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원헬스 기반 인수공통감염병 감시체계로 발견한 브루셀라증 사례
A Case Report of Human Brucellosis Found by Zoonoses Surveillance System Based on One Health 원문보기

農村醫學·地域保健 =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 community health, v.44 no.2, 2019년, pp.90 - 93  

김동섭 (동국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박성준 (동국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이관 (동국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브루셀라증인수공통감염병 중의 하나이며, 우리나라에서는 과거에 비해 거의 근절된 질병이다. 또한 브루셀라증은 우리나라에서 원헬스로 대표되는 상징적인 질병이기도 하다. 이 연구는 민간(경북농업안전보건센터), 가축방역(동물위생시험소) 및 보건당국(보건소) 간의 상호 협력체계를 구축하여 가축전염병 발생 농장 농장주와 가족을 대상으로 브루셀라증 환자 1례를 발견한 사례이다. 이 사례를 통해 인수공통감염병 예방과 관리에 부문간의 협력이 중요함을 다시 인식하는 계기가 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rucellosis is one of the zoonoses, and it is a disease that is almost eliminated in South Korea. This disease is also known as a representative disease of one health. We would like to introduce brucellosis found by one health in this study. One Health means an approach in which multiple sectors com...

주제어

표/그림 (1)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동물위생시험소는 소 브루셀라병 검사를 시행한 농가에서 소 브루셀라병 양성 두가 발견되면, 농업안전보건센터와 보건소로 역학조사를 시행할 수 있도록 농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였으며, 농업안전보건센터는 보건소 또는 농장을 직접 방문하여 역학조사를 시행하였다. 농장주와 그 가족들은 보건소를 방문하여 혈액 채취 등 검진을 실시하고 보건환경연구원에 검체가 의뢰되어 그 결과를 통보하도록 하였다.
  • 인수공통감염병에서 원헬스는 그 예방과 관리를 가축방역 당국과 보건당국의 협력뿐만 아니라 환경, 식품, 해양 등의 다부문의 협력과 노력을 통해 궁극적으로 사람의 건강을 담보해나가자는 의미이다[8]. 이 사례는 경북농업안전보건센터에서 유관 기관과의 협조체계 구축을 통해 발견한 브루셀라증 환자 1례에 관한 연구이다. 농업안전보건센터는 농업인의 건강문제를 조사·연구하고, 농업안전보건 교육과 홍보 등을 수행하는 기관으로 2014년도부터 2016년까지 농업인 감염성질환으로 경북농업안전보건센터가 지정·운영되었다[9].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브루셀라증 발생 위험 고위험군은? 사람과 동물이 접촉할 수 있는 빈도가 많아지면 인수공통감염병도 많아지고 특히 동물과의 접촉으로 발생한다고 볼 때 인수공통감염병 발생 위험도 증가할수 있다[11]. 고위험군으로는 가축과 접촉이 많은 직업군으로 축산업자, 수의사, 도축장 및 실험실 근무자로 알려져 있다. 특히 이번 사례와 같이 축산업자는 사육으로 인한 소와의 접촉이 빈번하여 브루셀라증 발생 위험이 높다. 인수공통감염병은 사람과 동물이 공존하는 질병이다.
인수공통감염병에서 원헬스란? 인수공통감염병에서 원헬스는 그 예방과 관리를 가축방역 당국과 보건당국의 협력뿐만 아니라 환경, 식품, 해양 등의 다부문의 협력과 노력을 통해 궁극적으로 사람의 건강을 담보해나가자는 의미이다[8]. 이사례는 경북농업안전보건센터에서 유관 기관과의 협조체계 구축을 통해 발견한 브루셀라증 환자 1례에관한 연구이다.
현재 알려져있는 브루셀라증의 원인병원체는? 브루셀라증(bruce l los is, me l itococcos is,undulant fever, Malta fever)은 전 세계적으로 발생하는 인수공통감염병(zoonosis)이며, 지중해 연안지역, 중도, 인도, 중남미 대륙에서 중요한 공중보건 문제이다[1-2]. 전세계적으로 원인병원체는 Brucella균으로 사람에게 감염되는 B. Melitensis(산양, 면양), B. abortus(소), B. suis(돼지), B. canis(개) 4개 균종과 사람에게 감염되지 않는 B. ovis(면양), B.neotomae(사림 쥐) 2개 균종을 포함하여 6개 균종이있으며 포유동물로 해양에서 발견된 B. maris까지 총 7개 균종이 알려져 있다[3-4]. 국내현황은 동물에게 발생하는 브루셀라병은 제2종 가축전염병으로 분류 관리하고 있으며 사람에게 발생하는 브루셀라증은 2000년 제3군 법정감염병으로 지정되어 관리되고 있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Corbel MJ. Brucellosis-an overview. Emerg Infect Dis 1997;3(2):213-221 

  2. Bravo MJ, de Dios Colmenero J, Alonso A, Caballero A. Polymorphisms of the interferon gamma and interleukin 10 genes in human brucellosis. Eur J Immunogenet 2003;30(6):433-435 

  3. Doganay M, Aygen B. Human brucellosis: an overview. Int J Infect Dis 2003;7(3):173-182 

  4. Godfroid J, Cloeckaert A, Liautard JP, Kohler S, Fretin D, Walravens K, Garin-Bastuji B, Letesson JJ. From the discovery of the Malta fever's agent to the discovery of a marine mammal reservoir, brucellosis has continuously been a re-emerging zoonosis. Vet. Res 2005;36(3):313-326 

  5.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 Guideline for management of Blucellosis. 2018 (Korean) 

  6. Korea Animal Health Integrated System Portal. [cited 2019 June 12]. Available from: https://www.kahis.go.kr/home/lkntscrinfo/selectLkntsOccrrnc.do?flagstats# 

  7.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 Infectious Disease Portal. [cited 2019 June 12]. Available from: http://www.cdc.go.kr/npt/biz/npp/ist/bass/bassDissStatsMain.do 

  8. World Health Organization. One health Portal. [cited 2019 June 21]. Available from: https://www.who.int/features/qa/one-health/en/ 

  9.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 Center for Farmers' Safety & Health Portal. [cited 2019 May 30]. Available from: https://www.mafra. go.kr/mafra/402/subview.do 

  10. Gyeongsangbuk-Do Portal. [cited 2019 June 11]. Available from: http://www.gb.go.kr/Main/open_contents/section/farm/page.do?mnu_uid1534&LARGE_CODE340&MEDIUM_CODE40&SMALL_CODE30mnu_order4 

  11. Lee K. Future Management Strategies for Zoonoses Based on One Health. J Agric Med Community Health 2019;44(1):39-42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