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직구성원의 직급단계축소에 대한 공정성 지각이 조직몰입과 혁신적 업무행동에 미치는 영향 : 인지태도 및 인지강도의 역할을 중심으로
The Effect of Perceived Justic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Innovative Behavior in a Simplified Personnel System : Focusing on the Roles of Cognitive Attitude and Cognitive Intensity 원문보기

한국IT서비스학회지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Services, v.18 no.4, 2019년, pp.1 - 22  

유종옥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  양성병 (경희대학교 경영대학 경영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ompanies have attempted to build a rational and future-oriented new personnel system in order to adapt and survive in a rapidly changing environment. Recently, Samsung, LG, SK, and CJ, which are large domestic corporations, have been introducing new types of simplified personnel systems competitive...

주제어

표/그림 (1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직급파괴제도의 여러 유형 가운데 직급단계축소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된 최초의 실증 연구라는 점과, 직급단계축소 맥락에서 조직구성원의 공정성 지각, 인지태도, 인지강도 등 관련 변수의 개념을 확장하였다는 점에서 이론적인 기여를 찾을 수 있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직급단계축소를 수용하는 조직구성원의 공정성 지각, 인지태도 및 인지강도를 중심으로 조직몰입과 혁신적 업무 행동의 인과관계를 밝힘으로써, 기업의 성공적인 직급단계축소 제도 도입 및 정착을 위한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 또한, 직급단계축소와 같은 조직구조 변화의 궁극적 목적은 조직효과성(organizational effectiveness) 향상을 통해 조직성과를 극대화하는 것이므로(이봉희, 2017), 본 연구에서는 조직몰입(organizational commitment)과 혁신적 업무행동(innovative  ehavior)을 조직효과성 변수로 선정하여, 직급단계축소 제도에 대한 조직구성원의 공정성 지각이 이들 변수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해 보고자 한다.
  • 셋째, 직급단계축소에 대한 조직구성원의 인지적 요소로 인지태도라는 매개변수와 인지강도라는 조절변수를 설정하여 연구모형에 적용함으로써, 공정성 지각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해 좀 더 절차적이고 구체적인 세부 메커니즘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이론적 이의를 찾을 수 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제도 변화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는 조직구성원의 관점에서 이들이 어떻게 바뀐 새 제도를 인지하고 받아들이며, 어떠한 과정을 거쳐 성과를 창출하게 되는지에 대한 구체적 과정을 밝혀냄으로써, 변화관리 및 인사관리 분야의 연구를 확장하였다.
  • 본 연구는 직급단계축소 제도를 경험한 국내 기업의 구성원을 모집단으로 하여, 이 제도에 대한 공정성 지각 정도가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하고, 인지태도 및 인지강도의 매개효과 및 조절효과를 추가적으로 각각 검증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17년 7월 5단계(사원-대리-과장-차장부장)에서 3단계(사원-선임-책임)로 직급단계축소제도를 도입해 2년째 운영 중인 국내 “L” 대기업계열사 본사 직원들을 대상으로 오프라인 설문을 실시하였다.
  • 보상이나 승진 등의 전제조건이 되는 인사시스템은 절차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는데, 이러한 절차에 대한 공정성의 확보는 성공적인 인적자원관리의 토대가 될 수있다(최지애, 이인석, 2014).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직급단계축소라는 새로운 제도 도입의 의사결정과정과 절차, 그리고 결과에 대한 공정성 지각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해 보고자 한다. 요컨대, 인사제도의 변화는 조직구성원의 분배적및 절차적 공정성 지각에 영향을 줄 수 있고, 이는 다시 조직효과성 향상을 통해 조직성과에도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 직급단계축소 제도에 초점을 맞추어 도입 과정과 결과에 대한 공정성 확립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은 학문적으로나 실무적으로 충분한 의의가 있다.
  • 직급단계축소 제도의 도입은 유연한 조직구조로의 변화를 가져오는 것으로, 이러한 변화에서 조직구성원의 인식을 살펴보는 연구가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시도는 상대적으로 많이 수행되지 않은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해당 제도의 도입으로 인한 조직구성원의 인지적 차원 변수들(예 : 분배공정성, 절차공정성, 인지태도, 인지강도 등)간의 관계를 직급파괴제도 맥락에서 최초로 적용, 실증함으로써 직급파괴제도에 대한 연구를 확장하였다.
  •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연구는 조직구성원의 직급단계축소에 대한 공정성 지각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을 주 목적으로 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조직구성원의 직급단계축소에 대한 두 종류의 공정성 지각(분배공정성 및 절차공정성)이 조직몰입과 혁신적 업무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조직 구성원의 인지태도와 인지강도의 조절 및 매개역할을 중심으로 심층적으로 검증해 보고자 한다.
  • 좀 더 구체적으로, 조직구성원의 직급단계축소에 대한 두 종류의 공정성 지각(분배공정성 및 절차공정성)이 조직몰입과 혁신적 업무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조직 구성원의 인지태도와 인지강도의 조절 및 매개역할을 중심으로 심층적으로 검증해 보고자 한다.

