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모태펀드의 성과에 대한 연구
Analysis on Korean Fund of Funds 원문보기

벤처창업연구=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and venturing, v.14 no.6, 2019년, pp.1 - 9  

강원 (세종대학교 경영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2005년부터 한국벤처투자(주)에 의해 운용되고 있는 국내 모태펀드는 그동안 민간VC들의 펀드조성을 원활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해 왔다. 그러나 모태펀드의 기여는 기타 LP를 유인하는 마중물 역할에만 국한되지는 않는다. 모태펀드가 출자할 때는 GP에게 투자실행 과정과 사전/사후적 과정에서 철저한 관리를 요구한다. 이러한 관리가 GP의 창의성을 저해하는지 아니면 오히려 GP의 투명성과 전문성을 높이는 지는 실증적인 질문이 될 것이다. 만약 모태펀드의 출자가 마중물 역할만 하고, 펀드의 크기나 운용기간이 VC펀드의 수익률에 양의 영향을 주지 않는다면, 모태펀드의 출자여부는 자펀드의 수익률에 영향을 줄 이유가 없다. 만약 모태펀드의 관리가 GP의 창의성을 저해한다면 모태펀드의 출자는 펀드 수익률에 음의 영향을 줄 것이다. 그러나 모태펀드의 출자가 GP의 투명성과 전문성을 향상시킨다면 자펀드의 수익률에 유의한 양의 영향을 줄 것이다. 또는 모태펀드가 제시하는 관리요건을 충족할 수 있는 GP만이 모태펀드의 출자를 받을 수 있기 때문에 결국 모태펀드는 우수한 GP를 택하게 된다고 해도 실증결과는 동일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벤처캐피탈협회로부터 제공받은 자료를 토대로 2000년부터 2018년까지 펀드결성과 청산을 마친 펀드로 표본을 구성하고, 모태펀드의 출자를 받은 하위표본과 그렇지 않은 하위 표본을 나누어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모태펀드의 출자를 받은 VC펀드가 더 높은 수익률을 보였음을 보고하면서, 모태펀드가 GP의 전문성을 재고하는 역할도 가지고 있다는 가설을 지지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ince 2005, Korea Venture Investment Corp. (KVIC) has been managing Korean Fund of Funds (KFoF) which helped greatly the domestic venture capitals create their private funds. Its contribution, however, is not limited fetching the pump. When KFoF decides to invest in VC funds, it demands very strict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각 더미변수별로 대표유형에 따라 표본을 하위표본으로 나누고 각 하위표본의 IRR을 구하여 ANOVA 분석을하고 ~에 보고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모태펀드의 역할이 마중물 역할에만 국한되었는지, 아니면 GP의 자펀드 운용에 투명성과 전문성을 제고시키는 역할도 수행했는지, 아니면 반대로 지나친 관리로 인해 GP의 창의적인 활동을 저해하는 결과를 낳았는지 분석해 보았다. 이를 위해 한국벤처캐피탈협회의 자료를 가지고 2000년부터 결성되고 2018년 말까지 청산을 완료한 펀드를 대상으로 모태펀드의 투자를 받은 펀드와 투자받지 않은 펀드를구별하고 이들의 성과를 살펴보았다.
  • 본 연구에서도 결성시점을 기준으로 기간을 나누어 각 변수의 변화를 살펴보고 에 결과를 보고하였다.
  • 이런 맥락에서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에 보이는 모태펀드의 위상변화가 모태펀드의 LP 유인역할(마중물)의 축소에 기인한 결과인지, 아니면 모태펀드의 GP 전문성/투명성 제고역할의 축소도 포함하는 결과인지를 살펴보려는 데에 있다
  • 창투사(이후 VC: venture capital)의 수익률 성과에 대한 초기의 실증연구는 자료의 확보가 쉬운 최초상장(이후 IPO: initial public offering) 관련 연구에 많이 분포되어 있었다. 즉, VC의 어떤 특성이 피투자회사가 IPO 했을 때 기록하는 수익률에 기여를 하는가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런 종류의 연구는 VC의 어떤 특성이 수익률에 기여하는지는 말해줄 있어도, IPO로 회수한 피투자회사만 대상으로 했기 때문에 전체 펀드의 평균수익률을 추정하지는 못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모태펀드의 기타 LP 유인역할이 최근 약화된 이유는 무엇인가? 최근 창업투자에 대한 일반투자자의 저변이 확대되고1) 시장에 민간의 창업투자자금이 많아지면서2), 펀드의 임계량 달성에 일조하는 모태펀드의 기타 LP 유인역할은 약화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한편, 모태펀드의 참여를 원하지 않는 GP가 많아지는 최근의 현상은 또한 모태펀드의 자펀드 운용에 대한 관리가 GP의 전문성 제고보다는 GP들의 창의적인 운용활동을 저해했다는 증거로 볼 수도 있다.
모태펀드의 출자 없이 한국벤처투자조합을 결성할 수 있도록 관련 규정을 개정한 이유는 무엇인가? 모태펀드로 이를 감안하여 모태펀드의 출자 없이도 한국벤처투자조합을 결성할 수 있도록 관련 규정을 개정하였다. 이는 최근 VC펀드의 실적이 좋아지고 민간자본이 창업/벤처기업으로 몰려들면서 LP 모집을 쉽게 해주는 모태펀드의 역할이 점차 줄어들고 있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모태펀드의 또 다른 역할인 GP의 투명성과 전문성 제고가 더 이상 필요하지 않다고 말할 수는 없을 것이다.
모태펀드의 역할은 무엇인가? 비상장사 투자는 불확실성이 너무 크기 때문에 일반투자자들에게 기대수익률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불확실성을 관리하여 측정 가능한 위험으로 전환할 수 있는 중개인이 필요한데(강원, 2017), 모태펀드는 이 중개인이 펀드를 조성하고 관리하는데 일조함으로써 결국 불확실한 사업아이디어에도 시장에서 자본이 조달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고 볼 수 있다. 여기서 모태펀드가 중개인의 펀드 조성을 수월하게 하는 역할을 마중물 역할이라고 한다면, 모태펀드가 중개인의 펀드 관리를 수월하게 하는 역할은 투명성/전문성 제고역할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Bertoni, F., & Tykvova, T.(2015). Does governmental venture capital spur invention & innovation? Evidence from young European biotech companies, Research Policy, 44(4), 925-935. 

