). 하지만 가격이 비싸고 환경적으로 위험한 성질로 인해 사용이 제한되고 있다. 이는 발수제에 포함되어 있는 PFOA(perfluorooctanoic acid)나 환경 호르몬으로 분류되는 PFOS(perfluorooctane sulfonate)가 쉽게 동물이나 식물에 축적되며, 구강이나 흡입을 통해 인체에 쉽게 흡수되므로 간의 손상 및 암을 일으키는 독성물질로 분류되어 최근 전 세계적으로 PFOS/PFOA 관련 제품의 판매 및 제조에 대한 규제가 강화되고 있는 실정이다16,2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S. Tarimala, N. Kothari, N. Abidi, E. Hequet, J. Fralick, and L. L. Dai, New Approach to Antibacterial Treatment of Cotton Fabric with Silver Nanoparticle-doped Silica using Sol-gel Process, Journal of Applied Polymer Science, 101, 2938(2006). 

  2. S. J. Park, J. W. Lee, S. S. Kim, and S. O. Lee, Surface Characteristics, Antimicrobial and Photodegradation Effect of Cotton Fibers Coated with $TiO_2$ Nanoparticles and 3-Mercapto-propyltrimethoxysilane(3-MPTMS), Textile Coloration and Finishing, 30, 245(2018). 

  3. S. Ivan and S. Branka, Silver Nanoparticles as Antimicrobial Agent: a Case Study on E. coli as a Model for Gram-negative Bacteria, Journal of Colloid and Interface Science, 275, 177(2004). 

  4. K. Pinar, W. Lynn, E. O. Dennis, and J. W. Kenneth, Highly Effective Contact Antimicrobial Surfaces via Polymer Surface Modifiers, Langmuir, 23, 4719(2007). 

  5. K. Usami, S. Sugahara, M. Kobayashi, K. Sumimura, T. Hattori, and M. Matsumura, Preparation and Properties of Silica Films with Higher-alkyl Groups, Journal of Non-Crystalline Solids, 260, 199(1999). 

  6. Y. H. Kim, C. W. Nam, J. W. Choi, and J. H. Jang, Durable Antimicrobial Treatment of Cotton Fabrics using N-(-hydroxy)propyl-3-trimethylammonium Chitosan Chloride and Polycarboxylic Acids, Journal of Applied Polymer Science, 88, 1567(2003). 

  7. S. S. Kim, J. E. Park, and J. W. Lee, Properties and Antimicrobial Efficacy of Cellulose Fiber Coated with Silver Nanoparticles and 3-Mercaptopropyltrimethoxysilane (3-MPTMS), Journal of Applied Polymer Science, 199, 2261(2011). 

  8. Y. H. Kim and S. Gang, Durable Antimicrobial Finishing of Nylon Fabrics with Acid Dyes and a Quaternary Ammonium Salt, Textile Research Journal, 71, 318(2001). 

  9. B. P. Mitesh, A. P. Samir, R. Arabinda, and M. P. Rajni, Synthesis, Characterization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Acrylic Copolymers, Journal of Applied Polymer Science, 89, 895(2003). 

  10. K. Akihiko, l. Tomiki, and E. Takeshi, Polymeric Phosphonium Salts as a Novel Class of Cationic Biocides III, Immobilization of Phosphonium Salts by Surface Photografting and Antibacterial Activity of the Surfacetreated Polymer Films, Journal of Polymer Science: Part A Polymer Chemistry, 31, 1467(1993). 

  11. E. Kenawy, F. I. Abdel-Hay, A. El-Raheem, R. El-Shanshoury, and M. H. El-Newehy, Biologically Active Polymers V, Synthesis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Modified Poly(glycidyl methacrylate-co-2-hydroxyethyl methacrylate) Drivatives with Quaternary Ammonium and Phosphonium Salts, Journal of Polymer Science: Part A Polymer Chemistry, 40, 2384(2002). 

  12. P. Kurt, L. J. Gamble, and K. J. Wynne, Surface Characterization of Biocidal Polyurethane Modifiers Having Poly(3,3-substituted)oxetane Soft Blocks with Alkylammonium Side Chains, Langmuir, 24, 5816(2008). 

  13. J. Liang, K. Barnes, A. Akdag, S. D. Worley, J. Lee, R. M. Broughton, and T. S. Huang, Improved Antimicrobial Siloxane, Ind. Eng. Chem. Res., 46, 18616(2007). 

  14. J. Isquith, E. A. Abbott, and P. A. Walters, Surface-Bonded Antimicrobial Activity of an Organosilicon Quaternary Ammonium Chloride, Applied Microbioi, 24, 859(1972). 

  15. G. S. Cho, J. S. Cho, and M. Y. Sohn,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ntimicrobial Finished and Water Repellent Nonwoven Fabrics using Organic Silicon Quaternary Ammonium Sal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14, 216(1990). 

  16. J. Hazziza-Laskar, N. Nurdin, G. Helary, and G. Sauvet, Biocidal Polymers Active by Contact I, Synthesis of Polybutadiene with Pendant Quaternary Ammonium Groups, Journal of Applied Polymer Science, 50, 651 (1993). 

  17. J. Liang, R. Wu, T. S. Huang, and S. D. Worley, Polymerization of a Hydantoinylsiloxane on Particles of Silicon Dioxide to Produce a Biocidal Sand, Journal of Applied Polymer Science, 97, 1161(2005). 

  18. D. G. Kim, B. H. Lee, and K. C. Song, Preparation of Non-Fluorinated Water Repellent Coating Films Using Methyltrimethoxysilane and Trimethylethoxysilane,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57, 177(2019). 

  19. P. K. Park, B. O. Lee, H. C. Kim, and H. Y. Kim, Flame Retardant and Water Repellent Finishing of Automobile Indoor Fabric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yers and Finishers, 11, 7(1999). 

  20. S. M. Park, J. Y. Kim, I. J. Gwon, and N. S. Yun, Flame Resistant Water Repellent Antibacterial Finishing Method for Cotton Textil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9, 125(2008). 

  21. Y. C. Ko, B. D. Ratner, and A. S. Hoffman, Characterization of Hydrophilic-hydrophobic Polymeric Surfaces by Contact Angle Measurements, Journal of Colloid and Interface Science, 82, 1(1981). 

  22. N. Veronovski, M. Sfiligoj-Smole, and J. L. Viota, Characterization of $TiO_2/TiO_2-SiO_2$ Coated Cellulose Textiles, Textile Research Journal, 80(1), 55(2000). 

  23. L. Kou, J. Liang, X. Ren, H. B. Kocer, S. D. Worley, R. M. Broughton, and T. S. Huang, Novel N-halamine Silanes, Colloids and Surfaces A: Physicochem. Eng. Aspects, 345, 88(2009). 

  24. Y. Y. Sun and G. Sun, Durable and Regenerable Antimicrobial Textile Materials Prepared by a Continuous Grafting Process, Journal of Applied Polymer Science, 84, 1592(2002). 

  25. J. R. Kim, S. J. Lee, and S. S. Kim, Color Differences of Standard Samples according to Their Lightness Levels, Textile Coloration and Finishing, 17, 19(2005). 

  26. U. Hirobumi, V. Jayalakshmi, and V. Trithala, Color Stability of Dental Composites as a Function of Shade, Journal of Prosthetic Dentistry, 79, 372(1998).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