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원헬스 기반 인수공통감염병의 미래 관리 전략
Future Management Strategies for Zoonoses Based on One Health 원문보기

農村醫學·地域保健 =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 community health, v.44 no.1, 2019년, pp.39 - 42  

이관 (동국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Zoonoses are the diseases that are transmitted to human being from vertebrate animals either from livestock animals or from wildlife. Recently, zoonoses are increasingly common as a result of incremental human-animal contact. Propagative infections in wild animals and livestock are transmitted to hu...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인수공통감염병이란 무엇입니까? 야생동물과 가축에서 발생하는 질병으로서 경우에 따라 동물에서 사람에게 전파되는 전염병을 인수공통 전염병/인수전염병(zoonoses) 또는 인수공통감염병이라고 말한다. 인수공통감염병(Zoonoses)은 광의로 동물에서 사람으로 혹은 사람에서 동물로 전파될 수 있는 질병을 의미하며, 인체에 영향을 미치는 1,415종의 병원체 중 60%가 인수공통감염병에 해당한다[1-3]. 또한 인수공통감염병은 기본적으로 사람보다는 척추동물로부터 기원하는 동물 유래이며, 특히나 이러한 동물은 불현성 감염이 흔해서 다른 동물이나 사람에게는 전파가 가능하다[4].
인수공통감염병 발생이 초래되는 원인은 무엇입니까? 인수공통감염병은 사람과 동물이 접촉할 수 있는 기회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며, 최근 발생하고 있는 인수공통감염병은 생태학적 변화를 포함해서 가축의 밀집 사육으로 인한 접촉기회 증가, 야생동물, 야생조류에 의한 불현성 감염, 사회생활의 다양화로 증가한 반려동물이나, 사람의 생활환경내에서 많이 사육되고 있는 동물원 전시동물이나 실험동물 등으로부터 발생이 초래되고 있다[6].
인수공통감염병 예방과 관리를 위한 실행전략은 어떠합니까? 이러한 실행전략에서의 학문적 근거는 1990년대 이후부터 나타난 One Health개념으로 인간, 동물, 야생동물 그리고 환경까지 포함하는 개념으로 그 의미가 넓혀져 왔고, 다각도의 관점과 다분야의 참여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최근에는 의학, 수의학, 환경분야 이외에도 경제, 정책, 사회 등 다양한 분야의 참여가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물론 인수공통감염병의 예방과 관리를 위해서는 공중보건위기 상황을 초래할 수 있는 인수공통감염병(메르스, 사스, 변종크로이츠펠트-야콥병 등)이 국내로 들어 올 수 없도록 검역을 철저히 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미래를 예측하고 대비하는데 있어서는 각 해당 부처 간의 협력이 중요하다. 각 부처가 생산하는 감시자료와 발생자료를 긴밀히 공조하면 현재의 사람중심 관리에서 진일보되어 야생동물과 가축에서의 발생동향을 통해 사람에서 발생을 예측할 수 있다. 정책적으로는 국내 학계, 산업계 및 정부 영역에서 One health 개념의 확산이 필요하고, 부처 간 인수공통감염병 관리의 법적, 행정적 체계 구축이 필요하다. 더불어 실무적으로 국내 관리대상 인수공통감염병과 고위험군을 정의하고 이들 고위험군에 대한 현황 파악이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Taylor LH, Latham SM, Woolhouse ME. Risk factors for human disease emergence. Philos Trans R Soc Lond B Biol Sci 2001;356(1411):983-989 

  2.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Act on the Prevention of Contagious Animal Disease, article 2. 2017 

  3. Chun BC. Epidem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Ecological Perspectives of Zoonoses. Korean J of Rural Med 2001;26(1):123-144 (Korean) 

  4. Donham KJ. Zoonotic disease: overview of occupational hazards in agriculture. In: Donham KJ, Thelin A. Agricultural Medicine: Rural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Health, Safety, and Prevention, Second Edition. New Jersey, John Wiley & Sons, Inc., 2016, p.437-464 

  5. Cutler SJ, Fooks AR, Van Der Poel WH. Public health threat of new, reemerging, and neglected zoonoses in the industrialized world. Emerg Infect Dis 2010;16(1):1-7 

  6. Keesing F, Belden LK, Daszak P, Dobson A, Harvell CD, Holt RD, Hudson P, Jolles A, Jones KE, Mitchell CE, Myers SS, Bogich T, Ostfeld RS. Impacts of biodiversity on the emergence and transmission of infectious diseases. Nature 2010;468(7324):647-652 

  7. Karesh WB1, Dobson A, Lloyd-Smith JO, Lubroth J, Dixon MA, Bennett M, Aldrich S, Harrington T, Formenty P, Loh EH, Machalaba CC, Thomas MJ, Heymann DL. Ecology of zoonoses: natural and unnatural histories. Lancet 2012;380(9857):1936-1945 

  8. USGS (Friend M). Disease Emergence and Resurgence: The Wildlife-Human Connection. USGS National Wildlife Health Center. U.S. Geological Survey, Reston, Virginia, 2006 

  9. Han BA, Schmidt JP, Bowden SE, Drake JM. Rode nt reservoirs of future zoonotic diseases. Proc Natl Acad Sci USA 2015;112(22):7039-7044 

  10. Luis AD1, Hayman DT, O'Shea TJ, Cryan PM, Gilbert AT, Pulliam JR, Mills JN, Timonin ME, Willis CK, Cunningham AA, Fooks AR, Rupprecht CE, Wood JL, Webb CT. A comparison of bats and rodents as reservoirs of zoonotic viruses: are bats special? Proc Biol Sci 2013;280(1756):20122753 

  11. Allocati N, Petrucci AG, Di Giovanni P, Masulli M, Di Ilio C, De Laurenzi V. Bat-man disease transmission: zoonotic pathogens from wildlife reservoirs to human populations. Cell Death Discov 2016;2:16048 

  12. Stull JW, Brophy J, Weese JS. Reducing the risk of pet-associated zoonotic infections. CMAJ 2015;187(10):736-74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