  2. Brander, J. A., Du, Q., & Hellmann, T.(2014). The Effects of Government-Sponsored Venture Capital: International Evidence, Review of Finance, 19(2), 571-618. 

  3. Chae, J., Kim, J., & Ku, H.(2014). Risk and Reward in Venture Capital Funds, Seoul Journal of Business, 20(1), 91-137. 

  4. Cho, S. S., & Park, J. S.(2009). An Empirical Study on the Performance of Korean Venture Capital Funds in Relation to the Management Behavior of the Domestic Venture Capital Firms, Journal of Small Business Innovation, 12(2), 1-30. 

  5. Ewens, M., Jones, C. M., & Rhodes-Kropf, M.(2013). The Price of Diversifiable Risk in Venture Capital and Private Equity, Review of Financial Studies, 26(8), 1854-1889. 

  6. Han, C. H., Kwak, D. C., & Kim, M. J.(2009). Benchmarking Venture Investment and Korean Venture Capital Industry, Journal of Money & Finance, 23(2), 71-96. 

  7. Harris, R. S., Jenkinson, T., & Kaplan, S. N.(2014). Private Equity Performance: What do we know?, Journal of Finance, 69(5), 1851-1882. 

  8. Kang, W.(2017). Study on Entrepreneurial Finance and Literature Review, Korean Journal of Financial Management, 34(3), 217-251. 

  9. Kaplan, S. N., & Schoar, A.(2005). Private Equity Performance: Returns, Persistence & Capital Flows, Journal of Finance, 60(4), 1791-1823. 

  10. Kim, Y. H., & Lim, S. J.(2015). Differential Contribution in Private and Public Venture Capitals to the Financial Results of their Invested Firms, Asian Pacific Journal of Small Business, 37(1), 115-133. 

  11. Koo, J., Kim, Y. J., Lee, S. Y., Kim D. H., & Baek, J. Y.(2019).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Investment Decision of Korean Venture Capitalis,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14(4), 1-18. 

  12. Lee, K. Y., Shin, H. H., & Kim, S. Y.(2019). An Empirical Analysis of Corporate Performance According to Existence and Types of Venture Capital,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14(2), 15-30. 

  13. Oh, S. G., Choi, J. W., & Park, J. G.(2016). Performance Measures and their Determinants of Korean Venture Capital Funds, Asian Review of Financial Research, 29(3), 343-375. 

  14. Robinson, D., & Sensoy, B.(2011). Private Equity in the 21st Century: Liquidity, Cash Flows, and Performance from 1984-2010, Working Paper, Duke University & Ohio State University.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