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비정상 자기회귀모형에서의 벌점화 추정 기법에 대한 연구
Model selection for unstable AR process via the adaptive LASSO 원문보기

응용통계연구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v.32 no.6, 2019년, pp.909 - 922  

나옥경 (경기대학교 응용통계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벌점화 추정 기법 중 adaptive LASSO 방법은 모형 선택과 모수 추정을 동시에 할 수 있는 유명한 방법으로 이미 정상 자기회귀모형에서 연구된 적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를 확장하여 확률보행과정과 같은 비정상 자기회귀모형에서 adaptive LASSO 추정량이 갖는 성질을 모의실험을 통해 연구하였다. 다만 비정상 자기회귀모형에서는 단위근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것과 모형의 차수를 선택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므로, 이를 위해 원 자기회귀모형이 아닌 ADF 검정에서 고려하는 회귀모형으로 변환하여 adaptive LASSO를 적용하였다. 일반적으로 Adaptive LASSO를 적용할 때 조절모수의 선택이 가장 중요한 문제이며, 본 논문에서는 교차검증, AIC, BIC 세 가지 방법을 이용하여 조절모수를 선택하였다. 모의실험 결과를 보면, 이 중에서 BIC가 최소가 되도록 선택한 조절모수에 대응되는 adaptive LASSO 추정량이 단위근의 존재 여부를 잘 판단할 뿐만 아니라 자기회귀모형의 차수 또한 비교적 정확하게 선택함을 확인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paper, we study the adaptive least absolute shrinkage and selection operator (LASSO) for the unstable autoregressive (AR) model. To identify the existence of the unit root, we apply the adaptive LASSO to the augmented Dickey-Fuller regression model, not the original AR model. We illustrate o...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은 기존의 연구 결과에서 보듯이 정상성을 만족하는 시계열 모형에 국한되어 개발 연구되었던 adaptive LASSO 방법을 비정상 자기회귀모형으로 확장 연구한 것이다. 자기회기모형을 적합시키는 전통적인 절차가 단위근 검정을 통한 시계열의 정상성 판단, 정상화 변환을 거친 시계열에 대한 모형의 차수 선택, 모수 추정 및 진단의 3단계로 이루어진 것에 비해 본 논문에서 제안한 방법은 ADF 검정에서 사용하는 회귀모형에 adaptive LASSO 기법을 적용하여 모수를 추정하는 것으로 단위근 존재 여부와 차수 선택, 모수 추정을 동시에 자동으로 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 본 연구에서는 벌점화 기법 중 adaptive LASSO 방법을 정상 자기회귀모형뿐만 아니라 단위근이 존재하는 비정상 자기회귀모형까지 확대하여 적용하고자 한다. 현실적으로 2개 이상의 단위근을 갖는 경우는 많지 않으며, 상당수의 시계열 자료들은 한 번만 차분하여도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경향을 제거하여 정상시계열로 만들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기회귀모형이란 어떠한 모형인가? 자기회귀누적이동평균(autoregressive integrated moving average; ARIMA)모형은 지수평활법과 더불어 일변량 시계열 자료의 예측에 많이 사용되는 모형으로 최근 Hyndman과 Khandakar (2008)이 이들을 이용한 자동 예측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자기회귀모형은 자기회귀누적이동평균모형의 특수한 경우로 시계열의 현재 값을 과거 값들의 선형 결합으로 설명하려는 모형이며, 모형식이 선형회귀모형과 유사하다. 그리고 식 (1.
단위근검정의 방법에는 무엇이 있는가? 단위근 검정 결과 정상시계열이라고 판단될 때까지 단위근 검정과 차분을 반복적으로 시행하여 단위근의 개수 d를 구한다. 대표적인 단위근검정으로 augmented Dickey-Fuller (ADF) 검정 (Said와 Dickey, 1984), PP 검정 (Phillips와 Perron, 1988), KPSS 검정 (Kwiatkowski 등, 1992) 등이 있다.
시계열 그림과 표본자기상관그림을 활용하여 단위근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의 단점은? (1)단계에서 단위근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기본적인 방법은 시계열 그림과 표본자기상관그림을 활용하는 것이다. 이는 그림의 패턴을 파악하여 정상시계열의 그림의 특징과 유사한지 판단하는 방법으로 그림을 그리는 것은 어렵지 않으나 판단이 주관적이라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보다 좀 더 객관적으로 정상성을 판단하는 방법으로 단위근 검정(unit root test)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Brockwell, P. J. and Davis, R. A. (2006). Time Series: Theory and Methods (2nd ed), Springer. 

  2. Chen, K. and Chan, K. S. (2011). Subset ARMA selection via the adaptive lasso, Statistics and Its Interface, 4, 197-205. 

  3. Hyndman, R. J. and Khandakar, Y. (2008). Automatic time series forecasting: the forecast package for R, Journal of Statistical Software, 27, 1-22. 

  4. Kwiatkowski, D., Phillips, P. C., Schmidt, P., and Shin, Y. (1992). Testing the null hypothesis of stationarity against the alternative of a unit root, Journal of Econometrics, 54, 159-178. 

  5. Kwon, S., Lee, S., and Na, O. (2017). Tuning parameter selection for the adaptive LASSO in the autoregressive model, Journal of the Korean Statistical Society, 46, 285-297. 

  6. Nardi, Y. and Rinaldo, A. (2011). Autoregressive process modeling via the Lasso procedure, Journal of Multivariate Analysis, 102, 528-549. 

  7. Phillips, P. C. and Perron, P. (1988). Testing for a unit root in time series regression, Biometrika, 75, 335-346. 

  8. Said, S. E. and Dickey, D. A. (1984). Testing for unit roots in autoregressive-moving average models of unknown order, Biometrika, 71, 599-607. 

  9. Schwert, G. W. (1989). Tests for unit roots: a Monte Carlo investigation, Journal of Business and Economic Statistics, 7, 147-160. 

  10. Wang, H., Li, B., and Leng, C. (2009). Shrinkage tuning parameter selection with a diverging number of parameters, Journal of the Royal Statistical Society. Series B (Statistical Methodology), 71, 671-683. 

  11. Zou, H. (2006). The adaptive lasso and its oracle properties, Journal of the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101, 1418-1429.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