가설 설정

  • 가설 1(H1) : 조직구성원의 직급단계축소에 대한 분배공정성 지각은 인지태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2(H2) : 조직구성원의 직급단계축소에 대한 절차공정성 지각은 인지태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3(H3) : 조직구성원의 직급단계축소에 대한 인지태도는 조직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4(H4) : 조직구성원의 직급단계축소에 대한 인지태도는 혁신적 업무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5(H5) : 인지강도가 클수록 직급단계축소에 대한 공정성 지각이 인지태도에 미치는 정(+)의 효과는 약화될 것이다.
  • 가설 5a(H5a) : 인지강도가 클수록 직급단계축소에 대한 분배공정성 지각이 인지 태도에 미치는 정(+)의 효과는 약화될 것이다.
  • 가설 5b(H5b) : 인지강도가 클수록 직급단계축소에 대한 절차공정성 지각이 인지 태도에 미치는 정(+)의 효과는 약화될 것이다.
  • 가설 6(H6) : 인지태도는 직급단계축소에 대한 공정성 지각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할 것이다.
  • 가설 6a(H6a) : 인지태도는 직급단계축소에 대한 분배공정성 지각이 조직몰입에 주는 영향을 매개할 것이다
  • 가설 6b(H6b) : 인지태도는 직급단계축소에 대한 절차공정성 지각이 조직몰입에 주는 영향을 매개할 것이다.
  • 가설 6c(H6c) : 인지태도는 직급단계축소에 대한 분배공정성 지각이 혁신적 업무행동에 주는 영향을 매개할 것이다.
  • 가설 6d(H6d) : 인지태도는 직급단계축소에 대한 절차공정성 지각이 혁신적 업무행동에 주는 영향을 매개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직급파괴제도가 무엇인가요? 최근 국내 기업들은 조직구성원 개인의 성과와 능력을 기반으로 한 인사혁신의 출발점인 직급파괴제도를 경쟁적으로 도입, 활용하고 있다(방호진, 2014). 직급파괴제도는 기존 다단계의 수직적이고 위계적인 직급체계에서 역량중심의 신계층 구조로의 전환을 추구하는 것으로, 조직 내 신분 질서의 재정립을 의미한다(삼성경제연구소, 2000). 직급파괴제도는 직급파괴의 강도에 따라 크게 단편적 직급파괴(포지션 파괴, 호칭 파괴 및 급여 파괴)와 적극적 직급 파괴(직급단계축소 및 직급폐지) 등의 두 유형으로 분류되고 있다([그림 1] 참조).
여러 변화를 성공으로 이끌기 위해 변화의 강도를 조절해야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한편, 선행연구에 따르면 조직에서 발생하는 여러 변화를 성공으로 이끌기 위해서는 변화의 강도를 조절할 필요가 있는데, 적절한 강도조절에 실패했을 경우 조직구성원들로부터 변화에 대한 피로감, 소진, 냉소주의 등이 발생할 수 있다(김종관, 변상우, 2003). 이러한 변화에 대해 조직구성원이 지각하는 인지강도(cognitive intensity)는 변화의 크기나 속도에 대해 인지하는 영향력의 정도로 정의할 수 있으며, 속도적인 차원과 규모적인 차원으로 구분하여 관리할 필요가 있다(김민영, 2008).
직급단계 축소 제도가 성공적으로 정착되기 위해 필요한 선행요소가 무엇인가요? 반면, 직급단계축소에 따른 변화에도 현 직급체계를 공정하다고 인지하는 조직원은 직급단계 축소 제도에 대해 호의적이며, 향후에도 유지되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제도의 도입 및 성공적 정착을 위해서는 조직구성원들의 긍정적인 인지태도가 중요한데, 이를 유도하기 위해서는 본 제도에 대한 조직구성원의 공정성 확립이 필수적인 선행요소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0)

  1. 김기근, 문 영, 조윤형, "조직구성원들의 조직비전 인식과 조직변화에 대한 태도와의 관계 : 조직신뢰의 매개역할", 인적자원관리연구, 제20권, 제3호, 2013, 115-143. 

  2. 김민영, "변화몰입의 영향요인에 대한 연구 : 효능감, 변화의 특성, 사회적 지원의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8. 

  3. 김성건, 김중화, "성과급의 공정성 지각이 경영자 신뢰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인사시스템 신뢰강도의 조절효과", 한국인사관리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15, 192-214. 

  4. 김종관, 변상우, "조직변화에 대한 저항원인과 관리방안에관한연구", 기업경영연구, 제17권, 제1호, 2003, 101-119. 

  5. 박준철, 서민교, 김병곤, "정보시스템 기업 종업원이 지각하는 조직공정성이 상사.구성원교환관계(LMX), 팀.구성원교환관계(TMX),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대한경영학회지, 제23권, 제4호, 2010, 1987-2003. 

  6. 박혜진, 유태용, "상사의 리더십, 조직의 변화 준비성이 조직변화몰입에 미치는 영향과 적응수행, 조직변화지지 행동에 대한 조직변화몰입의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제22권, 제1호, 2009, 131-153. 

  7. 방호진, "직급체계 개편의 문제점과 대응방안에 대한 연구 : 국내 A사의 직급 개편 사례를 중심으로", 경영교육연구, 제29권, 제4호, 2014, 30-55. 

  8. 삼성경제연구소, "직급파괴 현황과 개선방향", 삼성경제연구소, 2000. 

  9. 신현호, "공기업의 성과중심 보수제도에 대한 공정성 지각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10. 

  10. 양윤희, "변화에 대한 몰입과 변화지지행동의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 계획행동이론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7. 

  11. 양재희, "직급파괴제도에 따른 경력정체 지각이 조직몰입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13. 

  12. 유수동, 전성훈, "승진에 대한 공정성 지각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안성시 지방공무원의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인사행정학회보, 제16권, 제3호, 2017, 275-303. 

  13. 육풍림, 조태영, "카지노 종사자의 공정성 지각과 조직몰입, 직무만족 및 이직의도와의 관계 연구", 호텔경영학연구, 제22권, 제1호, 2013, 233-251. 

  14. 이현정, "연봉제에 대한 공정성 지각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상사 신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10. 

  15. 이봉희, "조직공정성과 인사평가 인식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연구 : 한국공항공사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17. 

  16. 이승계, "성과주의 보상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연구", 인적자원관리연구, 제20권, 제3호, 2013, 187-208. 

  17. 이지은, "조직공정성에 대한 인식이 사회복지사의 혁신적 업무행동에 미치는 영향", 숭실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8. 

  18. 이창환, "임금공정성 지각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 개인특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9. 

  19. 임규완, "인사관리의 분배공정성과 절차공정성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2. 

  20. 장혜윤, 최정우, 박해욱, "지방공무원의 성과관리제도 인식이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 지방정부연구, 제20권, 제3호, 2016, 277-298. 

  21. 전재균, 박현숙, "공무원의 총액인건비제도에 대한 공정성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벤처창업연구, 제8권, 제3호, 2013, 189-204. 

  22. 정임혜, "조직변화상황에서 구성원의 성격특성이 변화 수용성 및 정서적 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지각된 변화특성과 발언권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10. 

  23. 조병섭, "리조트 기업의 조직공정성이 종사자들의 직무만족, 조직몰입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제14권, 제3호, 2009, 133-145. 

  24. 조성진, 송계충, "코칭이 자기효능감 조직유효성 및 가족관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현장실험 연구", 인사조직연구, 제19권, 제2호, 2011, 201-252. 

  25. 조윤형, 최우재, 신재구, "조직구성원들의 변화에 대한 태도가 혁신성향에 미치는 영향 : 학습조직의 조절효과", HRD 연구, 제13권, 제4호, 2011, 63-88. 

  26. 최지애, 이인석, "인사평가의 절차공정성과 조직구성원의 직무태도간의 관계에서 상호작용 공정성의 조절효과분석", 전문경영인연구, 제17권, 제1호, 2014, 103-123. 

  27. Ajzen, I. and M. Fishbein, "Attitude-behavior relations : A theoretical analysis and review of empirical research", Psychological Bulletin, Vol.84, No.5, 1977, 888-918. 

  28. Ambrose, M.L. and M. Schminke, "Organization structure as a moderator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rocedural justice, interactional justice,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nd supervisory trust",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88, No.2, 2003, 295-305. 

  29. Bagozzi, R.P., Y. Yi, and L.W. Phillips, "Assessing construct validity in organizational research",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Vol.36, No.3, 1991, 421-458. 

  30. Baron, R.M. and D.A. Kenny,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1, No.6, 1986, 1173-1182. 

  31. Chin, W.W., B.L. Marcolin, and P.R. Newsted, "A partial least squares latent variable modeling approach for measuring interaction effects : Results from a Monte Carlo simulation study and an e-mail emotion/adoption study",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Vol.14, No.2, 1996, 189-217. 

  32. Dalton, D.R., W.D. Todor, M.J. Spendolini, and L.W. Porter, "Organization structure and performance : A critical review",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5, No.1, 1980, 49-64. 

  33. Dunham, R.B., L.L. Cummings, D.G. Gardner, and J.L. Pierce, "Organization-based self-esteem : Construct definition, measurement, and validation",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32, No.3, 1989, 622-648. 

  34. Etzioni, A., "Two Approaches to organizational analysis : A critique and a suggestion",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Vol.5, No.2, 1960, 257-278. 

  35. Farmer, S.J., T.A. Beehr, and K.G. Love, "Becoming an undercover police officer : A note on fairness perceptions, behavior, and attitudes",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Vol.24, No.4, 2003, 373-387. 

  36. Fazio, R.H., M.C. Powell, and C.J. Williams, "The role of attitude accessibility in the attitude-to-behavior process",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Vol.16, No.3, 1989, 280-288. 

  37. Folger, R. and J. Greenberg, "Procedural justice : An interpretive analysis of personnel systems", Research in Personnel and Human Resource Management, Vol.3, No.1, 1985, 141-183. 

  38. Fornell, C. and D.F. Larcker, "Structural equation model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 Algebra and statistic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18, No.3, 1981, 382-388. 

  39. Greenberg, J., "A taxonomy of organizational justice theories",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12, No.1, 1987, 9-22. 

  40. Greenberg, J., "The social side of fairness : Interpersonal and informational classes of organizational justice", Justice in the workplace : Approaching fairness in human resource management, Hillsdale, NJ :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993, 79-103. 

  41. Gurbaxani, V. and S. Whang, "The impact of information systems on organizations and markets", Communications of the ACM, Vol.34, No.1, 1991, 59-73. 

  42. Herscovitch, S.L. and J.P. Meyer, "Affective, continuance, and normative commitment to the organization : A meta-analysis of antecedents, correlates, and consequence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61, No.1, 2002, 20-52. 

  43. Homans, G.C., Social behavior : It elementary forms, Harcourt, New York, 1961. 

  44. Kirkpatrick, S.A. and E.A. Lock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three core charismatic leadership components on performance and attitude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81, No.1, 1996, 36-51. 

  45. Meyer, J.P. and N.J. Allen, "A three component conceptualization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Human Resource Management Review, Vol.1, No.1, 1991, 61-89. 

  46. Moorman, R.H.,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justice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 76, No.6, 1991, 845-855. 

  47. Muchinsky, P.M., "Emotions in the workplace : The neglect of organizational behavior",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Vol.21, No.7, 2000, 801-805. 

  48. Pearce, C.L. and M.D. Ensley, "A reciprocal and longitudinal investigation of the innovation process : The central role of shared vision in product and process innovation teams (PPITs)",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Vol.25, No.2, 2004, 259-278. 

  49. Piderit, S.K., "Rethinking resistance and recognizing ambivalence : A multidimensional view of attitudes toward an organizational change",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25, No.4, 2000, 783-794. 

  50. Porter, L.W., W.J. Crampon, and F.J. Smith,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managerial turnover : A longitudinal study",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Performance, Vol.15, No.1, 1976, 87-98. 

  51. Price, J.L. and C.W. Mueller, Absenteeism and Turnover of Hospital Employee, JAI Press, 1986. 

  52. Rutte, C.G. and D.M. Messick, "An integrated model of perceived unfairness in organizations", Social Justice Research, Vol.8, No.3, 1995, 239-261. 

  53. Schuman, H. and M.P. Johnson, "Attitudes and behavior", Annual Reviewof Sociology, Vol.2, No.1, 1976, 161-207. 

  54. Scott, S.G. and R.A. Bruce, "Determinants of innovative behavior : A path model of individual innovation in the work place",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37, No.3, 1994, 580-607. 

  55. Shepphard, B.H., R.J. Lewicki, and J.W. Minton, Organizational justice : The search for fairness in the workplace, New York : Lexington Books, 1993. 

  56. Thurston Jr, P.W. and L. McNall, "Justice perception of performance appraisal practice", Journal of Managerial Psychology, Vol.25, No.3, 2010, 201-228. 

  57. Thurstone, L.L., "Attitudes can be measured",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Vol.33, No.4, 1928, 529-554. 

  58. Townsend, A.M., S.M. DeMarie, and A.R. Hendrickson, "Virtual teams : Technology and the workplace of the future", Academy of Management Perspectives, Vol.12, No.3, 1998, 17-29. 

  59. Tyler, T.R. and S.L. Blader, "The group engagement model : Procedural justice, social identity, and cooperative behavior",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Review, Vol.7, No.4, 2003, 349-61. 

  60. Van de Ven, A.H., "Central problems in the management of innovation", Management Science , Vol.32, No.5, 1986, 590-60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